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코리드에너지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코리드에너지(KORID ENERGY)
㈜코리드에너지(KORID ENERGY)
김홍철 대표이사

㈜코리드에너지(KORID ENERGY, KE)는 도시경관 및 안전 전문 기업인 ㈜누리플랜(Nuriplan)에서 영위하던 ESS 축전지 관련 사업의 진행을 위하여 설립된 회사이다. 당사는 2016년 신규설립 법인이지만 기존 사업의 경력은 5년 이상 축적한 회사이다. 2016년 10월 디에스티㈜(DST)가 ㈜코리드에너지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이 회사는 디에스티㈜의 자회사로 바나듐 2차전지 개발 및 상용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코리드에너지는 지난 10년간 바나듐 2차전지 연구에 주력하였으며, 현재 다양한 용량의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다수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김홍철이다.

개요[편집]

2012년 ㈜누리플랜에서 바나듐레독스흐름전지(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FB)의 연구개발을 시작으로 청정 기술 지원 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당사는 전 세계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고, 가장 오래가는 바나듐레독스흐름전지를 개발했다. ㈜코리드에너지는 이 분야의 기술 리더이며, 저비용 스택, 고에너지 밀도 전해질 및 혁신적인 시스템 디자인의 결합으로 다른 공급업체와 차별화된다. 바나듐레독스흐름전지는 바나듐 원소의 이온 형태의 환원 및 산화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화학 공정에서 액체 전해질에 에너지를 저장한다. 이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독성이 없는 무한정 반복 가능한 프로세스이다. 현재 Vanadium Redox Flow Battery(VRFB) 실증 및 개발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리튬 2차전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축전지 시장에서 RFB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자 한다. [1][2]

㈜코리드에너지의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시장 변화에는 ESS용 리튬 2차전지 안전에 대한 위험성이 사회무제로 대되어, 2018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는 ESS 리튬 2차전지의 가동준단을 권고하였으며, 바나듐 2차전지는 리튬 2차전지에 비해 3~5배 이상의 수명(20년 이상)과 폭발 위험이 없어, ESS에 적합한 신재생에너지로 주목하였다. 바나듐 2차전지는 오산화 바나듐 전해액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하를 저장하는 새로운 에저지 저장 기술이며, 대용량 상업 우전에 적합한 안전성과, 효율성, 긴 수명 등으로 ESS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바나듐 2차전지는 경제성 및 안전성으로 특히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 대규모 상업운전 단지를 조성하였고, 특히 중국은 ESS 바나듐 2차전지 건설이 새로운 국가 개발계획의 일부이며, 100MW급 이상 대규모 설비에 집중한다. ㈜코리드에너지는 사무실이나 가정의 비상시 혹은 전력 수급의 안정화를 위한 2.5kW, 5kW급 소용량 ESS용 바나듐 2차전지 시스템을 개발 완료하였으며, 태양광 및 풍력 등 신재생 발전소 연계 및 Peak 부하 저감을 위한 25kW급 중용량 ESS용 바나듐 2차전지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다.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충방전 특성이 향상된 25kW급 출력의 VRB에 대한 신제품 인증을 취득하였고, 그 밖에 2012년부터 특허 12건, 신제품 2건, 디자인 1건 등 총15건의 독자 기술을 확보했다.[3]

주요 인물[편집]

김홍철[편집]

김홍철은 디에스티㈜의 회장이자 관계사인 ㈜코리드에너지의 대표이다. 그는 전에 코리드의 대표를 맡은 바 있으며, 2016년 6월 자동차용 냉방 라디에이터를 제작하는 DST(디에스티) 회사를 인수했다. 그는 그 후 연내에 매출 900억원 수준의 100% 자회사 2곳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현금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는 사업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 자원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그는 당시 우량한 회사를 관계사로 편입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관리종목 탈피에 주력하겠다고 하였다.[4]

역사[편집]

  • 2012년 01월 : ㈜누리플랜에서 VRFB 연구개발 시작.
  • 2013년 08월 : KETEP 정부 프로젝트(에너지기술사업, 200kWh VRFB 프로젝, 2013~2016년).
  • 2013년 10월 : SMBA 정부 프로젝트(기술혁신사업, 50kWh VRFB 프로젝, 2013~2015).
  • 2014년 06월 KIAT 정부 프로젝트(신뢰성향상사업, 5kW VRFB 프로젝, 2014~2017)
  • 2015년 07월 : 신기술 인증(MOTIE).
  • 2015년 10월 : KOPIA 정부 프로젝트(인도 F/S사업, MW클래스 VRFB, 2015~2016).
  • 2015년 12월 : ISO 9001 인증(KTC).
  • 2016년 01월 : 우수 신제품 인증(MOTIE).
  • 2016년 07월 : ESS 업체 등록(인도 BHEL).
  • 2016년 10월 : ㈜누리플랜에서 독립한 ㈜코리드에너지(KORID ENERGY) 법인 설립.
  • 2017년 06월 : KETEP 정부 프로젝트(시드 펀드 프로그램, 호주 PV-RFB 프로젝트, 2017~2018).
  • 2017년 09월 : KETEP 정부 프로젝트(에너지기술사업, 광역(3,000cm2 이상) VRFB 사업, 2017~2018).
  • 2018년 05월 KETEP 정부 프로젝트(에너지기술사업, 1MW-4MWh VRFB-ESS 프로젝트, 2018~2021).
  • 2019년 12월 : KEPCO 프로젝트(100kW/1MW VRF 입증, 2019~2021).[5]

기술[편집]

V-RFB 스택[편집]

V-RFB Stack
  • ㈜코리드에너지는 기존 스택 생산 기술과 다른 금형 사출 방식의 새로운 스택 기술을 개발하였다.
  • 기본적으로 금형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 셀 사출 프레임은 매구 가볍고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스택의 출력이 높다.

V-RFB 시스템 흐름도[편집]

V-RFB System Flow Diagram
  • 용해성 전해질의 산화 환원(redox) 역작용에 의해 촉발된 바나듐 금속 이온의 산화 변화.(V+2, V+3, VO+2, VO2+)
  • 전극의 상변화와 구조적 변화 없이 긴 수명 동안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 전기 화학적 고효율 가역 반응을 실현하고 자가 방전이 없다.[6]

제품[편집]

신기술이 적용된 코리드에너지의 바나듐흐름전지 모듈(50kW/200kWh)과 80% 이상의 고에너지 효율 25KW 스택
  • 스택
  • 애플리케이션
  • 대규모 에너지 스토리지 : 전력망 내의 대규모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용되는 방법 모음이다.
  • 그리드 지원 : 저전압 및 고압 그리드의 안정화를 위해 에너지 비축으로서 피크를 평활화(부하 및 생성 피크 보상).
  • 풍력 및 태양공원 : 에너지 출력을 원활하게 하고 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완충제로서; 전력이 감소된 시간에 에너지 비축으로 인한 더 높은 계약 보안이 강화.
  •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UPS 또는 배터리/플라이휠 백업은 입력 전원(일반적으로 주 전원)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부하에 비상 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장치이다.
  • 기타 : VRB 응용 분야의 다른 분야는 틈새시장이거나 이와 관련하여 소규모 시장이 있으며, 이러한 사장은 정기적으로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았다.[7]

보도 자료[편집]

화재 걱정 없는 바나듐흐름전지, ESS 시장 다크호스로

2020년 2월 21일 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뉴욕 하버드 클럽에서 코리드에너지와 캐나다 MLD사가 JVA 협약을 체결한 후 파타키케이힐 그룹 조지 파타키 전 뉴욕주지사, 김홍철 코리드에너지 대표 등이 참석했다. 화재나 폭발 위험 없는 바나듐레독스플로배터리(VRFB·흐름전지)가 한동안 침체돼있던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도 신재생에너지 육성 차원에서 흐름전지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1월 31일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규정에 관한 고시’ 개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고효율 인증 대상 범위에 기존 리튬이차전지 외에 흐름전지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에너지효율은 바나듐흐름전지가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편이지만 배터리 성능 격차가 최근 들어서 급격하게 줄어드는 분위기다.

국내 바나듐흐름전지 개발업체는 디에스티(코리드에너지), 에이치투, 하이코리아, 스탠다드에너지 등이다. 이 업체들은 그동안 국내 신재생인증 지원 제도에서 바나듐흐름전지가 제외됨에 따라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번 정부의 조치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해외 시장에서 먼저 두각을 드러낸 업체들이 국내 사업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인 코리드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ESS시장의 최대 시장인 미국에 연산 100MWh급(연매출 600억 원 규모)의 바나듐 배터리 공장 건설을 준비하는 등 바나듐 이차전지의 상용화 및 해외시장 확보에 가장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코리드에너지 모회사인 디에스티는 2019년 미국 파타키케이힐 그룹과 미국 바나듐 ESS 배터리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은 뒤 사업 확대에도 탄력이 붙었다. 캐나다 MLD와 JVA를 성사시킨 코리드에너지 김홍철 대표는 "지난 10여 년 동안 디에스티와 코리드에너지의 바나듐배터리 연구개발 성과가 이번 합작계약 체결로 이어진 것이며 가장 주목할 것은 ESS 배터리 산업의 선도 시장인 미국과 캐나다 시장에서 자금 출자 없이 회사의 기술력만으로 진출하는 것"이라고 이번 협약을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중소기업이 미국으로 기술 수출을 하는 것은 해당 업계에서 매우 이례적인 일이자 쾌거"라고 설명했다.[8]

각주[편집]

  1. 코리드에너지 기업정보〉, 《잡코리아》
  2. COMPANY OVERVIEW〉, 《코리드에너지》
  3. "KORID Energy Ltd", 《디에스티(주)》
  4. 딜사이트, 〈CEO인터뷰 - 코리드 김홍철 대표 “연매출 900억원 자회사 2곳 확보”〉, 《팍스넷뉴스》, 2016-06-21
  5. COMPANY HISTORY〉, 《코리드에너지》
  6. TECHNOLOGY〉, 《코리드에너지》
  7. PRODUCTS APPLICATION〉, 《코리드에너지》
  8. 황효진 기자, 〈디에스티㈜, 화재 걱정 없는 바나듐흐름전지, ESS 시장 다크호스로…〉, 《동아일보》, 2020-02-21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코리드에너지 문서는 배터리 회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