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간이역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흔히 생각하는 간이역의 이미지. 사진은 경상북도 군위군에 소재한 중앙선 화본역이다. 2021년 MBC 예능 '손현주의 간이역' 첫 에피소드를 여기서 촬영할 정도로 전형적인 간이역의 모습을 한 역. 하지만 화본역은 운전취급만 못하는 운전간이역으로 분류상으로는 엄연히 보통역이다.
역무원이 없는 원북역

간이역(簡易驛)은 이용객이 적고 효율성이 낮아 역장이 배치되지 않고 일반 역에 비해 규모가 작은 역을 말한다. 간이역의 역장은 인근 보통역의 역장이 겸임하여 운영한다. 그러나 간혹 역장이 있는 보통역이라도 간이역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장소의 특수성 때문에 사진작가들의 주요 촬영 대상이 되거나 많은 문학·음악 작품의 소재가 되어 왔다.

개요[편집]

간이역은 이용객이 적고 규모가 간소한 작은 을 말한다. 대체로 시설이 낡고 오래된 경우가 많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간이역을 '일반 역과는 달리 역무원이 없고 정차만 하는 역'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코레일 등급상으로는 무배치간이역만을 간이역으로 보는 셈이다.

비유적인 의미로 간이역이라 하면 낡고 조그마한 역 혹은 임시승강장 같은 느낌이 나는 버스정류장 만한 역 등 덮어놓고 시골 조그만한 역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위 사진의 화본역처럼. 철도 동호인이 아니라면 대부분 간이역에 대한 이미지를 저렇게 떠올린다.

대부분의 간이역이나 임시승강장은 대체로 저 뜻에 부합하는 경우가 많지만, 당장 그 화본역처럼 보통역인 경우도 많고, 반대로 외견상 번듯해 보이는 역임에도 사실 서류상 간이역으로 취급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이에 대해서는 2번 문단에서 더 자세히 서술된다.

특유의 목가적인 분위기 때문에 각종 문학작품이나 영상매체에는 간이역을 소재로 다루는 작품이 상당히 많다. 한국철도공사 역시 이렇게 간이역이 소재로 써먹히면 홍보효과도 있고, 특히 로열티나 개런티를 벌 수 있기 때문에 두 손 들고 환영한다고. (경북선 용궁역은 1박 2일에 출연하였다.)

일부 오래된 간이역은 그 특수성을 인정받아 등록문화재에 등재되기도 한다.

한국철도공사의 정거장 등급[편집]

간이역은 보통역보다 등급이 낮은 역으로, 이용객이 많지 않아 보통역처럼 많은 비용을 들여서 역을 운영할 필요가 없을 때 지정된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간이역은 인접한 관리역이나 보통역의 부속시설로 취급되기 때문에 간이역에서는 역장이 보임되지 않는다(신호장과 신호소도 마찬가지). 구내 시설의 관리와 인력의 파견은 소속된 보통역에서 관장하며, 배치간이역에서 근무하는 역무원도 소속된 보통역에서 파견된다.

간이역은 보통 여객취급 혹은 화물취급만을 전담하는 경우가 많으며, 분기기나 신호기가 있더라도 운전취급은 소속된 보통역에서 수행한다. 대개는 없는 경우가 많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역무원을 파견하냐 아니냐에 따라 배치간이역과 무배치간이역으로 구분한다.

간이역이 지나치게 많아서 인근 보통역 역장이 할 일이 지나치게 많아질 경우, 지역주민에게 면접을 실시하여 명예역장을 뽑아 운영하는 간이역도 있다.

간이역은 현재 여객취급이나 화물취급을 하는 역과 아무런 취급 없이 방치되고 있는 역으로 나뉘어진다. 교외선의 역들이 방치되는 간이역의 대표적인 예고, 경의선의 간이역들은 여객취급을 하는 간이역의 예다.

반대로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는 간이역까지 유리궁전을 남발하여 간이역이나 보통역이나 차이를 없애고, 디자인을 획일화 하고 있다고 철도 동호인들에게 열나게 까이고 있다. 특히 수도권 전철일수록 이런 경향이 심하다.

선로 이설이나 여객·화물수요 감소로 폐역되는 간이역도 있지만, 한국철도공사의 역무인력 감축으로 인해 배치간이역의 역무원이 철수하여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거나, 보통역이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는 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수도권 전철의 경우에는 기존의 보통역들이 대거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KTX 개통 초기에 광명역, 천안아산역 등은 수천억을 들여서 역을 지어놨더니 이용들을 안 한다고, 언론 등에서 '공룡간이역'이라고 깠었다. 그러다 진짜로 한국철도공사의 인력감축 정책 등에 의해서 이런 역들이 죄다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것. 지금은 다시 관리역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서울역, 부산역처럼 보안검색대라도 있는 역에 비해 간이역에는 보안검색 시설, 하다못해 관리인원도 없기 때문에 테러 등에는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간이역에서 테러범이 올라탄 뒤 열차 내, 혹은 대도시까지 가서 테러행위를 저지른다면 그냥 답이 없는거다. 서유럽에서도 2004년 마드리드 아토차역 구내 폭탄 테러, 2016년 독일 열차 테러처럼 열차를 이용한 테러가 몇 차례 일어났다.

물론 간이역에서 탑승해 바로 테러를 저지른다는 것은 아니다. 간이역이 테러에 취약하다는 것은 그 역 근처에서 저지른다는 것이 아니라 상술했듯 간이역에서 열차에 올라탄 뒤 서울역이나 부산역 등 대도시 지역의 역이나 그 역에 도착하는 길에 테러를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이다. 자살폭탄테러 같은 경우라면 간이역에서 올라탄 뒤 은신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정말로 테러를 치밀하게 준비할 경우 시골로 가서 서울이나 부산행 열차를 타고 잠입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니면 대도시권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대천역 (대천해수욕장과 연관)이나 바다와 가장 가까운 역으로 유명한 정동진역 등지로 잠입하여 거기에 도착하는 순간 테러를 저지를 수도 있는데, 많은 인명을 살상하기에는 충분하기 때문이다. 즉 전반적으로 승객 통제에 어려움를 겪는다는 것.

신설 조건[편집]

이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지역주민의 의견에 따라 역을 신설할 수 있다. 이렇게 신설되기 보다는 보통역이 격하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 1일 평균 승강인원(승차+하차)이 300명 이상으로 예상될 때
  • 설치 예정 지점에서 인접 역간의 거리가 3km 이상일 때
  • 대도시 근교지역으로 주민의 편익상 특히 필요할 때
  • 관광 또는 보양지역으로써 특히 필요할 때
  • 타 교통기관의 1일 2왕복 이내의 지역으로써 특히 필요할 때

한국철도공사의 간이역 종류[편집]

  • 운전간이역: 사실 간이역이 아니라 보통역이다. 운전취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는 것 뿐이다.
  • 배치간이역: 관할그룹역에서 파견근무하는 역무원이 일정시간 이내에만 역사내 상주 근무하는 간이역(미디어에서 주로 그려지는 외로운 역무원 홀로 역을지키는 간이역의 이미지.)
  • 을종위탁발매소: 철도 운영상 무배치간이역타이틀에 분류가 되나, 일반적인 한국철도공사 소속이 아닌, 코레일네트웍스및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등등 산하자회사또는 일정기간동안 운영위탁받은 외부 용역체 에서 위탁발매하는 역사내 근무자 상주 형태 최하위 간이역 형태이며, 코레일내부운영비용절감을 목적으로 수도권 코레일소속 광역전철역사 다수의 전철역등급이 무배치간이역으로 강등되었으나, 을종위탁발매소 운영형식으로 코레일산하자회사 소속 역직원및 사회복무요원을 역내에 상주 운영한다.
  • 무배치간이역: 역사내 아무도 상주하지않는 무인역, 주로 비수도권 지방 농어촌지역내 위치한 철도이용인구 매우 저조한 소규모역사들이 무배치간이역으로 강등,운영중이거나 그 보다 못한 경우엔, 폐역 처분을 받기도 한다.
  • 임시승강장: 무배치간이역과 비슷한 무인역이나, 역사를 갖추지않고, 승강장, 역명판을 비롯한 열차승강목적의 최소한의 시설만 갖춘 최하위 간이역 형태

등록문화재 간이역 목록[편집]

대한민국에는 현재 800여개의 간이역이 있는데 그중에는 기차가 아예 정차하지 않거나, 역사(驛舍)는 철거되고 승강장만 남은 역도 많다. 24개의 간이역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간이역은 아래와 같다.

  • 제77호 경의선 구 장단역지 (경의선)
  • 제105호 울산 남창역사 (동해선)
  • 제122호 구 곡성역 (전라선)
  • 제128호 원창역사 (경전선)
  • 제136호 경의선 신촌역사 (경의선)
  • 제165호 원주 반곡역사 (중앙선)
  • 제192호 진해역사 (진해선)
  • 제208호 군산 임피역사 (장항선)
  • 제210호 익산 춘포역사 (전라선)
  • 제270호 구. 반야월역사 (대구선)
  • 제294호 구. 고양 일산역 (경의선)
  • 제295호 구. 남양주 팔당역 (중앙선)
  • 제296호 구. 양평 구둔역 (중앙선)
  • 제297호 영동 심천역 (경부선)
  • 제298호 삼척 도경리역 (영동선)
  • 제299호 나주 남평역 (경전선)
  • 제300호 구. 화랑대역 (경춘선)
  • 제301호 여수 율촌역 (전라선)
  • 제302호 구. 부산 송정역 (동해선)
  • 제303호 대구 동촌역 (대구선)
  • 제304호 문경 가은역 (가은선)
  • 제305호 보령 청소역 (장항선)
  • 제326호 문경 구 불정역 (문경선)
  • 제336호 삼척 하고사리역 (영동선)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간이역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