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광주대구고속도로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광주대구고속도로(光州大邱高速道路)

광주대구고속도로(光州大邱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2호선의 일부)는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을 기점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을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대한민국고속도로이다. 1973년에 고서 ~ 담양 구간이 호남고속도로 담양선으로서 개통하고, 옥포 ~ 담양 구간이 1981년에 착공하여 1984년에 왕복 2차로 규모의 88올림픽고속도로라는 명칭으로 개통하였다. 그 후 31년 만인 2015년이 되어서야 전 구간 왕복 4 ~ 6차로 규모로 확장을 완료하면서 현재의 '광주대구고속도로'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개요[편집]

광주대구고속도로는 대한민국에서 상당히 긴 횡축 노선으로, 개통 당시는 총연장이 182km였고 확장 공사를 통해 구간 선형이 대폭 개량되면서 176km로 단축되었다. 기점의 경우 원래 88올림픽고속도로 시절에는 전라남도 담양군에 소재한 고서 분기점이었으나, 2015년 12월 22일 확장개통과 동시에 광주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현재의 문흥 분기점이 기점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확장개통과 함께 변경된 광주대구고속도로라는 현재의 명칭에 맞추고자 하는 차원인 것도 있고, 문흥 분기점에서 접속되는 광주제2순환도로가 광주대구고속도로와 같은 계통인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연결되는 측면도 고려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호남고속도로의 문흥 분기점 - 고서 분기점 구간은 두 고속도로의 번호가 중첩 적용되어있다.

88올림픽고속도로는 대한민국 최초 콘크리트 포장 도로이다. 1990년대부터 확장공사가 끝날때까지 왕복 2차로라고 욕먹었지만 , 개통 당시에는 왕복 2차로 고속도로가 드물지 않았을 뿐더러 대부분의 나들목이 입체교차를 했기 때문에 건설 당시만 해도 최고사양의 고속도로였다. 그러나 이 도로가 까이게 된건 다른 고속도로들이 선형이 개량되고 전부 완전 입체화가 완료되는 200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도록 중앙분리대가 없는 왕복 2차로 고속도로로 유지되었기 때문. 여기에 현 시점이라면 상상도 못할 평면교차로 하나가 본선에 끼어있었기까지 하는 등 1980년대랑 별 차이 없는 낙후된 요소들이 개선되지 않은 채 이어져 왔고, 이로 인한 높은 사고 발생률로 인해 죽음의 고속도로라는 오명까지 썼다.

전남 - 대경권을 직접 연결하는 횡축 간선인데다 수요도 나름 있었으나, 도로가 지나가는 지역이 워낙 산세가 험해서 도로 개량은 차일피일 미뤄져왔다. 일단 2006년에 비교적 개량하기 편한 고서 - 담양 인근, 동고령 - 옥포 구간이 먼저 확장되었으며, 2008년 이후 나머지 구간 확장 공사를 시작해서 2015년 12월 22일 함양산삼골휴게소에서 확장 개통식을 갖고 정식 개통하였다.

개통 당시 노선번호는 9번이었으나 2001년 노선번호 개편으로 12번으로 변경되었으며, 이 노선번호는 몇 년뒤에 건설된 무안광주고속도로와 공유하고 있다. 무안광주선이 호남고속도로와 직접 연결되지 않아 고속도로만으로 직접 연결되어있지는 않지만, 그 대신 2015년 도로 개량 완료와 함께 문흥 분기점으로 시점이 변경되면서 광주제2순환도로 - 무진대로를 통해 간접연결되며, 북광산 나들목 - 하남진곡산단로를 통해서는 신호 없이 자동차 전용도로를 통해 연결된다. 향후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가 전면 개통되면 담양 분기점 - 진원JC - 서광산 나들목으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고속도로를 이탈하지 않고 간접연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간접연결에 대해서 비판하는 여론도 있지만, 광주광역시가 광주제2순환도로 바깥까지 개발이 완료된 상태라서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었다. 허허벌판에서 끊어지는 남해고속도로 연결 문제랑은 다르다는 것.

2017년 5월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의 교통공약에 광주대구고속도로 담양 - 해인사 구간을 무료화하겠다는 내용이 있지만, 한국도로공사가 안고 가야하는 적자, 손실 금액으로 인해서 계획 단계에서 제외됐다.

확장 전 기준 교량 118개소, 터널 4개소. 2005년 이후 신설된 교량이 12호선 통합으로 400개소, 12호선 앞으로 등록된 터널이 81개소에 달한다. 12호선이므로 무안광주 포함, 상하행이 별도 기재되어있는점, 구 88올림픽고속도로 구간도 기재되어 있는 점 주의.

역사[편집]

  • 1978년 06월 22일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 담양군 담양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3호의2호선 대전 ~ 순천선의 지선으로 지정
  • 1981년 10월 01일 : 담양 나들목 ~ 옥포 분기점 175.3km 구간 착공
  • 1981년 11월 07일 : 기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에서 '경상북도 달성군 옥포면'으로, 종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에서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으로 변경 및 연장. 이에 따라 고속국도 제9호선 88올림픽고속도로(88올림픽선)으로 노선명 변경
  • 1981년 11월 28일 : 88올림픽고속도로 신설로 인해 경상북도 달성군 옥포면 ~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 175.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84년 03월 21일 : 지리산휴게소 건설로 인해 전라북도 남원군 아영면 아곡리 8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지리산 나들목 출입시설 건설로 인해 남원군 아영면 인풍리 ~ 봉대리 3.3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거창휴게소 건설로 인해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도리 8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양전교차로 출입시설 건설로 인해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양전동 21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성산 나들목 출입시설 건설로 인해 고령군 성산면 어곡동 13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84년 05월 29일 : 장수 나들목 건설로 인해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 ~ 월석리 2.89km 구간을 3.06km로 도로구역 변경
  • 1984년 06월 27일 : 담양 나들목 ~ 옥포 분기점 175.3km 구간 개통[7]
  • 1995년 03월 14일 : 1995년 12월까지 성산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어곡리 3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5년 04월 03일 : 1995년 12월까지 고령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고곡리 200m 구간을 820m로 도로구역 변경
  • 1995년 10월 16일 : 1996년 12월까지 순창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2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5년 11월 06일 : 1996년 12월까지 담양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반룡리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7년 06월 : 경남 거창군 주상면 성기리 주변 성기대교의 트럭의 현대 포터 운전자 한준영씨와 현대 엑셀 운전-탑승자 2명이 충돌하여 가스통 최대 30개를 싣은 트럭이 성기대교로 47m ~ 60m로 아래로 추락하여 폭발사고 발생. (이 방송은 1997년 9월 10일 방송된 KBS 1TV《긴급구조 119》〈동양 최고 구조작전〉의 재연에서 나왔음)
  • 1997년 06월 27일 : 가조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대초리 9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6년 07월 01일 : 행정구역 개편으로 기점을 '경상북도 달성군 옥포면'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으로 변경
  • 1998년 10월 22일 : 함양 분기점 개통
  • 1999년 11월 02일 : 2001년 12월까지 거창 나들목, 가조 나들목, 남원 나들목, 장수 나들목, 지리산 나들목, 함양 나들목, 해인사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북도 남원시 월락동 ~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야로리 97.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2001년 08월 25일 : 기점과 종점을 각각 대구 달성군 → 전남 담양군에서 전남 담양군 → 대구 달성군으로 변경. 노선번호를 제9호에서 제12호로 변경.
  • 2001년 09월 14일 : 2006년까지 담양 나들목 ~ 고서 분기점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늑곡리 ~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 16.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1년 10월 10일 : 2001년 12월까지 지리산 나들목 임시 요금소 설치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인풍리 ~ 봉대리 1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1년 11월 21일 : 익산포항고속도로 장수 나들목 ~ 장수 분기점 구간 개통으로 인해 기존 장수 나들목이 남장수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 2001년 12월 : 고서 분기점 ~ 담양 나들목, 성산 나들목 ~ 옥포 분기점 확장 공사 착공
  • 2002년 01월 17일 : 2005년까지 성산 나들목 ~ 옥포 분기점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간경리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족리 13.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2년 07월 24일 : 2003년 12월까지 가조 나들목 광주방향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북도 거창군 가조면 일부리 1.3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2년 12월 05일 :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 광주광역시 광산구 구간을 88올림픽고속도로로 연장 지정
  • 2002년 12월 06일 : 2007년 12월까지 무안 ~ 광주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41.6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2002년 12월 : 무안공항 나들목 ~ 운수 나들목 전 구간 착공
  • 2005년 12월 29일 : 2006년까지 논공휴게소 (대구방향) 신설 및 논공휴게소 (광주방향) 확장을 위해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간경리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족리 13.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6년 12월 04일 : 동고령 나들목 ~ 옥포 분기점 13.2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개통, 논공휴게소가 임시 휴게소로 재개장, 성산 나들목이 동고령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및 나들목 이설. 단, 동고령 나들목의 요금소 명칭은 성산 요금소로 유지.
  • 2006년 12월 07일 : 고서 분기점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장장리 16.34km 구간 왕복 4 ~ 6차로 확장 개통 및 담양 분기점 개통
  • 2007년 09월 10일 : 담양 ~ 성산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늑곡리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족리 133.8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7년 11월 09일 : 무안공항 나들목 ~ 나주 나들목 30.4km 구간 개통
  • 2007년 11월 30일 : 고령 분기점 개통
  • 2008년 01월 03일 : 무안 ~ 광주(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 광주광역시 광산구) 구간을 무안광주고속도로 구간으로 분할
  • 2008년 11월 20일 : 전라남도 / 전라북도 경계~ 동고령 나들목 142.7 km 확장 공사 착공
  • 2010년 06월 03일 : 2015년까지 담양 ~ 성산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에 대안 설계로 인한 선형 변경 등을 위해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늑곡리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족리 142.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0년 07월 23일 : 2015년까지 담양 ~ 성산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10공구 턴키설계 반영을 위해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정장리 ~ 가조면 동례리 8.5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고서 분기점부터 옥포 분기점까지 183.03km 구간을 88올림픽고속도로로 고시, 남원 분기점 개통
  • 2011년 12월 21일 : 고서 ~ 담양 구간 신설 개통으로 인해 기존 담양군 담양읍 반룡리 ~ 금성면 대곡리 8.0km 구간 폐지
  • 2015년 0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보촌리', 종점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본리리'로 명시
  • 2015년 12월 22일 : 기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고서 분기점)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문흥 분기점)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88올림픽선'에서 광주대구고속도로(광주 ~ 대구선)로 변경, 이에 따라 문흥 분기점 ~ 고서 분기점 구간이 호남고속도로와의 중복 구간으로 지정됨. 전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및 함양산삼골휴게소 신설 개장
  • 2015년 12월 29일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142.8km 구간 4차로 확장 개통, 4차선 확장 개통에 따라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폐지
  • 2016년 06월 04일 : 논공휴게소가 정식 휴게소로 재개장
  • 2016년 07월 27일 : 함양산삼골휴게소가 정식 휴게소로 재개장 및 함양산삼골동서만남의광장휴게소로 변경
  • 2016년 09월 30일 : 도로명주소에 명칭을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광주대구고속도로로, 기점을 고서 분기점에서 문흥 분기점으로, 도로 선형을 확장 이설한 구간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을 175.64km 구간으로 변경 고시
  • 2016년 11월 25일 : 대구방향 논공휴게소가 국도 제5호선와 연계하는 '국도 개방형' 고속도로 휴게소로 전환
  • 2016년 12월 08일 : 고속도로 선형개량에 따라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장장리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족리 133.88km 구간과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정장리 ~ 가조면 동례리 8.5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및 고속도로로 이용되지 않는 기존 구간인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장장리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족리 54.054km 구간 도로구역 폐지
  • 2020년 01월 06일 : 2020년 9월까지 서함양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함양군 병곡면 월암리 ~ 함양읍 대덕리 1.0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20년 10월 19일 : 서함양 나들목 개통

구성[편집]

차로수[편집]

  • 담양 분기점 ~ 동고령 나들목: 왕복 4차로
  • 동광주 요금소 ~ 고서 분기점 (호남고속도로 중첩 구간), 고서 분기점 ~ 담양 분기점, 동고령 나들목 ~ 고령 분기점, 논공휴게소 ~ 옥포 분기점 : 왕복 6차로 (단, 논공휴게소에서 고령 분기점까지 광주 방면 편도 2차로.)
  • 문흥 분기점 ~ 동광주 요금소 (호남고속도로 중첩 구간) : 왕복 8차로

총연장[편집]

  • 181.87 km

제한속도[편집]

  • 전 구간 최고 100 km/h, 최저 50 km/h

터널[편집]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담양2터널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오계리 955m 2006년 대구 방면
918m 광주 방면
담양1터널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학동리 680m 2006년 대구 방면
685m 광주 방면
남원터널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옥택리 1,601m 2015년 대구 방면
1,544m 광주 방면
교룡산터널 전라북도 남원시 산곡동 47m 2015년
산동1터널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 217m 2015년 대구 방면
197m 광주 방면
산동2터널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 65m 2015년 대구 방면
산동3터널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 66m 2015년 대구 방면
104m 광주 방면
산동4터널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 319m 2015년 대구 방면
369m 광주 방면
산동5터널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 434m 2015년 대구 방면
436m 광주 방면
산동6터널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월석리 216m 2015년
산동7터널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 699m 2015년 대구 방면
669m 광주 방면
번암1터널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 262m 2015년 대구 방면
274m 광주 방면
번암2터널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 160m 2015년
사치터널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 130m 2015년
백전1터널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오천리 620m 2015년
백전2터널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오천리 400m 2015년
병곡1터널 경상남도 함양군 병곡면 옥계리 324m 2015년 대구 방면
309m 광주 방면
병곡2터널 경상남도 함양군 병곡면 송평리 583m 2015년 대구 방면
640m 광주 방면
수동터널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하교리 514m 2015년 대구 방면
624m 광주 방면
살피재터널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둔마리 1,170m 2015년 대구 방면
1,175m 광주 방면
가조터널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도리 1,559m 2015년 대구 방면
1,573m 광주 방면
가야1터널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성기리 1,229m 2015년 대구 방면
1,214m 광주 방면
가야2터널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성기리 750m 2015년 대구 방면
742m 광주 방면
가야3터널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현리 1,684m 2015년 대구 방면
1,692m 광주 방면
야로1터널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묵촌리 627m 2015년 대구 방면
594m 광주 방면
야로2터널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묵촌리 789m 2015년 대구 방면
773m 광주 방면
야로3터널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청계리 760m 2015년 대구 방면
743m 광주 방면
쌍림터널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산당리 856m 2015년 대구 방면
846m 광주 방면
고령터널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장기리 555m 2015년 광주 방면
성산1터널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양전리 499m 2015년 대구 방면
482m 광주 방면
성산2터널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양전리 281m 2015년 대구 방면
255m 광주 방면

나들목 · 분기점[편집]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호남고속도로 중첩 구간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이전은 무안광주고속도로 참고. 25호선 호남고속도로 직결
11 문흥 분기점 Munheung JC - 0.00 25호선 호남고속도로

제2순환로

(국도 제29호선 (동문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동문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동문대로))

TG 동광주 요금소 E.Gwangju TG 본선요금소
12 고서 분기점 Goseo JC 4.68 4.68 25호선 호남고속도로

13 담양 분기점 Damyang JC 3.38 8.06 253호선 고창담양고속도로 분기점 내 버스정류장이 설치됨
14 담양 Damyang 3.36 11.42 담양로

(국도 제29호선 (죽향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죽향대로))

(담양88로)

SA 강천산휴게소 Gangcheonsan SA

양방향
15 순창 Sunchang 18.20 29.62 교성로·순창로
16 남원 분기점 Namwon JC 17.56 47.18 27호선 순천완주고속도로 남원시
SA 남원휴게소 Namwon SA 양방향(간이 휴게소)

(양방향 주유소 없음)

17 남원 Namwon 9.04 56.23 국도 제24호선 (충정로)

오들로

18 동남원 E.Namwon 9.49 65.72 남장로

(국도 제19호선 (장수로))

(지방도 제743호선 (장수로))

18 남장수 S.Jangsu 15.20 68.10 국도 제19호선 (장수로)

평면 교차로

2015년 11월 12일 고속도로 나들목 기능 폐지

2016년 9월 2일 지방도 제743호선의 교차로로 격하

SA 지리산휴게소 Jirisan SA

양방향
19 지리산 Jirisan 11.51 77.23 아백로·인월장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37호선 (유곡로))

(국도 제24호선 (황산로))

19-1 서함양 W.Hamyang 13.94 91.17 병곡지곡로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대구방향 진입과 광주방향 진출만 가능

20 함양 Hamyang 17.81 95.03 지방도 제1084호선

(고운로)

21 함양 분기점 Hamyang JC 1.88 96.91 35호선 통영대전고속도로
SA 함양산삼골동서만남의광장휴게소 Hamyang Sansamgol East

and West Underground Rendezvous SA

양방향

(양방향 주유소 없음)

22 거창 Geochang 24.21 121.12 국도 제24호선 (거함대로)

국도 제26호선 (거함대로)

지방도 제1089호선 (거함대로)

23 가조 Gajo 10.52 131.64 지방도 제1099호선 (지산로)
SA 거창韓휴게소 Geochanghan SA 양방향
24 해인사 Haeinsa 14.83 146.47 지방도 제1084호선 (가야산로)

(지방도 제1036호선 (가야산로·미숭산로))

25 고령 Goryeong 6.39 152.86 지방도 제1011호선 (쌍쌍로)

(국도 제26호선 (대가야로))

(국도 제33호선 (대가야로))

양전 Yangjeon 6.70 166.10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성산로) 대구방향 진입과 광주방향 진출만 가능

1995년 12월 27일 폐쇄

26 동고령 E.Goryeong 12.04 164.90 지방도 제905호선 (성산로)

(국도 제26호선 (동고령로))

(지방도 제905호선 (성암로))

구 성산 나들목
27 고령 분기점 Goryeong JC 1.39 166.29 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광주방향의 경우 중부내륙고속도로(창원방향) 진출 불가능
SA 논공휴게소 Nongong SA

양방향
28 옥포 분기점 Okpo JC 9.92 176.21 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대구방향의 경우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현풍방향) 진출 불가능
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직결

통과 지역[편집]

  • 북구 (문흥동 - 장등동 - 망월동)
  • 담양군 (고서면 - 창평면 - 봉산면 - 무정면 - 담양읍 - 금성면)
  • 순창군 (금과면 - 팔덕면 - 순창읍 - 유등면) - 남원시 (대강면 - 주생면 - 대산면 - 화정동 - 신정동 - 산곡동 - 용정동 - 월락동 - 고죽동 - 식정동 - 이백면 - 산동면) - 장수군 번암면 - 남원시 아영면
  • 함양군 (백전면 - 병곡면 - 함양읍 - 지곡면 - 함양읍 - 지곡면 - 수동면) - 거창군 (남상면 - 거창읍 - 남하면 - 가조면) - 합천군 (가야면 - 야로면)
  • 고령군 (쌍림면 - 고령읍 - 개진면 - 성산면)
  • 달성군 (논공읍 - 옥포읍)

구 88올림픽고속도로[편집]

확장 개통되기 전 명칭은 88올림픽고속도로였으며, 담양 나들목 ~ 동고령 나들목 구간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왕복 2차로 고속도로구간으로 중간에 추월차로가 가끔 등장하며, 뒷차에게 먼저 가도록 양보하기 위한 비상주차대도 많다. 이 도로의 제한속도는 80 km/h이다. 그리고 급커브 구간이 굉장히 많고 고개의 구배가 심하며 중앙분리대가 없는 유일한 고속도로로 유명했다. 규정 상 80 km/h이고, 실제로는 추월을 일삼으며 평균 90 ~ 100 km/h의 속도를 낸다. 그래서 사망 사고율이 대략 30% ~ 40% 정도로 다른 고속도로에 비하여 매우 높은 편에 속했다. 사고 치사율이 높아서, 한국도로공사에서는 해당 고속도로의 통행료를 확장 개통 이전까지 다른 고속도로에 비해 저렴하게 받고 있었다.] 실제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중에서 사고가 많이 일어나 죽음의 고속도로 또는 44내림픽저속도로라는 오명을 얻게 되었다.

88올림픽고속도로가 왕복 2차선으로 개통될 당시 남장수 나들목뿐 아니라 가조 나들목도 평면 교차로였다. 2001년 고서 분기점부터 담양 나들목까지, 성산 나들목부터 옥포 분기점까지 구간이 확장되기 시작하면서 이설 구간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전 구간의 확장/개량 공사를 마치기 전에 통영대전고속도로 및 순천완주고속도로와 접속하는 함양 분기점과 남원 분기점은 미리 4차선으로 확장을 마쳤다.

광주대구고속도로로 이설 후 일부 왕복 2차선 구간은 일반도로로 활용되고 있으며, 활용 중인 구간은 다음과 같다.

  • 담양88로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반룡삼거리 ~ 대곡 교차로, 6.684km)
  • 도로명 미상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입암리 ~ 대산면 풍촌리)
  • 남장로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부절리 ~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 : 일부 구간은 동남원 나들목 진출입로로, 일부 구간은 지방도 제743호선으로 활용되고 있다.
  • 도로명 미상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대평사거리 ~ 병곡면 도천 교차로) : 지방도 제1001호선으로 활용되고 있다.
  • 거창88로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 ~ 가조면 동례리, 5.89km)
  • 도로명 미상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도리 ~ 합천군 야로면 해인사 나들목) : 활용 예정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광주대구고속도로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