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네피도(버마어: နေပြည်တော် 네삐도, 영어: Naypyidaw 또는 Nay Pyi Taw)는 미얀마의 수도이다. 2005년 11월 6일 미얀마의 행정 수도로 이전되었다. 삔머나에서 서쪽으로 3.2km, 옛 수도인 양곤에서 북쪽으로 3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미얀마인들은 "양곤은 경제수도, 만달레이는 역사와 문화의 수도, '네피도'는 정치와 행정의 수도"라고 설명한다.
미얀마 정부의 소재지인 네피도는 연방의회, 대법원, 대통령궁, 미얀마 내각 관저, 정부 부처 및 군 본부가 있는 곳이다. 네피도는 큰 크기와 매우 낮은 인구밀도의 특이한 조합으로 유명하다. 이 도시는 제24회 및 제25회 아세안 정상회의, 제3회 BIMSTEC 정상회의, 제9회 동아시아 정상회의, 201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14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수도로 지정된 이후로는 인구가 매년 큰폭으로 증가하지만, 네피도의 면적이 서울의 10배를 넘는 데다가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곳이 많아 양곤에 비해 황량한 모습은 여전하다.
네삐도는 미얀마어로 "왕국의 도읍지(수도)" 또는 "왕이 사는 곳"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이 단어는 만덜레와 같은 수도를 지칭하는데 사용되었다.
- 지역: 네피도 연방주
- 면적: 7,054.37km²
- 인구: 640,000명(2020년)
- 시장: Myo Aung (Mayor)
- 2005년 11월 6일에 정부는 네피도가 미얀마 연방의 수도의 기능을 할것을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 2006년 3월 27일에 미얀마 군대기념일에 맞춰 1만 2천 명이 넘는 군인들이 새로운 수도에서 행진을 벌이면서 수도 이전 작전을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 공식화하였다.
- 2002년 삔마나 인근의 허허벌판에 건설을 본격화해 2012년 무렵에야 비로소 자급자족이 가능해진 신도시로 설립되었다.
수도가 이전된 이유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추측이 있다. 네피도는 옛 수도 양곤보다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또한 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정부와 군 수뇌부는 이 지역에 군과 정부의 주둔이 강력한 안정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느꼈다. 수도 이전을 위한 공식적인 설명은 양곤이 너무 혼잡해져서 향후 정부 청사를 확장할 공간이 거의 없다는 것이었다.
네피도는 미얀마의 최대 도시인 양곤과 역사 도시인 만달레이의 사이에 위치한다. 지리적으로 미얀마의 중앙 분지 내부에 있는 페구산맥과 샨고원(Shan Hills, Shan Yoma)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주요 하천인 시탕강 유역에 자리한다. 시가지는 페구산맥과 샨고원이 형성하는 협곡 사이 중앙의 구릉지와 시탕강의 충적지에 조성되어 있으며, 차웅마기댐(Chaungmagi Dam), 앤아웅민댐(Yan Aung Min Dam) 등의 인공저수지가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네피도는 비교적 최근에 건설된 신수도이자 계획도시로 구획대로 토지이용이 수립되어 있다. 주거지역, 정부 지역, 군사지역, 외교지역, 호텔지역, 쇼핑지역 등 구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외교지역 및 주거-상업시설은 가로망의 형태로, 그 외의 지역은 지형에 맞는 형태로 가로망이 구성되어 있다. 사이에는 비교적 넓은 공원이 배치되어 있다. 네피도의 북단 구릉에는 산림이 형성되어 있지만 주변에는 논 등의 농업 토지이용이 주로 배치되어 있다.
네피도는 열대계절풍기후 지역이지만 국토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 미얀마의 다른 지역에 비해 강수량이 적은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25.5℃이며 강수량은 연간 1,482mm정도이다. 강수가 5~10월에 집중되며, 건기가 끝나는 4월에 평균기온이 31℃로 가장 높다.
행정구역[편집]
네피도는 2000년대 초반까지는 만달레이주에 속한 작은 시골 마을에 불과했지만, 수도로 천도가 된 이후는 연방령(Union territory)으로 승격 분리되었다. 과거 이 지역에는 인구 10만의 역사도시 삔마나(Pynmana)나 르웨(Lewe) 정도가 있던 허허벌판이었는데, 새로운 도시와 교통망을 지으며 "연방특별시"로 삼았다.
네피도의 행정구역은 수도 중심의 4개의 행정구(theiddhi)와 기존의 3개의 타운십(Pyinmana, Lewe, Tatkone) 및 새로 개발된 5개 타운십(Zeyar Thiri, Pohba Thiri, Uttara Thiri, Zabu Thiri, Dekina Thiri)으로 구분되어, 총 4개 행정구와 8개 타운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 구조[편집]
네피도는 행정중심도시로 철저하게 계획된 건물과 목적에 따른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도시는 행정단지, 주거지역, 외교단지, 호텔 지역, 쇼핑지역, 여가 및 공원 부지로 구분된다.
- 수도의 기능이 집중된 행정단지에는 주로 현대식 건물이 건설되어 있지만, 국회의사당(Pyidaungsu Hluttaw) 건물만큼은 전통양식을 택하였다. 미얀마 전통적 왕궁의 처마 디자인을 차용한 뺫땃(pyat-that) 다양식의 지붕이 탑처럼 층층이 위로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는 하늘로 솟구친 모양새를 보인다.
- 지금도 많은 고위급 정치인들과 관료들이 양곤과 네피도를 오가며 산다. 집은 양곤에 있고 아이들 교육도 거기서 하지만 본인만 주중에 네피도에 있는 식이다. 최근엔 네피도의 도시 인프라가 뚜렷하게 개선되면서 이러한 사례는 줄어들고 있다. 특히 군인들의 경우에는 자신이 속한 부대 인근에서 군인가족들이 모두 함께 관사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단결력이 더 특별하다는 평가다. 네피도에만 1,200여 동의 공무원 아파트가 지어졌고 추가로 각종 고등교육기관과 생활편의시설 건립이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 외교단지는 장기적으로 해외공관의 유치를 위해 조성되었으나, 현재 네피도에 대사관을 두고 있는 나라는 국제연합(UN)과 방글라데시가 대표적이고, 미국과 한국, 일본을 포함한 대부분 국가의 대사관은 여전히 양곤에 머물러 있다.
- 다음으로 외국인이나 외지인들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곳은 호텔 지역이다. 초기에 네피도에는 주로 고급 호텔만 있었지만 2013년 동남아시아게임과 월드이코노믹포럼을 개최하면서 도시의 인프라가 크게 개선되어 숙소 환경은 물론 놀거리와 볼거리가 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제행사가 열리는 곳은 미얀마국제컨벤션센터(MICC)로 호텔 존과 외교단지에서 그리 멀리 있지 않다.
네피도는 샨주, 카야주, 카인주와 인접해 있어 국가 교통의 중심에 해당한다. 또한 여러 주의 경계에 접해 있어 화물 수송에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주요 도시인 양곤에서 만달레이, 바간 등지에서 철도와 버스를 타고 갈 수 있다. 미얀마의 도시 간 이동은 보통은 버스가 가장 편리하다. 2011년에는 네피도국제공항(IATA: NYT; ICAO: VYEL)이 개항해 비행기로도 이동할 수도 있다. 네피도 시내에서 공항까지는 차로 30분가량 걸린다. 시내에서는 택시가 거의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도시가 크고 여타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이 부족해 차 없이는 이동이 불편할 경우가 많다.
- 양곤 국립대 경제학과 네피도 캠퍼스(Yangon University of Economics(NayPyiTaw Campus)
- 예진 농업대학교 Yezin Agricultural University; YAU)
- 산림대학(University of Forestry and Environmental Science)
- 행정개발대학원(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GSAD)
- 국방대학교(National Defence College; NDC)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이 네피도 문서는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 신도시, 한국행정구역, 세계행정구역, 지도서비스, 관광지,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건설, 토지
|
|
도시
|
경제도시 • 경제수도 • 계획도시 • 고대도시 • 공업도시 • 공정무역도시 • 관광도시 • 광업도시 • 광역시 • 교육도시 • 교통도시 • 근대도시 • 농업도시 • 뉴타운 • 다핵도시 • 대도시 • 대형신도시 • 도시 • 무역도시 • 문화도시 • 미래도시 • 사막도시 • 산악도시 • 산업도시 • 상업도시 • 생산도시 • 성도 • 소도시 • 소비도시 • 수도 • 수변도시 • 슬럼 • 슬럼화 • 신도시 • 어업도시 • 위성도시 • 자치시 • 주도 • 중세도시 • 중소도시 • 직할시 • 천도 • 초대형신도시 • 특별시 • 항구도시 • 해변도시 • 행정도시 • 행정수도 • 혁신도시 • 현대도시 • 호수도시 • 휴양도시
|
|
한국의 도시
|
개성시 • 광주광역시 • 남포시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라선시 • 부산광역시 • 서울특별시 • 세종특별자치시 • 신의주시 • 울산광역시 • 원산시 • 인천광역시 • 평양시 • 함흥시
|
|
중국의 도시
|
가오슝시 • 광저우시 • 구이린시 • 구이양시 • 난닝시 • 난징시 • 난창시 • 난충시 • 난퉁시 • 닝보시 • 다롄시 • 단둥시 • 동관시(둥관시) • 라싸시 • 란저우시 • 루안시 • 뤄양시 • 류저우시 • 마카오 • 무단장시 • 바오딩시 • 베이징시 • 산터우시 • 상하이시 • 샤먼시 • 선양시 • 선전시 • 스자좡시 • 시닝시 • 시안시 • 싼야시 • 쑤저우시 • 안산시 • 안양시 • 양저우시 • 옌지시 • 옌타이시 • 오르도스시 • 우루무치시 • 우시시 • 우쩐시 • 우한시 • 우후시 • 원저우시 • 웨이하이시 • 인촨시 • 장먼시 • 장자제시(장가계) • 정저우시 • 지난시 • 지린시 • 진화시 • 쯔보시 • 창사시 • 창저우시 • 창춘시 • 청두시 • 충칭시 • 취안저우시 • 치치하얼시 • 칭다오시 • 쿤밍시 • 타이난시 • 타이베이시 • 타이안시 • 타이위안시 • 타이저우시 • 타이중시 • 톈진시 • 포산시 • 푸양시 • 푸저우시 • 하얼빈시 • 하이커우시 • 항저우시 • 허페이시 • 홍콩 • 화이안시 • 후이저우시 • 훈춘시
|
|
일본의 도시
|
가나자와시 • 고베시 • 나고야시 • 니이가타시 • 도쿄 • 삿포로시 • 센다이시 • 오사카시 • 요코하마시 • 후쿠오카시 • 히로시마시
|
|
북아시아의 도시
|
노보시비르스크 • 블라디보스토크 • 비로비잔 • 야쿠츠크 • 울란바토르 • 이르쿠츠크 • 하바롭스크
|
|
동남아시아의 도시
|
네피도 • 다낭 • 다바오 • 딜리 • 마닐라 • 마카사르 • 만달레이 • 메단 • 메트로마닐라 • 바탐 • 반다르람풍 • 반다르스리브가완 • 반둥 • 발릭파판 • 방콕 • 브카시 • 비엔티안 • 세부 • 수라바야 • 스마랑 • 싱가포르 • 양곤 • 욕야카르타(족자카르타) • 자야푸라 • 자카르타 • 조호르바루 • 치앙라이 • 치앙마이 • 케손시티 • 코타키나발루 • 쿠알라룸푸르 • 파타야 • 팔렘방 • 프놈펜 • 하노이 • 하이퐁 • 호치민
|
|
남아시아의 도시
|
뉴델리 • 다카 • 델리 • 라왈핀디 • 라호르 • 러크나우 • 말레 • 뭄바이 • 벵갈루루 • 수랏 • 아마다바드 • 이슬라마바드 • 첸나이 • 치타공 • 카라치 • 카불 • 카트만두 • 칸푸르 • 콜롬보 • 콜카타(캘커타) • 팀부 • 파이살라바드 • 푸네 • 하이데라바드 (인도) • 하이데라바드 (파키스탄)
|
|
중앙아시아의 도시
|
두샨베 • 비슈케크 • 사마르칸트 • 아스타나(누르술탄) • 아시가바트(아슈하바트) • 아티라우 • 악타우 • 알마티 • 오시 • 카라간다 • 타슈켄트 • 투르크멘바시
|
|
서아시아의 도시
|
가지안테프 • 나흐츠반 • 네옴시티 • 다마스커스 • 더 라인 • 도하 • 두바이 • 라말라 • 레프코샤 • 리야드 • 마나마 • 마슈하드 • 메디나 • 메카 • 무스카트 • 바그다드 • 바쿠 • 베이루트 • 부르사 • 사나 • 수에즈 • 수후미 • 쉬라즈 • 스테파나케르트 • 아다나 • 아바즈 • 아부다비 • 암만 • 앙카라 • 예레반 • 예루살렘 • 옥사곤 • 이스탄불 • 이스파한 • 이즈미르 • 제다 • 츠힌발리 • 카라지 • 콘야 • 쿠웨이트시티 • 쿰 • 타브리즈 • 테헤란 • 텔아비브 • 트로제나 • 트빌리시
|
|
유럽의 도시
|
그로즈니 • 나폴리 • 니코시아 • 다보스 • 더블린 • 런던 • 레이캬비크 • 로마 • 로스토프나도누 • 룩셈부르크 • 류블랴나 • 르비우 • 리가 • 리버풀 • 리스본 • 마드리드 • 마르세유 • 마리우폴 • 마하치칼라 • 맨체스터 • 모스크바 • 뮌헨 • 민스크 • 밀라노 • 바르나 • 바르샤바 • 바르셀로나 • 바젤 • 버밍엄 • 베르겐 • 베른 • 베를린 • 베오그라드 • 보로네시 • 본 • 볼로냐 • 볼프스부르크 • 부다페스트 • 부쿠레슈티 • 브라티슬라바 • 브레멘 • 브뤼셀 • 블라디캅카스 • 빈(비엔나) • 빌뉴스 • 사라예보 • 상트페테르부르크 • 세바스토폴 • 소치 • 소피아 • 슈투트가르트 • 스코페 • 스타브로폴 • 스톡홀름 • 아테네 • 아스트라한 • 암스테르담 • 에든버러 • 예테보리 • 오데사 • 오슬로 • 오울루 • 자그레브 • 제네바 • 추크 • 취리히 • 카디프 • 코번트리 • 코펜하겐(쾨벤하운) • 쾰른 • 크라스노다르 • 키시너우 • 키이우 • 탈린 • 탐페레 • 토르스하운 • 토리노 • 티라나 • 티라스폴 • 파리 • 포드고리차 • 프라하 • 프랑크푸르트 • 하르키우 • 함부르크 • 헬싱키
|
|
북아메리카의 도시
|
과테말라 • 나소 • 누크 • 뉴욕 • 댈러스 • 덴버 • 디트로이트 • 라스베이거스 • 레드우드시티 • 로스앤젤레스 • 로체스터 • 마나과 • 마운틴뷰 • 마이애미 • 멕시코시티 • 몬트리올 • 바스테르 • 밴쿠버 • 벨모판 • 보스턴 • 빅토리아 • 산토도밍고 • 산호세 • 산호세 (코스타리카) • 새크라멘토 • 샌디에고 • 샌프란시스코 • 샬럿 • 서니베일 • 세인트루이스 • 세인트존스 • 시애틀 • 시카고 • 애틀랜타 • 앵커리지 • 오스틴 • 오타와 • 올랜도 • 워싱턴디씨 • 인디애나폴리스 • 잭슨빌 • 캔자스시티 • 퀘벡 • 클리블랜드 • 킹스톤 • 테구시갈파 • 토론토 • 티후아나 • 파나마 • 팰로앨토 • 포르토프랭스 • 포틀랜드 • 프리포트 (바하마) • 피닉스 • 피츠버그 • 필라델피아 • 하바나 • 휴스턴
|
|
남아메리카의 도시
|
과야킬 • 라파스 • 리마 • 리우데자네이루 • 마라카이보 • 메데인 • 몬테비데오 • 보고타 • 부에노스아이레스 • 브라질리아 • 산타크루즈 • 산티아고 • 상파울루 • 수크레 • 아순시온 • 조지타운 • 카라카스 • 키토 • 파라마리보 • 푼타아레나스
|
|
아프리카의 도시
|
기자 • 나이로비 • 다르에스살람 • 더반 • 라고스 • 라바트 • 루안다 • 모가디슈 • 보사소 • 브라자빌 • 빅토리아 • 생드니 • 아디스아바바 • 아부자 • 아비장 • 안타나나리보 • 알렉산드리아 • 알제 • 요하네스버그 • 이바단 • 카노 • 카사블랑카 • 카이로 • 캄팔라 • 케이프타운 • 킨샤사 • 튀니스 • 트리폴리 • 포트루이스 • 프리토리아 • 하르게이사 • 하르툼(카르툼)
|
|
오세아니아의 도시
|
누메아 • 누쿠알로파 • 마주로 • 마타우투 • 멜버른 • 브리즈번 • 사우스타라와 • 사이판 • 수바 • 시드니 • 아바루아 • 아타푸빌리지 • 아피아 • 알로피 • 애들레이드 • 오클랜드 • 울런공 • 웰링턴 • 응어룰무드 • 캔버라 • 크라이스트처치 • 파고파고 • 파페에테 • 팔리키르 • 퍼스 • 포트모르즈비 • 포트빌라 • 푸나푸티 • 하갓냐 • 호놀룰루 • 호니아라 • 호바트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