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셀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NCM, NCA)는 코발트 비중은 낮추고 니켈 비중은 최대한 끌어올린 하이니켈(high nickel) 배터리이다. 일명 K-배터리라고 불리는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는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현황이다.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는 기존의 NCM 삼원계 배터리 뿐만아니라 알루미늄(13Al)을 사용한 NCA 및 NCMA 배터리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1]

개요[편집]

양극은 배터리의 용량과 사용시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양극소재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전자의 수가 달라지고 배터리의 용량과 전압도 결정이 된다.

배터리의 양극에는 리튬산화물의 형태로 리튬이 존재한다. 리튬산화물처럼 양극에서 배터리의 전극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을 '활물질'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도전제, 바인더가 결합된 합제를 알루미늄기재 양쪽에 바르면 양극이 구성된다.

리튬산화물과 결합해 배터리에 적합한 성능을 나타내는 활물질 종류는 크게 ▲LCO ▲NCM ▲NCA ▲LMO ▲LFP로 나뉜다.

결합되는 금속 종류에 따라 특성도 달라지는데, Ni(니켈)은 고용량, Mn(망간)과 Co(코발트)는 안전성, AI(알루미늄)은 출력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생산되는 전기차는 NCA, NCM, LMO 양극 소재를 적절히 혼합해 사용되고 있다. LFP의 경우 안전성은 높지만 에너지밀도가 낮고 부피가 큰 데다 출력도 낮아서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업체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다.

전기차에 주로 사용되는 배터리 양극 소재들을 살펴봤을 때 주목해야할 소재는 니켈히다. 니켈 함유량을 얼마나 높이느냐에 따라 에너지 밀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니켈 함유량이 높아지면 더 많은 양의 리튬이온이 쉽게 왔다 갔다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니켈 비중이 높은 배터리를 전기차에 탑재할 경우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고, 동일한 용량의 배터리를 더 적은 무게와 작은 부피로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가격 변동성이 크고 고가의 광물인 코발트 함량을 줄일 수 있어 업체 입장에서는 원가 경쟁력 확보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삼성SDI는 2015년 니켈 함량 88% 이상의 하이니켈 NCA 양극 소재를 전동공구용 원형배터리에 적용했다. 또 2021년부터 양산되는 5세대 전기차용 배터리에도 니켈 88%의 하이니켈 NCA 양극 소재를 적용할 계획이다. LG화학도 2020년 니켈 70%, 코발트 10%, 망간 20%로 구성된 NCM712 배터리를 공급하고, 2021년에는 니켈 비중을 85%이상으로 끌어올린 NCMA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역시 NCM811(니켈 80%, 코발트 10%, 망간 10%) 양극재를 적용한 배터리를 2016년 세계 최초로 개발해 2018년부터 양산 중이며 또 2019년에는 NCM9 1/2 1/2(니켈 90%, 코발트 5%, 망간 5%) 양극재를 채택한 배터리 개발도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2]

종류[편집]

  • NCM 배터리 = 니켈 + 코발트 + 망가니즈를 사용하는 3원계 배터리이다. 분자식은 LiNiMnCoO2이다. NMC 배터리라고도 한다. 니켈 함량을 높인 다양한 비율의 하이니켈 배터리를 사용한다. ( NCM523, NCM622, NCM712, NCM811, NCM9½½ 등)
  • 알루미늄(13Al)을 사용한 NCANCMA 배터리
- NCA (3원계) : 니켈 + 코발트 + 알루미늄 (LiNiCoAlO2)
- NCMA (4원계) : 니켈 + 코발트 + 망가니즈 + 알루미늄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
양극재 소재에 따른 배터리 분류

관련업체[편집]

  • LG화학 : LG화학의 주력 제품은 'NCM(니켈·코발트·망간)'이다. 사용되는 원자재의 비율에 따라 NCM111(니켈·코발트·망간 비율 1:1:1), NCM622(니켈·코발트·망간 비율 6:2:2), NCM712(니켈·코발트·망간 비율 7:1:2), NCM811(니켈·코발트·망간 비율 8:1:1) 등으로 불린다. LG화학이 주력으로 사용하는 배터리는 NCM622였다. 이전에는 NCM111를 많이 사용했다.
LG화학은 2020년 9월 1일, 폴란드 공장에서 파우치형 차세대 NCM 배터리를 양산하기 시작했다. 여기서 생산하는 배터리는 NCM622를 개선한 NCM712다. 니켈 함량을 60%에서 70%로 끌어올리면서, 400~500km였던 주행거리를 500km 이상으로 늘렸다. 이 배터리는 독일 폭스바겐에 공급되고 있다.
테슬라의 모델3에는 NCM811 배터리가 들어간다. 2021년부터는 LG화학과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공동 개발 중인 '얼티움' 배터리가 순차적으로 출시되는 20여종의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이다. 이 배터리는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를 사용한다. 이 배터리에서 니켈 비중을 90% 이상으로 높이면, 600km 이상의 주행거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삼성SDI : 삼성SDI는 2021년부터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배터리' 양산이 목표다. NCA 배터리는 양극재 내 니켈 함량이 88~89%에 달한다. 기존 NCM 배터리 원료로 망간 대신에 알루미늄을 넣어 안전성 문제를 해결했다. NCA 배터리는 10년간 독일 BMW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이다.
  • SK이노베이션 : SK이노베이션은 니켈과 코발트, 망간 비중이 각각 90%, 5%, 5%인 NCM 배터리를 2023년 양산을 시작해 미국 포드에 공급될 예정이다. 양극재 전문업체로부터 NCM 양극재를 공급받아 배터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안정적 수익구조를 구축한다. 이 배터리는 국내 유일 파우치형 NCM 배터리가 될 전망이다.
현대차 아이오닉 5 모델에 SK이노베이션 하이니켈 배터리를 최초로 도입했다. 니켈 비중이 80% 이상인 양극재를 탑재한 배터리로 NCM 811 계열로 니켈과 코발트, 망간의 함유량이 '8:1:1'이다. SK이노베이션은 화재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라믹 코팅 분리막(CCS, Ceramic Coated Separator)'의 품질을 한단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의 분리막은 계열사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생산한 제품이 탑재된다. CCS는 내열성과 관통성을 크게 개선한 제품으로 배터리의 온도가 높아져도 단락이 발생하지 않아 화재의 위험이 적다. 머리카락 25분의 1 수준인 4 마이크로미터 두께인데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평이다.[3]

하이니켈 양극재[편집]

전기차 성능 중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주행거리'와 '충전시간'이다. 2차전지 핵심소재인 양극재의 경우 전기차 배터리 성능(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음극재는 배터리 수명과 충전시간에 영향을 미친다. 1회 충전시 주행거리 600km달성을 위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도 원가를 낮춰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High니켈 기반의 양극재 개발은 국내 포스코그룹이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은 2018년 8월부터 광양 율촌산업단지에 대규모의 High니켈 양극재 생산단지를 조성 중으로, 차세대 배터리 소재인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 투자 확대를 통해 新Mobility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High니켈 양극재는 3원계 소재(NCM, NCA)로 니켈 함량을 높이면서 값비싼 코발트는 상대적으로줄이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니켈 함량이 80%를 넘어가면서 안전성, 출력 특성 확보를 위해 4원계소재 NCMA가 개발되고 있다. 포스코의 NCMA양극재는 용량과 수명이 우수한 NCM(니켈-코발트-망간)과 출력이 우수한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차세대 소재다.

NCM에 알루미늄(AI)을 첨가하여, 니켈이 가지고 있는 불안정성을 줄이며,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켰다. NCMA 양극재는 1회 충전 시 600킬로미터(km) 이상 주행 가능한 3세대 전기차 배터리에 활용될 전망이다.[4]

각주[편집]

  1. 이광영 기자, 〈K배터리, 中 못 만든 '하이니켈 배터리'로 글로벌 선두 굳힌다〉, 《IT조선》, 2020-12-20
  2. 구윤모 기자, 〈Tech 스토리 전기차 배터리, '니켈 함유량' 경쟁…'하이니켈' 왜 뜨나〉, 《뉴스핌》, 2020-09-06
  3. 최승원 기자, 〈K-배터리 미래…'하이니켈'로 선두 굳히고 '전고체' 준비〉, 《뉴스토마토》, 2020-09-28
  4. 남상철 수석 연구원, 〈포스코 2차전지 핵심, 양극재 High~! High니켈〉, 《포스코뉴스룸》, 2020-09-07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 문서는 배터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