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마감재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마감재(finishing materials)는 겉면을 마감하는 데 쓰는 재료이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편집]

마감재는 도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도료 혹은 소재이다. 도색이 완성된 킷의 생활 대미지로부터 도료를 보호해 주며, 빛이나 수분 등 환경에 의한 도료 손상을 지연하거나 보호해 준다. 하지만 마감재를 사용하더라도 빛에 의한 도장면 탈색은 막을 수 없다. 도료 마감재는 도장면의 광량을 무광이나 반광, 유광 등으로 통일해 주는 기능을 한다.[1] 마감을 해야 하는 이유는 첫째, 목재의 수축과 팽창을 막기 위해서이다. 둘째는 외부의 오염을 막기 위해서이다. 만약 마감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대충 할 경우 금방 때가 타거나 지저분해질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을 막는 것 역시 마감재의 역할이다. 셋째, 마감은 함께 다양한 색을 이용하여 다른 느낌을 낼 수 있다. 최종 마감하기 전에 도색을 하거나 마감 겸용 스테인을 사용하면 단조로운 색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마감재는 인테리어, 자동차, 목재 등 다양한 곳에서 쓰인다. 쓰이는 곳에 따라 사용되는 도료나 소재 등이 각각 다르다.[2]

종류[편집]

자동차[편집]

노르디코[편집]

노르디코(Nordico)는 와인 산업에서 재활용된 코르크 등 재활용 재료로 만든 직물로 구성된 인테리어 신소재이다. 볼보(Volvo)는 천연가죽 대신 시트 등받이, 헤드레스트, 스티어링휠의 일부를 노르디코로 마감했다. 노르디코는 스웨덴핀란드의 숲에서 얻은 바이오 기반의 소재로, 가죽을 사용해 인테리어를 구성했을 때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74% 낮다.[3] 다만 원료가 추적 가능하고 동물 복지에 대한 책임감을 인증받은 업체로부터 공급받은 양모에 한해 울혼방 소재는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4]

플라스틱[편집]

플라스틱은 가볍고, 저렴하며, 내구성도 있고, 가공하기 쉬운 소재이다. 다양한 환경을 맞닥뜨리는 자동차 실내에 쓰기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이 없는 하루는 상상하기 힘들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닐 정도로 현대 사회를 대표하는 소재 중 하나이다. 특히 가공 정도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것도 자동차 업계에서 플라스틱이 각광받는 이유 중 하나이다. 광을 덜 내고 표면을 약간 거칠게 만들어 알루미늄 흉내를 낼 수 도 있고, 하이그로시로 눈부시게 광을 내고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마치 유리 같은 모습도 될 수 있다.[5]

바이오플라스틱[편집]

바이오플라스틱은 재생 가능한 원재료로 만들어지는 플라스틱이다. 넥쏘대시보드, 센터페시아, 하단 패널, 콘솔커버, 운전대 등 실내 마감재 대부분에 바이오플라스틱을 사용했다.[6] 흔히 바이오 소재는 자연계에서 분해 가능한 생물 분해성 플라스틱을 연상하기 쉽지만 내구성이 중요한 자동차는 이러한 생분해성 소재를 채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 석유화학 연료의 사용량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한다. 자동차업계에서 바이오 소재가 가장 보편화된 분야는 섬유 제품이다. 식물성 천연 섬유를 활용한 것으로 지붕시트, 에어필터 등의 내장부품에 적용된다. 식물성 소재는 아마와 황마, 바나나, 용설란 등 식물 줄기와 잎에서 추출해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해 적용되고 있다. 바이오 플라스틱 중에서 전분(Starch based)이 34.1%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만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외, 셀룰로스(Cellulose based) 26.3%, 합성(Synthetic) 22.6%, 글루코스(Glucose based) 17.0% 등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 외에 사탕무·감자·밀 등에서 추출한 젖산(Lactic Acid)에서도 바이오 플라스틱 원료를 얻을 수 있다. 바이오플라스틱이 운전자의 생명 안전과 직결되는 자동차 부품에 널리 사용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화학 플라스틱만큼 품질, 기능, 내구성 측면에서 뛰어난 제품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바이오플라스틱 제조기업과 완성차 및 글로벌 부품사 간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협력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7][8][9]

건축[편집]

나무[편집]

나무는 건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마감재 중 하나이다. 나무는 재질이 부드러운 연재와 단단한 경재로 나뉜다. 그리고 재질은 곧 강도로 이어진다. 연재는 대부분 강도가 낮은 침엽수이고, 경재는 강도가 높은 활엽수다. 부드러운 연재는 가볍고 가공하기 쉽다. 단단한 경재는 곧게 자라 힘을 받는 구조재로 적합하다. 침엽수와 활엽수, 연재와 경재는 실생활에서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다. 나무는 내장재외장재 모두 두루 쓰인다. 마룻바닥이나 천장처럼 내장재로 쓰이는 나무는 단단하고 내구성이 좋은 나무를 쓴다. 도토리가 열리는 참나무(oak)는 인테리어에서 가장 많이 쓰는 목재이다. 결이 촘촘하고 재질이 단단해 내구성이 좋고 하얀색의 백참나무(white oak)나 붉은 기운이 도는 적참나무(red oak)같이 색상이 다양해 취향에 따라 고를 수 있다. 메이플(maple)로 불리는 단풍나무 역시 내장재로 인기가 높다. 충격에 강해 바닥재로 많이 쓰이고 신축성이 좋아 가구로도 안성맞춤이다. 호두나무(walnut)나 벚나무(cherry blossom)도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수종이다. 제각기 고유한 색과 본연의 결이 있으니 취향과 용도, 예산에 따라 고르면 된다.

외장재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들여오는 목재들로, 이름부터 매우 낯설다. 멀바우(Merbau), 이페(Ipe), 방킬라이(Bankilrai) 등은 습하고 더운 곳에서 자라 온도와 습기에 강하다. 특히 이페는 남미에만 있는 수종으로 병충해에 강하고 목재 중 내구성이 가장 뛰어난 편이다. 그러나 가격이 비싸 고급 외장재로 사용된다. 멀바우는 특유의 짙은 갈색이 고급스러운 나무다. 잘 썩지 않고 수축과 팽창도 적지만 물이 닿으면 붉은빛의 물이 배어 나와 반드시 바니쉬로 마감해야 한다. 별도의 약품을 쓰지 않은 온전한 나무의 결을 느끼고 싶다면 방킬라이가 좋다. 방킬라이는 표면이 단단하고 자연 방부 기능이 있어 별도의 화학 처리를 하지 않는다. 내구성도 좋아 데크로 사용하면 좋다. 외장재를 선택할 때는 지역의 특성에 맞는 나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10]

석고보드[편집]

석고보드는 소석고를 주원료로 하여 판상으로 굳힌 것이다. 석고보드는 실내 벽과 천장에 주로 사용되며, 거의 대부분의 천장 마감은 석고보드로 진행한다. 석고보드는 합판 및 다른 자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 기간이 짧고, 단열, 방음, 내화성, 방수 등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석고보드를 많이 사용한다. 석고보드의 종류는 총 8개로, 시공하는 곳에 따라 종류를 잘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일반 석고보드는 일반적인 용도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품이다. 차음 석고보드는 차음 성능이 향상된 제품이고, 방균 석고보드는 방균을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 없는 제품이다. 방수 석고보드는 방수 처리를 하여 습기에 강하고, 전방수 석고보드는 제품 자체로 마감 시공이 가능한 고성능 제품이다. 방화 석고보드는 내화 성능을 향상시킨 제품, 방화방수 석고보드는 방화와 방수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 제품, 고강도 석고보드는 강도를 획기적으로 보완한 제품이다. 또, 석고보드의 모양에 따라서도 나뉜다. 평보드는 석고보드의 측면을 거의 직각으로 성형한 보드로써 벽지 등의 마감하지용으로 적용된다. 테파보드는 석고보드의 길이 방향 양단 부분을 경사지게 성형한 보드로써, 시공 후 경사진 부분끼리 이음매를 조인트컴파운드와 조인트테이프로 메꿈 처리하여 이음매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공법에 적용된다. 베벨보드는 테파보드에 비해 경사지게 처리하는 부위를 좁게 하여 이음매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성형한 보드로써 천정이나 벽체에 사용하여 이음매가 보이지 않도록 시공하는 공법에 적용된다. 특히 벽체를 시공할 경우 우수한 시공성 및 마감성을 나타낸다. 보통 테파보드를 많이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석고보드의 옆면이 경사가 져서 이음매 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깔끔하게 마감되기 때문이다.[11]

벽지[편집]

벽지는 벽면을 보호하고 장식을 위해 바르는 종이이다. 벽지는 다양한 무늬가 있는 것과 무지에 가까운 단순한 줄무늬만 있는 것 등 종류가 다양하며, 방수벽지라고 하여 물로 닦을 수도 있고 방습효과를 내는 것도 있다. 이러한 벽지는 벽포에 비하여 값이 싸고, 빛깔과 무늬가 다양하여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잘 마른다는 장점이 있으나, 흡음효과가 없고 더러움을 많이 타는 것이 단점이다. 벽지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디자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재질, 기능성 등 요소까지 고려해 자신의 취향과 목적에 맞는 제품군을 선택하는 경향이 짙어졌다. 심미성과 내구성을 갖춘 실크벽지, 가성비가 좋은 합지벽지, 드라마틱한 공간을 연출하는 뮤럴벽지, 인체에 이로운 천연벽지, 공간에 특별함을 더하는 지사벽지, 다채로운 소재를 구현하는 목질 벽장재, 나무 본연의 멋을 살린 천연목재 벽장재, 자연을 벽으로 옮긴 듯한 자연소재 벽 마감재, 감각적인 문양의 세라믹 타일 등 다양한 벽지 마감재가 존재한다.[12]

  • 실크벽지 : 종이 위에 PVC를 코팅한 벽지이다. 심미성이 뛰어나고, 색상과 재질이 다양해 입체감을 자유롭게 표현가능하다. 최근에는, 페인트, 패브릭 등 다양한 소재를 구현한 제품까지도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아울러 가벼운 오염 물질이나 먼지를 물걸레로 닦을 수 있고, 잘 찢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습기에 강하고 변색이 비교적 적다.
  • 합지벽지 : 종이로만 제작된 벽지이다. PVC 코팅이 없어 조금 더 친환경적이며, 실크벽지 대비 가격이 약 2배 저렴하다. 인쇄 방법의 발달로 과거대비 디자인이 매우 우수해졌으며, 통풍성이 좋고 시공성도 뛰어나다. 다만, 내구성이 비교적 떨어지고, 종이여서 물걸레로 닦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 뮤럴벽지 : 한 면을 한 장의 사진처럼 시공하는 대형 사이즈의 벽지 제품이다. 풍경, 만화, 캐릭터, 자연 등 아티스트의 감성이 느껴지는 작품을 와이드한 스케일로 즐길 수 있으며, 벽지 하나만으로도 드라마틱한 공간을 연출한다. 다만, 뮤럴벽지는 존재감이 뚜렷하기 때문에 다른 인테리어 자재, 가구와의 조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천연벽지 : 원료를 광물, 식물에서 추출해 만든 순수 천연재료 제품을 말한다. 천연재료를 활용한 물리적 공정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사용한 재료에 따라 원적외선방사, 탈취기능, 항균기능 등 기능성을 지닌다. 특히, 아토피와 피부질환에 효과가 좋다. 현재 시장에는 견운모, 일라이트 등 천연 광물질, 편백나무, 쑥, 라벤더, 허브 등 자연재료를 활용한 천연벽지가 선보여지고 있다.
  • 지사벽지 : 종이를 한 올씩 얇게 꼬아서 만든 종이 실을 엮어 원단처럼 만든 벽지이다. 직물 고유의 입체감, 은은한 색상이 특징이며, 천연소재의 독특한 질감이 실내분위기를 한층 더 고급스럽게 연출해 준다. 또한 통기성 및 보온, 방음, 결로 방지 등 우수한 기능성까지 갖추고 있다. 다만, 오염에 대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 목질 벽장재 : HDF, 혹은 합판 위에 원목, 대리석, 패브릭 패턴 등 모양지를 입혀 디자인 감각을 더하거나 특수 표면 처리를 통해 디자인한 벽 마감재이다. 목질 벽장재의 가장 큰 경쟁력은 다양한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목질 벽장재는 본연의 우드 패턴뿐만 아니라, 대리석, 시멘트, 샌드 스톤, 라임 스톤, 패브릭, 콘크리트, 고재 등 다채로운 패턴을 갖추고 있다. 목질 벽장재를 통해 벽재로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소재를 구현할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 실제 소재 못지않은 촉감까지 갖췄다. 실제 소재 대비 가격도 저렴하다. 예를 들어, 대리석 패턴의 목질 벽장재는 실제 대리석보다 2배 이상 저렴하다. 목질 벽장재는 특별하고 개성 있는 인테리어 연출을 원하는 소비자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주거 시장에서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한 벽면에 특별한 디자인의 목질 벽장재를 시공하는 것만으로도 인테리어 가치는 상당히 올라간다. 또한 목질 벽장재는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고급스럽고 세련된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업시설에서도 선호도가 높다.
  • 천연목재 벽장재 : 각종 목재, 고재 등 원목 제품들을 가공해 제작한 인테리어 벽장재이다. 천연목재 벽장재는 핸드메이드 공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 제품은 구현하기 어려운 깊이 있는 질감, 자연 그대로의 다채롭고 풍부한 색감을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천연목재 벽장재는 디자인이 무난하고 다양하지 못하다는 인식이 있는데, 실제로는 수종과 조합에 따라, 또 제품 구성과 배치에 따라 독창적인 디자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테리어적 가치가 뛰어나고 패턴도 다양하다. 특히, 내추럴과 힐링이 인테리어 트렌드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가공을 최소화하고 본연의 멋을 그대로 살려 날것의 느낌을 주는 천연목재 벽장재가 이목을 끌고 있다. 아울러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은 고재로 제작한 벽장재도 인기를 얻고 있다. 자연에 가까운 디자인을 구현한 고재 벽장재는 빈티지 감성을 재현하면서도 개성 있고 품위 있는 공간 연출이 가능하다.
  • 자연소재 벽 마감재 : 자연소재를 베이스로 하여 생산된 벽 마감재이다. 조각난 조개껍질을 모아 금실로 엮어 만든 자개벽지, 린넨을 직접 엮어 실로 짜낸 질감이 살아 있는 린넨벽지, 강에 떠다니는 부레옥잠의 껍질을 주재료로 한 수초벽지 등 제품은 자연소재를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내추럴하면서도 개성 있는 공간으로 꾸며 주며, 친환경성도 매우 뛰어나다. 여기에 소재에 따라, 습도 조절, 탈취 효과 등 기능성을 갖춘 제품도 있다. 자연소재 벽 마감재 중에서도 특히 이목을 끄는 제품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코르크 소재로 제작된 벽장재다. 코르크 벽장재는 코르크 참나무의 겉껍질과 속껍질 사이의 두껍고 탄력 있는 부분으로 제작되어, 우수한 친환경성·기능성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감촉과 시각적 편안함이 부각되는 제품이다. 또한 인체에 이로운 미생물이 다수 살고 있어 흔히 살아있는 흙이라 불리며 선조 때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천연소재 황토로 제작한 벽 마감재, 악취, 유해물질을 흡착 분해해 청정공기를 생성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잘 알려져 규조토로 제작한 벽 마감재도 입소문을 타면서 호응을 얻고 있다.
  • 세라믹 타일 : 도자기질 타일로, 인테리어 벽 마감재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벽 마감재이다. 과거, 세라믹 타일은 방수성은 뛰어나지만 디자인 다양성이 떨어져, 욕실, 화장실, 주방 등에 주로 적용되는 단색 타일의 이미지가 강했다. 하지만 디지털 프린팅(3D 프린팅) 기술의 도입으로 디자인의 한계가 사라지면서 타일의 인테리어적 가치가 크게 상승했다. 현재 생산되는 타일은 대리석, 나무, 스틸, 콘크리트, 금속, 플라워, 물결무늬, 앤티크 등 현존하는 어떤 디자인도 구현할 수 있다. 당연히, 단순히 비슷한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시각적으로는 실제 소재와 구분하기 힘든 수준의 디자인을 보여준다. 타일 하나로 수많은 소재를 표현할 수 있으며, 실제 대리석, 금속 등 소재로 꾸미는 것보다 비용적인 측면에서 절감이 된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13]

도료[편집]

천연 마감재[편집]

아우로[편집]

아우로는 석유계 원료를 전혀 사용하지않는 천연원료의 제품이다. 안료도 화학 성분이 아닌 천연원료로 색을 만들기 때문에 말 그대로 천연 마감재라고 할 수 있다. 작업성이 상당히 만족스러우며 부드러운 천으로 천천히 닦아내듯이 작업하면 어떤 작품에서도 완성도 높은 마감 처리를 할 수 있다.[14]

화학 마감재[편집]

스테인[편집]

스테인은 원목 특유의 질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원목에 스며들어 다양한 색상을 표현한다. 쉽게 바를 수 있고 건조가 짧아서 작업성이 좋다. 단 별도의 코팅 마감을 해줘야 해서 손이 많이 간다.[14]

우레탄[편집]

우레탄은 방수 기능이 뛰어난 마감재이다. 코팅 면에서는 완벽 마감에 근접하지만 오일 작업에 비해 작업성이 좋지 못하다. 에어를 이용하여 뿌려서 마감한다면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지만 환경법에 의해 별도의 정화시설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 공방에서는 작업하기 어렵다. 붓으로 함부로 칠했다가 낭패를 볼 수 있다. 투명 코팅으로 나무의 질감이 느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피아노, 기타 같은악기의 표면에 주로 쓰인다.[14]

각주[편집]

  1. 죠스바38, 〈(초급)도색강좌 : #5 마감제〉, 《네이버 블로그》, 2017-08-02
  2. 어쩌다 목수, 〈(생활목공) 016. 마감재 : 종류와 특징〉, 《티스토리》, 2019-09-04
  3. 주가영 기자, 〈'탈탄소 시대' 진짜 친환경차 만든다…재생 가능한 원자재·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뷰어스》, 2022-01-06
  4. 이재은 기자, 〈'그린철강' 도입한 볼보, 이번엔 2030년까지 '천연가죽' 퇴출선언〉, 《뉴스트리》, 2021-09-24
  5. 영현대공식블로그, 〈오감을 자극하는 다양한 자동차 실내 소재〉, 《티스토리》, 2019-08-07
  6. 김정희 기자, 〈친환경 바람에 자동차 실내가 '확' 바뀌었어요〉, 《글로벌이코노믹》, 2021-08-07
  7. 디트로이트무역관 김지윤 , 〈자동차 부품 시장에 부는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열풍〉, 《코트라》, 2019-05-15
  8. 이홍철 기자, 〈자동차 시장에서도 바이오플라스틱이 '뜬다'〉, 《오토모티브리포트》, 2019-06-03
  9.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로 친환경車 실천… 쏘울 전기차엔 사탕수수 활용〉, 《한경닷컴》, 2018-09-19
  10. 출판사 감씨, 〈수많은 나무 마감재, 뭘 좀 알고 쓰시나요?〉, 《땅집》, 2017-12-13
  11. 금동판넬건축, 〈그것이 알고 싶다 - 석고보드 편 -〉, 《네이버 블로그》, 2017-08-15
  12. 벽지〉, 《네이버 지식백과》
  13. 백선욱 기자, 〈취향과 용도에 따라 고르는 각양각색 벽 마감재 A to Z〉, 《더리빙》, 2019-12-09
  14. 14.0 14.1 14.2 빅토리84, 〈한번 잘쓴 마감재로 가구수명 10년간다〉, 《티스토리》, 2021-09-14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마감재 문서는 소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