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른호(Vänern)는 스웨덴 남서부에 있는 호수이다.
- 베네른호는 스웨덴의 호수로 면적은 5,650km2, 평균 수심은 27m, 최대 수심은 106m, 수면 높이는 44m이다. 스웨덴에서 가장 큰 호수이며 유럽에서는 러시아의 라도가호, 오네가호 다음으로 가장 넓다. 베스테르예틀란드, 달슬란드, 베름란드와 접한다.[1]
- 베네른호는 5,585km2. 평균 해발고도 44m. 길이 약 145km . 가장 깊은 곳 98m. 이 나라에서 가장 크고 유럽에서는 3번째로 큰 담수호이다. 클라르강(江)을 비롯하여 많은 하천이 유입하며, 남류 하는 예타강(江)에 의해 카테가트 해협으로 흘러든다. 이 호수는 카테가트 해협 연안에 있는 예테보리와 동쪽 발트해(海) 연안의 스톡홀름을 연결하는 예타 운하(運河)의 일부를 이룬다. 주변에는 칼스타드 ·크리스티네함 ·베네르스보리 등 중요한 산업도시가 있다.[2]
- 베네른호는 스웨덴 남서부에 있으며, 이 나라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가장 큰 호수이다. 구조분지(構造盆地)의 하나로 간빙기(間氷期)엔 바다와 이어진 적도 있으며 예타 강이 남남서쪽으로 흘러나간다.
클라르강[편집]
- 클라르강(Klar R.)은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남부를 흐르는 강이다. 노르웨이 쪽에서는 트리실렐브강(Trysilelv R.)이라고 한다. 길이 320km. 노르웨이의 페문호(湖)에서 발원한다. 물길은 남쪽으로 흘러 스웨덴으로 들어간 뒤 칼스타드에서 베네른호로 흘러든다. 유역에는 삼림이 많아 목재 수송로로서 적당할 뿐 아니라 수력발전의 중요한 전원(電源)을 이룬다.
예타강[편집]
- 예타강(Göta R.)은 스웨덴 남서부를 흐르는 강이다. 길이는 93km이다. 베네른호(湖)의 남서단에서 발원하여 예테보리에서 카테가트 해협으로 흘러든다. 항행이 가능하나 상류의 트롤헤탄에서 급류를 이루므로 갑문(閘門)이 설치되어 있다. 스톡홀름과 예테보리를 연결하는 길이 576km의 예타 운하의 남서부를 이루며, 스웨덴 남서부의 공업지역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이다. 또 트롤헤탄에는 최대출력 22만kW의 수력발전소가 있다.
예타운하[편집]
- 예타운하(Göta Canal)는 스웨덴의 남부를 횡단하여 발트해(海)와 카테가트 해협을 잇는 운하이다. 길이 576km. 그중에서 88km가 인공 운하이다. 스톡홀름에서 출발하여 발트해의 일부와 베테른호(湖) ·베네른호를 비롯한 많은 호수를 지난 후 예타강(江)을 거쳐 예테 분지에 이른다. 도중에서는 58개의 수문으로 고저(高低) 차를 극복하고 있다. 1833년 개통하였으며, 1916년에 확장하였다. 수심 3m, 바닥 너비 15m 정도여서 큰 선박은 통과할 수 없다.
스웨덴[편집]
-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 동쪽에 있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A.D.10세기에 최초의 통일 왕국이 성립된 이후 1397년부터 126년간 덴마크, 노르웨이와 함께 칼마르(Kalmar) 동맹국을 결성, 주도권 다툼에 나서기도 했고 1849년부터 입헌군주제가 시작되었다. 정식명칭은 스웨덴왕국[Kingdom of Sweden(영), Konungariket Sverige(스)]이다. 서쪽으로는 스칸디나비아반도의 등뼈에 해당하는 스칸디나비아 산맥을 국경선으로 하여 노르웨이와, 북동쪽으로는 보트니아만으로 흘러드는 토르네(Torne) 강을 경계로 핀란드와 접한다. 동쪽으로 보트니아만(灣) 및 발트해(海)를 넘어 핀란드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와 마주하며, 남쪽은 카테가트(Kattegat) 해협과 외레순(Øresund) 해협을 사이에 두고 덴마크와 마주한다.
- 스웨덴 최남단의 스코네는 덴마크와 흡사한 낮은 지형으로 중생대층(中生代層)으로 되어 있으며, 빙기(氷期)의 퇴적층이 이를 뒤덮고 있다. 넓은 평야 사이에 돔 모양의 구릉이 나타나며 높이는 200m를 넘지 않는다. 북쪽의 스몰란드는 그보다 약간 높으며, 그 속에서 옛 산지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데, 최고점은 343m이다. 하천은 여기에서부터 방사상으로 흘러, 동·남·서쪽을 둘러싸고 있는 바다로 유입된다. 발트해에 면한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해안평야는 후빙기(後氷期)에 융기한 지역으로 해성층(海成層)에 덮여 있으며, 농업지대로서의 가치가 크다. 스톡홀름 부근은 약 1,200개의 섬들이 미로와 같은 수로를 만들어 스웨덴식 다도해 경관을 보여준다. 발트해에 있는 고틀란드섬은 실루리아기(紀)의 석회암으로 되어 있어 서해안은 절벽을 이루나 모래사장으로 된 북쪽 해안은 사구(砂丘)가 발달해 있다. 고틀란드섬과 해안 가까이의 욀란드섬은 농목지로 이용된다.
베네른호 지역의 기후와 생태[편집]
- 기후는 해양성기후의 특징이 나타나는데, 가까운 보트니아만(灣)과 발트해(海)뿐만 아니라 먼 대서양의 영향도 강하게 받고 있다. 위도에 비하여 기온은 높으며, 기온의 연간 변화도 적다. 겨울은 길고 일조시간이 짧으며 추운 편이고, 여름은 짧고 일조시간이 길며 시원한 편이다. 여름의 평균기온은 남부 18℃, 북부 15℃이며, 겨울은 남부 -3℃, 북부 -10℃ 정도이다. 겨울의 온난하고 습한 서풍이 스칸디나비아산맥의 낮은 부분인 노르웨이 트론헤임을 넘어서면 북쪽은 춥고 남쪽은 따뜻하여 한역(寒域)이 갈라진다. 스톡홀름의 평균기온은 여름 15~17℃, 겨울 -1~-4℃이다. 강수량은 남부 600mm, 북부 300mm 정도이지만, 기온이 낮기 때문에 건조기후는 아니고 강수량은 여름에 많다. 고위도이기 때문에 여름의 일조시간이 길고, 최북단에서는 백야(白夜)가 나타난다.
- 베네른호 지역의 식물 생육 기간은 남부에서 330일, 북부에서 130일 가량이다. 기후대를 나누면 남쪽에서부터 너도밤나무, 떡갈나무, 자작나무 순으로 식생지대가 전개되며, 고산지는 툰드라 기후지대이다. 북위 60° 이북은 전나무·소나무 등의 침엽수림이며, 이남은 이들과 함께 떡갈나무·너도밤나무가 섞이는 혼합림이다. 숲속에는 늑대가 많았으나 19세기 개척시대에 산지로 쫓겨나고 그 대신 사슴이 우점종이 되었다.
베테른호[편집]
- 베테른호(Vättern L.)는 호안선 430km, 호면의 높이 88m, 최대 수심 120m, 평균 수심 39m.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길이는 130km에 이르나, 너비는 30km에 불과하다. 스웨덴의 다른 호수에 비하여 물이 맑고 깨끗하여 투명도는 30m 이상에 이른다. 겨울에도 호수의 전면이 결빙하는 일이 없고, 호수의 북부는 카테가트 해협에서 베네른호(湖)를 거쳐 발트해로 통하는 예타 운하의 일부를 이루어 중요한 교통로의 몫을 하고 있다. 호수의 남쪽에 있는 비징그제섬이 유일한 섬으로 17세기의 고성(古城)과 아름다운 교회가 있고, 호안의 모탈라 ·바드스테나 등지에서는 섬유 공업을 비롯한 경공업이 성하다.
베름란드주(Värmland)[편집]
- 스웨덴 남서부에 있는 주이다. 주도(州都)는 칼스타드(Karlstad)이다. 옛 베름란드 지방의 대부분과 베르그슬란드 지방의 서부를 포함한다. 노르웨이 국경에서부터 베네른호(湖)의 북안에 이르는 호수가 많은 삼림지대이며, 스웨덴 남부의 철광석 산지가 이에 속한다. 주도 외에 크리스티너하믄, 우데흘름 등의 도시가 있고, 제철·제재·제지·펄프 등의 공업이 활발하다.
칼스타드[편집]
- 스웨덴 남서부 베름란드주(州)의 주도(州都). 베네른호(湖) 북쪽, 클라르강(江) 하구에 있다. 목재의 집산·가공이 활발하고 광천 도시로서 휴양객이 많다. 급행열차로 스톡홀름까지 4시간, 예테보리와 오슬로까지 3시간 걸리며, 최근에는 클라르강의 수력을 배경으로 공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1905년의 칼스타드협정은 1814년 이래의 노르웨이와 스웨덴 사이의 동맹을 폐기하였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베네른호 문서는 세계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한국지리, 세계지리 □■⊕,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신도시, 한국행정구역, 세계행정구역, 지도서비스, 관광지,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건설, 토지
|
|
세계의 산
|
K2봉 • 갈회피겐산 • 디날리산 • 로건산 • 마우나로아산 • 마우나케아산 • 마터호른산 • 몽블랑산 • 백두산(장백산) • 베수비오산 • 빈슨산괴(빈슨 매시프) • 아콩카과산 • 에베레스트산 • 옐브루스산 • 워시번산 • 침보라소산 • 코지어스코산 • 크라카타우산 • 키나발루산 • 킬리만자로산 • 태산 • 푼착자야산 • 한라산 • 후지산
|
|
세계의 산맥
|
그레이트 디바이딩 산맥 • 난링산맥 • 다싱안링산맥 • 로키산맥 • 발칸산맥 • 스칸디나비아산맥 • 아틀라스산맥 • 아펜니노산맥 • 안데스산맥 • 알타이산맥 • 알프스산맥 • 애팔래치아산맥 • 우랄산맥 • 친링산맥 • 카르파티아산맥 • 칼레도니아산맥 • 캅카스산맥 • 쿤룬산맥 • 톈산산맥 • 피레네산맥 • 히말라야산맥
|
|
세계의 사막 • 고원
|
고비사막 • 골란고원 • 그레이트 베이슨 사막 •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 • 나미브사막 • 남극툰드라사막 • 데칸고원 • 룹알할리사막 • 모하비사막 • 몽골고원 • 브라질고원 • 사하라사막 • 살리나스 그란데스 소금사막 • 소노라사막(힐러사막) • 쓰촨분지 • 아라비아사막 • 아타카마사막 • 에티오피아고원(아비시니아고원) • 우유니 소금사막 • 이란고원 • 중앙시베리아고원 • 카라쿰사막 • 칼라하리사막 • 콜로라도고원 • 타르사막 • 타클라마칸사막 • 티베트고원 • 파미르고원 • 파타고니아사막
|
|
세계의 대평원
|
동북평원(둥베이평원) • 동유럽평원 • 북아메리카 중앙평원(그레이트 플레인스) • 북유럽평원 • 서시베리아평원 • 세렝기티 • 송눈평원 • 요하평원(랴오허평원) • 유럽대평원 • 타림분지 • 팜파스 • 프레리 • 호주중앙평원 • 화남평원 • 화북평원 • 화중평원
|
|
세계의 강
|
감비아강 • 갠지스강 • 그랜드캐니언 • 나이저강(니제르강) • 나일강 • 다뉴브강 • 돈강 • 드네프르강 • 라인강 • 라플라타강 • 레나강 • 루아르강 • 리오그란데강 • 매켄지강 • 머리강 • 메그나강 • 메콩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볼가강 • 볼타강 • 브라마푸트라강 • 살윈강 • 샤트알아랍강 • 서스캐처원강 • 세인트로렌스강 • 시르다리야강 • 아마존강 • 아무다리야강 • 아무르강 • 엠바강 • 예니세이강 • 오렌지강 • 오비강 • 오타와강 • 요르단강 • 요하(랴오허) • 우랄강 • 유콘강 • 유프라테스강 • 이라와디강(에야워디강) • 이르티시강 • 인더스강 • 잠베지강 • 장강(양쯔강) • 주강 • 콜로라도강 • 콩고강 • 타림강 • 탈라스강 • 티그리스강 • 파라나강 • 패드마강 • 한강 • 화이허강 • 황하
|
|
세계의 호수
|
갈릴리호(갈릴래아호) • 그레이트베어호 • 그레이트슬레이브호 • 나막호 • 나세르호 • 뇌샤텔호 • 니카라과호 • 라도가호 • 랜오브쿠치호 • 레만호 • 리빈스크호 • 마나과호 • 마라카이보호 • 마르커르호 • 만차르호 • 말라위호 • 미드호 • 미시간호 • 민게체비르 저수지 • 바이칼호 • 반호 • 발하슈호 • 벌러톤호 • 베네른호 • 베테른호 • 베이호 • 보덴호 • 보스토크호 • 볼타호 • 비와호 • 빅토리아호 • 사리카미슈호 • 사해 • 섐키르 저수지 • 세반호 • 슈체친석호 • 슈피리어호 • 아랄해 • 아이다르쿨호 • 알라콜호 • 애서배스카호 • 에이설호 • 오네가호 • 오대호 • 온타리오호 •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 • 우르미아호 • 우브스호 • 위니펙호 • 이리호 • 이식쿨호 • 자이산호 • 중난하이(중남해) • 천지 • 칭하이호 • 카리바호 • 카프타이호 • 쿤밍호 • 타이호 • 탕가니카호 • 톤레삽호 • 투르카나호 • 티티카카호 • 페이푸스호 • 포양호 • 푸포호 • 프스콥스코예호 • 하문호 • 한카호(싱카이호, 항카호, 흥개호) • 후브스굴호 • 휴런호
|
|
세계의 폭포
|
과이라 폭포 • 나이아가라 폭포 • 빅토리아 폭포 • 앙헬 폭포 • 이과수 폭포 • 코네 폭포 • 황과수 폭포
|
|
세계의 운하 • 터널
|
걸프만 연안수로 • 경항운하(대운하) • 마이애미운하 • 백해-발트해 운하 • 베니치아운하 • 볼가-발트해 수로 • 수바우키회랑 • 수에즈운하 • 와칸회랑 • 유럽운하(계획) • 이리운하 • 채널터널 • 카라쿰운하 • 코린토스운하 • 킬운하 • 파나마운하
|
|
세계의 바다
|
구단선 • 그린란드해 • 남극해 • 남대서양 • 남인도양 • 남중국해 • 남태평양 • 노르웨이해 • 대서양 • 동대서양 • 동시베리아해 • 동인도양 • 동중국해 • 동지중해 • 동카리브해 • 동태평양 • 동해 • 랍테프해 • 래브라도해 • 래카다이브해 • 로스빙붕 • 로스해 • 론빙붕 • 리구리아해 • 링컨해 • 마르마라해 • 마리아나해구 • 바렌츠해 • 반다해 • 발트해 • 백해 • 버마해 • 베링해 • 보르네오해 • 보퍼트해 • 보하이해(발해) • 북극해 • 북나투나해 • 북대서양 • 북인도양 • 북태평양 • 북해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코럴해) • 서남극빙하 • 서대서양 • 서인도양 • 서지중해 • 서카리브해 • 서태평양 • 세일리시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술라웨시해 • 술루해 • 아드리아해 • 아라비아해 • 아라푸라해 • 아일랜드해 • 아조프해 • 알보란해 • 에게해 • 오대양 • 오호츠크해 • 웨들해 • 이오니아해 • 인도양 • 자와해 • 중부지중해 • 중태평양 • 지중해 • 축치해 • 카라해 • 카리브해 • 카스피해 • 켈트해 • 코르테스해 • 태즈먼해 • 태평양 • 티레니아해 • 티모르해 • 포인트 니모 • 필리핀해 • 홍해 • 황해 • 흑해
|
|
세계의 만
|
경기만 •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만 • 기니만 • 도쿄만 • 동조선만(동한만) • 라이저우만 • 랴오둥만 • 멕시코만 • 바레인만 • 배핀만 • 베네수엘라만 • 베네치아만 • 벵골만 • 보트니아만 • 보하이만(발해만) • 브리스톨만 • 비스케이만 • 사가미만 • 사로니코스만 • 샌파블로만 • 샌프란시스코만 • 샤먼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세인트로렌스만 • 수에즈만 • 스루가만 • 아덴만 • 아무르만 • 아카바만 • 알래스카만 • 오만만 • 오사카만 • 와카사만 • 우수리만 • 우치우라만 • 이세만 • 이시카리만 • 제노바만 • 지브롤터만 • 진주만 • 카라보가스골만 • 카펀테리아만 • 코린토스만 • 타란토만 • 타이만 • 통킹만 • 파나마만 • 펄스만 • 페르시아만 • 포시예트만 • 표트르대제만 • 핀란드만 • 하롱베이(할롱만) • 항저우만 • 허드슨만
|
|
세계의 해협
|
간몬해협 • 골든게이트해협 • 네어스해협 • 노스해협 • 다르다넬스해협 • 대만해협(타이완해협) • 대한해협 • 데이비스해협 • 덴마크해협 • 도버해협 • 드레이크해협 • 라페루즈해협 • 루손해협 • 마젤란해협 • 마카사르해협 • 말라카해협(믈라카해협) • 메시나해협 • 모잠비크해협 • 밥엘만뎁해협(바브엘만데브해협) • 배스해협 • 베링해협 • 보스포루스해협 • 보하이해협 • 부산해협 • 비글해협 • 세인트조지해협 • 순다해협 • 스미스해협 • 스카게락해협 • 시칠리아해협 • 싱가포르해협 • 쓰가루해협 • 쓰시마해협 • 아폴리마해협 • 영국해협 • 오트란토해협 • 유카탄해협 • 이즈메니해협 • 조지아해협 • 조호르해협 • 지브롤터해협 • 카리마타해협 • 카테가트해협 • 케르치해협 • 쿡해협 • 타타르해협(마미야해협) • 토레스해협 • 포크해협(팔크해협) • 플로리다해협 • 하이난해협(충저우해협) • 허드슨해협 • 호르무즈해협 • 환드퓨카해협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