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먼(厦门, 하문, shà mén)은 중국 푸잰성에 있는 부성급시이며 중국의 경제특별구이며 동남해안의 중심도시, 항구 및 관광지이다. 바다 건너편에 타이완이 위치하고 있다.
2019년 5월 31일, 중국 푸젠성 샤먼시 샤먼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19 중국 샤먼 국제 블록체인 및 비즈니스 미래발전 써밋(2019中国厦门国际区块链+商业未来发展峰会, CHINA INTERNATIONAL BLOCKCHAIN AND BUSINESS FUTURE DEVELOPMENT SUMMIT 2019)이 개최되었다.
- 행정 단위: 푸젠성(福建省) 부성급시[1]
- 시정부소재지: 쓰밍구 후빈베이루 61 (思明区湖滨北路61号)
- 면적: 1,700km²
- 인구: 429만(2019년)
- 시장: 좌앙쟈한(庄稼汉,zhuāng jià hàn)
- 지역전화: 0592
- 우편번호: 361000
- 282년, 중국 서진(西晋)시기 퉁안현을 세웠다가 다시 취소하였다.
- 933년, 퉁안현을 다시 세우고 취안저우의 관할을 받았다.
- 949년, 취안저우를 칭위안군으로 개칭하였다.
- 963년, 송나라때 칭위안군을 핑하이군으로 고치고 퉁안현은 핑하이군의 관할을 받았다.
- 978년, 퉁안현은 핑하이군과 같이 송나라 땅이 되면서 핑하이군을 다시 취안저우라고 불렀다.
- 1387년, 명나라는 샤먼성을 건축하기 시작하였으며 "샤먼"이라는 이름이 이때부터 불리기 시작하였다.
- 1650년, 청나라의 저엉청궁((郑成功,zhèng chéng gōng)이 샤먼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 1684년, 샤먼해관을 설치하고 1689년에 영국 동인도회사의 선박들이 처음으로 샤먼해관으로 부터 중국 차를 수입하였다. 1757년, 청나라가 광저우로만 대외 통상을 한다고 하면서 샤문해관은 문을 닫았다.
- 1686년, 샤먼청을 설치하고 부근의 섬들을 관할하였다.
- 아편전쟁후 샤먼항구는 취안저우, 자앙저우 등 곳으로 부터 사람들이 몰려 들기 시작하였으며 1852년에 영국조계지로 되었다.
- 1912년, 샤먼은 쓰밍현으로 불리웠으며 쓰밍현정부를 설립하였다.
- 1935년, 샤먼를 샤먼시로 하고 샤먼시정부를 성립하였다.
- 1938년, 일본군이 샤먼을 침략하고 괴뢰정권을 세웠다.
- 1945년, 항일전쟁 승리후 중화민국정부는 샤먼시정부를 다시 설립하였다.
- 1949년, 중국해방군이 샤먼을 해방하고 샤먼시인민정부를 설립하였다.
행정구역[편집]
샤먼은 6개의 구로 구성되었다.
- 쓰밍구(思明区)
- 후리구(湖里区)
- 하이창구(海沧区)
- 지메이구(集美区)
- 퉁안구(同安区)
- 샹안구(翔安区)
샤먼은 중국동남쪽 해안, 푸젠성남부에 있으며 샤먼도와 많은 작은 섬으로 구성되었다. 육지면적은 1,700km²이고 바다면적은 390km²이다. 샤먼항구는 물이 깊고 얼지 않는 항구로 동남해안의 주요한 무역항구이다.
샤먼은 습윤 아열대 기후다. 여름은 덥고 습하며 7~8월에는 평균 32 °C까지 올라가고 겨울은 습하고 차며 1월에서 2월은 10 °C 에 이른다. 연 평균기온이 21℃, 연 평균 강우량은 1200mm이다. 매년 7월 부터 9월까지 4, 5차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2019년까지 샤먼시 인구는 429만명이고 대부분이 한족이며 49개의 소수민족이 있는데 서어족(畲族)과 후이족이 비교적 많다.
샤먼말은 취안저우 말에서 발전되었다. 청나라 말에 샤먼지역이 무역이 발달하면서 샤먼말이 취안저우 말을 대체하고 민난지역에서 통용되는 방언으로 되었다. 최근 몇년동안 중국 정부에서 푸퉁화(普通话)를 도급하고 민난지역밖에서 사람들이 많이 몰려 오면서 푸퉁화가 많이 발전하였다.
샤먼 특별경제구가 설치된 이래로 외국인 직접 투자가 개방되었고 많은 직업과 공장 그리고 지역 기업과 다국적 기업을 위한 수출 기회가 만들어졌다. 샤먼은 특히 홍콩, 마카오, 타이완의 자본 투자 유치에 유리한 위치에 있다. 샤먼의 주요 경제 활동은 어업, 조선, 식품 가공, 방직, 공작 기계 제조, 화학 공업, 통신, 금융 서비스등이 있다.
2019년에 샤먼시 전체 GDP는 5995억위안, 일인당 GDP 14만2739위안(2만691달라)이다. 2019년까지 은행금융회사가 48개, 보험회사 39개, 증권회사 28개이며 수출입 총액은 6412억원이다.
샤먼의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우호적인 도시로 지정되었다. 2019년에 총 1322개의 외국인 직접 투자계획이 승인되었고 계약상의 외국인 투자액은 355억 1700만 위안이고 사실상의 외국인 투자액은 134억 1600만 위안이다.
2018년에 샤먼은 중국 도시 종합 평가에서 제2위이다.
참고자료[편집]
- 〈厦门〉, 《百度百科》
- 〈샤먼시〉, 《위키백과》
- 〈厦门市〉, 《维基百科》
같이 보기[편집]
이 샤먼시 문서는 도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섬, 국가, 도시 □■⊕, 신도시, 한국행정구역, 세계행정구역, 지도서비스, 관광지,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건설, 토지
|
|
도시
|
경제도시 • 경제수도 • 계획도시 • 고대도시 • 공업도시 • 공정무역도시 • 관광도시 • 광업도시 • 광역시 • 교육도시 • 교통도시 • 근대도시 • 농업도시 • 뉴타운 • 다핵도시 • 대도시 • 대형신도시 • 도시 • 무역도시 • 문화도시 • 미래도시 • 사막도시 • 산악도시 • 산업도시 • 상업도시 • 생산도시 • 성도 • 소도시 • 소비도시 • 수도 • 수변도시 • 슬럼 • 슬럼화 • 신도시 • 어업도시 • 위성도시 • 자치시 • 주도 • 중세도시 • 중소도시 • 직할시 • 천도 • 초대형신도시 • 특별시 • 항구도시 • 해변도시 • 행정도시 • 행정수도 • 현대도시 • 호수도시 • 휴양도시
|
|
한국의 도시
|
개성시 • 광주광역시 • 남포시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라선시 • 부산광역시 • 서울특별시 • 세종특별자치시 • 신의주시 • 울산광역시 • 원산시 • 인천광역시 • 평양시 • 함흥시
|
|
중국의 도시
|
가오슝시 • 광저우시 • 구이양시 • 난닝시 • 난징시 • 난창시 • 난충시 • 난퉁시 • 닝보시 • 다롄시 • 단둥시 • 동관시(둥관시) • 란저우시 • 루안시 • 뤄양시 • 류저우시 • 마카오 • 바오딩시 • 베이징시 • 산터우시 • 상하이시 • 샤먼시 • 선양시 • 선전시 • 스자좡시 • 시닝시 • 시안시 • 싼야시 • 쑤저우시 • 안산시 • 안양시 • 양저우시 • 옌지시 • 옌타이시 • 오르도스시 • 우루무치시 • 우시시 • 우쩐시 • 우한시 • 우후시 • 원저우시 • 웨이하이시 • 장먼시 • 정저우시 • 지난시 • 지린시 • 진화시 • 쯔보시 • 창사시 • 창저우시 • 창춘시 • 청두시 • 충칭시 • 취안저우시 • 치치하얼시 • 칭다오시 • 쿤밍시 • 타이난시 • 타이베이시 • 타이안시 • 타이위안시 • 타이저우시 • 타이중시 • 톈진시 • 포산시 • 푸양시 • 푸저우시 • 하얼빈시 • 하이커우시 • 항저우시 • 허페이시 • 홍콩 • 화이안시 • 후이저우시 • 훈춘시
|
|
일본의 도시
|
가나자와 • 고베 • 나고야 • 니이가타 • 도쿄 • 삿포로 • 센다이 • 오사카 • 요코하마 • 후쿠오카 • 히로시마
|
|
북아시아의 도시
|
노보시비르스크 • 블라디보스토크 • 울란바토르 • 이르쿠츠크 • 하바롭스크
|
|
동남아시아의 도시
|
네피도 • 다낭 • 다바오 • 딜리 • 마닐라 • 마카사르 • 만달레이 • 메단 • 메트로마닐라 • 바탐 • 반다르람풍 • 반다르스리브가완 • 반둥 • 발릭파판 • 방콕 • 브카시 • 비엔티안 • 세부 • 수라바야 • 스마랑 • 싱가포르 • 양곤 • 자카르타 • 조호르바루 • 족자카르타 • 치앙라이 • 치앙마이 • 케손시티 • 코타키나발루 • 쿠알라룸푸르 • 파타야 • 팔렘방 • 프놈펜 • 하노이 • 하이퐁 • 호치민
|
|
남아시아의 도시
|
뉴델리 • 다카 • 델리 • 라왈핀디 • 라호르 • 러크나우 • 뭄바이 • 벵갈루루 • 수랏 • 아마다바드 • 이슬라마바드 • 첸나이 • 치타공 • 카라치 • 카불 • 카트만두 • 칸푸르 • 콜롬보 • 콜카타(캘커타) • 팀부 • 파이살라바드 • 푸네 • 하이데라바드 (인도) • 하이데라바드 (파키스탄)
|
|
중앙아시아의 도시
|
노보시비르스크 • 아스타나(누르술탄) • 아시가바트(아슈하바트) • 아티라우 • 악타우 • 알마티 • 타슈켄트 • 투르크멘바시
|
|
서아시아의 도시
|
가지안테프 • 네옴시티 • 다마스커스 • 더 라인 • 두바이 • 라말라 • 리야드 • 마슈하드 • 메디나 • 메카 • 무스카트 • 바그다드 • 바쿠 • 베이루트 • 부르사 • 사나 • 수에즈 • 수후미 • 쉬라즈 • 스테파나케르트 • 아다나 • 아바즈 • 아부다비 • 암만 • 앙카라 • 예레반 • 예루살렘 • 옥사곤 • 이스탄불 • 이스파한 • 이즈미르 • 제다 • 츠힌발리 • 카라지 • 콘야 • 쿰 • 타브리즈 • 테헤란 • 텔아비브 • 트로제나 • 트빌리시
|
|
유럽의 도시
|
그로즈니 • 나폴리 • 니코시아 • 다보스 • 더블린 • 런던 • 레이캬비크 • 로마 • 류블랴나 • 리가 • 리버풀 • 리스본 • 마드리드 • 마르세유 • 마리우폴 • 마하치칼라 • 맨체스터 • 모스크바 • 뮌헨 • 민스크 • 밀라노 • 바르나 • 바르샤바 • 바르셀로나 • 바젤 • 버밍엄 • 베르겐 • 베른 • 베를린 • 베오그라드 • 본 • 볼로냐 • 볼프스부르크 • 부다페스트 • 부쿠레슈티 • 브라티슬라바 • 브레멘 • 브뤼셀 • 블라디캅카스 • 빈(비엔나) • 빌뉴스 • 사라예보 • 상트페테르부르크 • 세바스토폴 • 소치 • 슈투트가르트 • 스타브로폴 • 스톡홀름 • 아테네 • 아스트라한 • 암스테르담 • 에든버러 • 예테보리 • 오데사 • 오슬로 • 오울루 • 제네바 • 추크 • 취리히 • 카디프 • 코번트리 • 코펜하겐(쾨벤하운) • 쾰른 • 크라스노다르 • 키시너우 • 키이우 • 탈린 • 탐페레 • 토리노 • 티라스폴 • 파리 • 프라하 • 프랑크푸르트 • 하르키우 • 함부르크 • 헬싱키
|
|
북아메리카의 도시
|
과테말라 • 나소 • 누크 • 뉴욕 • 댈러스 • 덴버 • 디트로이트 • 라스베이거스 • 레드우드시티 • 로스앤젤레스 • 로체스터 • 마나과 • 마운틴뷰 • 마이애미 • 멕시코시티 • 몬트리올 • 바스테르 • 밴쿠버 • 벨모판 • 보스턴 • 산토도밍고 • 산호세 • 산호세 (코스타리카) • 새크라멘토 • 샌디에고 • 샌프란시스코 • 샬럿 • 서니베일 • 세인트루이스 • 시애틀 • 시카고 • 애틀랜타 • 앵커리지 • 오스틴 • 오타와 • 올랜도 • 워싱턴디씨 • 인디애나폴리스 • 캔자스시티 • 퀘벡 • 클리블랜드 • 킹스톤 • 테구시갈파 • 토론토 • 티후아나 • 파나마 • 팰로앨토 • 포르토프랭스 • 포틀랜드 • 프리포트 (바하마) • 피닉스 • 피츠버그 • 필라델피아 • 하바나 • 휴스턴
|
|
남아메리카의 도시
|
과야킬 • 라파스 • 리마 • 리우데자네이루 • 마라카이보 • 메데인 • 몬테비데오 • 보고타 • 부에노스아이레스 • 브라질리아 • 산타크루즈 • 산티아고 • 상파울루 • 수크레 • 아순시온 • 조지타운 • 카라카스 • 키토 • 파라마리보 • 푼타아레나스
|
|
아프리카의 도시
|
기자 • 나이로비 • 다르에스살람 • 더반 • 라고스 • 라바트 • 루안다 • 브라자빌 • 아디스아바바 • 아부자 • 아비장 • 안타나나리보 • 알렉산드리아 • 알제 • 요하네스버그 • 이바단 • 카노 • 카사블랑카 • 카이로 • 캄팔라 • 케이프타운 • 킨샤사 • 튀니스 • 트리폴리 • 프리토리아 • 하르게이사
|
|
오세아니아의 도시
|
멜버른 • 사우스타라와 • 시드니 • 오클랜드 • 울런공 • 웰링턴 • 캔버라 • 크라이스트처치 • 호놀룰루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