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도로공사 관리 구간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 관리 구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首都圈第一循環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00호선)는 한국의 고속도로 100호선으로 서울특별시의 외곽을 원형으로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이다. 기종점은 경기도 성남시의 판교 분기점이며, 서울특별시 주변을 감싸고 있는 경기도인천광역시의 자치단체들을 이어주는 노선이다.

개요[편집]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 성남시의 판교 분기점을 기종점으로 하여 서울특별시, 하남시, 구리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양주시, 고양시, 김포시, 인천광역시,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군포시, 안양시, 의왕시, 성남시 등을 순환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다.

이 고속도로는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는 국가재정 구간과 민간에서 운영하는 민자 구간이 혼재되어 있다. 퇴계원 나들목에서 일산 나들목까지는 민간투자고속도로로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에서 운영하며, 나머지 구간은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역사[편집]

1990년대 초 서울특별시 및 수도권으로의 인구와 교통량 집중, 1기 신도시의 개발로 인한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이 추진되었다. 이전까지는 수도권 주요 도시들 간의 교통은 대부분 서울 시내 도로를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수도권이 커지면 커질수록 서울시 내부의 교통혼잡은 더 심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 수요를 외곽으로 적절히 분산시켜 서울시내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목적이 컸다.

1980년대 후반에 수도권순환선의 초안이 기획되었는데 이때는 지금과 같은 서울 외곽을 순환하는 노선형태가 아니라 기존에 이미 건설된 경부고속도로의 판교-수원 구간, 경인고속도로, 올림픽대로와 노선선정이 완료된 판교-구리간 고속도로, 신갈안산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을 연결하여 순환선 형식으로 취하는 주먹구구식의 형태였다. 하지만 일산, 평촌, 산본 등 일부 1기 신도시들의 교통 접근성에 취약점이 보이고 기존 건설된 경부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올림픽대로의 교통량이 이미 포화상태라 순환선으로서의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면서 이 기획안은 전면 폐기되었다. 결국 이미 착공에 들어갔던 판교-구리 고속도로 노선을 기반으로 별도의 순환선을 설계, 수도권 주요 도시들을 연계하는 오늘날의 노선이 확정된다.

1988년 '판교 - 구리 간 고속도로'로 명명, 고속도로 노선번호 제11호로 지정하고, 판교 분기점부터 하남 분기점, 그리고 강동대교를 포함하는 하일 나들목(현 강일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을 착공하였다. 1991년 7월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로 명칭을 변경하고 노선번호도 제101호로 변경하였으며, 그해 11월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강일 나들목 ~ 남양주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중부고속도로 구간이었던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구간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간으로 편입시켰다. 이 때문에 중부고속도로의 연장은 이 구간의 연장만큼 짧아진다.

2001년에 노선번호 체계 개편으로 101번에서 100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1992년에는 남양주 나들목에서 퇴계원 나들목 까지 연장 개통되고, 1995년에는 판교 분기점 ~ 산본 나들목 구간까지 연결되었다. 그리고 차례차례 부분적으로 개통을 거쳐 2001년까지 서울 이북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개통하면서 점차 모습을 갖춰 나간다. 서울 이북 구간에 해당되는 일산 ~ 퇴계원 구간은 한동안 착공조차 못하다가 민자사업 유치 후 2000년대 들어서야 착공했다. 그마저도 중간에 사패산터널 관통 문제 등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는 등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고, 2006년 사패산터널 구간을 제외한 일산 ~ 송추, 의정부 ~ 퇴계원 구간이 매듭이 잘린 형태로 개통했고, 6년이 지난 2007년 12월에야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사패산터널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순환선으로 연결, 지금의 완전한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된다.

2012년 3월 30일에 호원 나들목이 착공되어, 2015년 5월 28일 개통되었다.

2020년, 국토교통부가 경기도의 명칭 변경 요청을 받아들임으로서 2020년 9월 1일부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88년 01월 14일 :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 구리시 인창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1호선 판교 ~ 구리고속도로(판교 ~ 구리선)으로 지정
  • 1988년 02월 :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하일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 착공
  • 1988년 02월 06일 : 판교~구리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 구리시 인창동 25.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1년 07월 25일 : 중부고속도로 일부 구간을 편입해 종점을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서 '경기도 남양주군 퇴계원면'으로 연장, 고속국도 제11호선 '판교 ~ 구리선'에서 고속국도 제101호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선)으로 노선명 변경
  • 1991년 10월 30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 사노동 2.5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1년 10월 31일 :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19.3km 구간 개통
  • 1991년 11월 29일 : 하일 나들목 ~ 남양주 나들목 4.2km 구간 개통
  • 1991년 12월 : 판교 분기점~ 산본 나들목 구간 착공
  • 1992년 01월 13일 : 토평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2년 04월 29일 : 종점을 '경기도 남양주군 퇴계원면'에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으로 연장해 순환선 형태로 노선 변경.
  • 1992년 05월 : 장수 나들목 ~ 서운 분기점 구간 착공
  • 1992년 06월 18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판교 ~ 일산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고양시 효자동 56.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2년 12월 : 신평 나들목 ~ 김포 나들목 구간 착공
  • 1992년 12월 10일 : 남양주 나들목 ~ 구리 나들목 2.3km 구간 개통
  • 1994년 02월 04일 : 구리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2.7km 구간 개통
  • 1994년 10월 01일 : 토평 나들목 개통
  • 1995년 01월 24일 : 1995년 12월까지 구리 요금소 차선 확장공사로 인해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 수택동 556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5년 06월 : 산본 나들목 ~ 장수 나들목, 서운 분기점 ~ 김포 나들목 구간 착공
  • 1995년 07월 14일 : 2000년 12월까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노원 ~ 퇴계원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10.8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5년 07월 20일 : 판교 분기점 ~ 학의 분기점 8.8km 구간 개통
  • 1995년 12월 28일 : 평촌 나들목 ~ 학의 분기점 3.3km 구간 개통
  • 1996년 10월 31일 : 산본 나들목 ~ 평촌 나들목 3.3km 구간 개통
  • 1997년 02월 22일 : 1999년 12월까지 소래산 구간을 절개공법에서 소래터널로 변경함에 따라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3.0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7년 05월 02일 : 신평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착공
  • 1997년 07월 10일 : 2001년 12월까지 하남 분기점 ~ 하일 나들목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5.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7년 10월 10일 : 노원 ~ 퇴계원 구간 8차선으로 차선 변경으로 인한 선형 변경으로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10.817km 구간을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6.003km로 도로구역 변경, 기존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 도봉구 도봉동 4.814km 구간 도로구역 해제
  • 1997년 10월 24일 : 2000년 12월까지 신평 나들목 ~ 지도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토당동 ~ 내곡동 2.1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7년 11월 03일 : 김포대교를 포함한 신평 나들목 ~ 김포 나들목 3.5km 구간 개통
  • 1998년 03월 07일 : 2001년 12월까지 판교 분기점 ~ 하남 나들목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하남시 춘궁동 19.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8년 04월 11일 : 1999년 12월까지 논곡 요금소 신설, 도리 나들목 폐지, 일부 구간 선형 변경으로 인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 계수동 9.4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8년 04월 14일 : 1999년 12월까지 김포 나들목 연결로와 국도 제48호선 접속부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김포군 고촌면 신곡리 ~ 고양시 토당동 3.47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8년 06월 30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일산 ~ 퇴계원 구간 민자유치시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 1998년 07월 24일 : 서운 분기점 ~ 장수 나들목 (부천고가교) 8.0km 구간 개통
  • 1998년 10월 17일 : 1999년 12월까지 박촌 나들목 형식 변경으로 인해 인천광역시 계양구 용종동 ~ 병방동 1.4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9년 04월 21일 : 2002년 12월까지 하일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하일동 ~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8.445km 구간을 8.845km로 도로구역 변경
  • 1999년 06월 24일 : 2005년까지 일산 ~ 노원 ~ 퇴계원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30.7km 구간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5.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9년 07월 15일 : 2002년까지 성남 나들목, 송파 나들목, 서하남 나들목 선형 변경으로 인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하남시 춘궁동 19.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9년 11월 26일 : 김포 나들목 ~ 서운 분기점 7.8km 구간, 장수 나들목 ~ 산본 나들목 21.3km 구간 개통
  • 2000년 01월 01일 : 하일 나들목이 강일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 2000년 11월 21일 : 노오지 분기점 개통
  • 2001년 05월 01일 :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5.32km 구간 확장 개통
  • 2001년 06월 30일 : 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착공
  • 2001년 08월 25일 : 노선번호를 제101호에서 제100호로 변경.
  • 2001년 09월 11일 : 신평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개통
  • 2001년 09월 21일 : 판교 분기점 ~ 성남 나들목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 2001년 12월 06일 : 2002년 12월까지 판교 분기점 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 분당구 삼평동 1.4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2년 03월 19일 : 2002년 12월까지 성남 요금소와 구리 요금소 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점리 34.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2년 12월 10일 : 성남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 2003년 07월 08일 : 2006년 6월까지 요금소 신설 등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36.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3년 10월 29일 : 2004년까지 계양 나들목 ~ 서운 분기점 판교방향 구간에 부가차로 설치를 위해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 3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및 박촌 나들목을 계양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 2005년 02월 01일 : 2007년까지 계양 나들목 램프 차로 개량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 ~ 병방동 구간, 2006년까지 자유로 나들목 램프 차로 개량 공사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6년 06월 30일 : 송추 나들목 ~ 일산 나들목 18.3km 구간, 퇴계원 나들목 ~ 의정부 나들목 10.5km 구간 개통
  • 2007년 01월 11일 : 2008년 6월까지 민원으로 인해 고양시 일산구 산황동, 덕양구 신원동과 대자동,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구간 설계 변경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36.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7년 07월 11일 : 2008년까지 장수 나들목 감속차로 연장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7년 10월 01일 : 사패산터널을 포함한 의정부 나들목 ~ 송추 나들목 구간과 직결을 위해 호원 나들목 폐쇄
  • 2007년 12월 28일 : 의정부 나들목 ~ 송추 나들목 7.5km 구간 개통, 전 구간 완전 개통
  • 2008년 01월 02일 : 일산 ~ 퇴계원 구간 민간투자시설사업 실시계획 변경
  • 2008년 06월 09일 : 2009년까지 남양주 나들목 가·감속차로 개량 공사를 위해 경기도 남양주시 도농동 6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8년 12월 24일 : 2009년까지 서하남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구간, 2010년까지 구리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9년 07월 15일 : 서울양양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강일 나들목이 분기점으로 변경. 단, 명칭 혼동을 피하기 위해 명칭은 나들목으로 유지
  • 2010년 05월 03일 : 제3경인고속화도로 개통과 함께 도리 분기점 개통
  • 2010년 12월 13일 : 부천고가교 하부에서 발생한 유조차 화재에 의한 중동 나들목 구간 상판의 소실로 인해 중동 나들목 임시 폐쇄. 중동 나들목, 장수 나들목, 계양 나들목 부분 통제 시작
  • 2010년 12월 23일 : 중동 나들목 재공사 착공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판교 분기점부터 판교 분기점까지 128.02km 구간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로 고시
  • 2011년 03월 15일 : 중동 나들목 재개통. 부분통제 해제.
  • 2012년 03월 30일 : 호원 나들목 재공사 착공
  • 2012년 05월 01일 : 호원 나들목 신설 공사를 위해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4.7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2년 09월 20일 : 2015년 12월까지 운중교 개량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1.886km 구간을 1.845km로 도로구역 변경
  • 2012년 12월 27일 : 2014년까지 시흥 본선상공형 휴게소 신설 공사를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2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4년 09월 29일 : 구리 요금소를 구리남양주 요금소로 명칭 변경
  • 2015년 0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과 종점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으로 명시
  • 2015년 05월 28일 : 판교 기점 44.2km 위치에 호원 나들목 재개통
  • 2015년 10월 14일 : 2016년 6월까지 목감공공주택지구 인근 방음벽 설치공사를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5년 11월 19일 : 2015년 12월까지 가천대역 EX-허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태평동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6년 08월 26일 : 목감공공주택지구 인근 방음벽 설치공사 사업기간을 2018년 12월로 연기
  • 2017년 05월 04일 : 2019년 8월까지 송파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 거여동 3.2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7년 11월 12일 : 시흥하늘휴게소 신설 개장
  • 2018년 03월 29일 : 민간투자구간(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의 7개 요금소 통행료 인하
  • 2019년 04월 29일 : 2021년 12월까지 송파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 거여동 3.2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9년 05월 24일 : 2020년 12월까지 성남 나들목 진출로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294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20년 09월 01일 : 노선명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
  • 2020년 10월 22일 : 도로명주소에 명칭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 고시
  • 2020년 11월 07일 : 고양 분기점 개통
  • 2021년 02월 03일 : 송파 나들목 헌릉로 방면 진출입 램프 이설 개통
  • 2024년 12월 : 영사정 나들목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설치 예정

가장 비싼 고속도로[편집]

2022년 현재 개통된 국내 고속도로들 중에서 가장 비싸게 만들어진 고속도로이다. 고속도로 1km당 건설비용이 100억 원에 육박했다고 하니 그야말로 세금을 쏟아부어 만들어진 고속도로다. 이렇게 된 이유는 수도권 지역의 땅값 비싼 곳을 지나 부지매입비가 크게 들었고, 소음 및 지역단절을 피하기 위해 높은 방음벽과 고가 구조를 많이 채용했기 때문이다. 2024년 평택파주고속도로 서울~부천~광명 구간이 개통되면 이 기록을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서울광명고속도로는 km 당 건설비용이 200억 원 정도 되기 때문이다.

그러고도 돈이 부족해서 일산IC~퇴계원IC 구간은 맥쿼리인프라를 비롯한 민간사업자들의 돈까지 끌어야 했다. 북부구간은 땅값이 비싼 구간은 많지 않았지만, 북한산, 노고산, 사패산, 도봉산, 수락산 등 북한산국립공원을 정면 돌파하기에 터널 만드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다. 게다가 사패산은 1.21 사태(김신조 사건)의 후폭풍으로 2001년까지 군부대가 있어서 민간인은 아예 접근 금지인 산이었다. 이 구간을 국가 재정으로 지으려고 했으면 2022년 지금도 개통하지 못했을 것이다.

참고로, 가장 비싼 도로는 내부순환로이다. 내부순환로는 40.1km 구간을 건설하는 데 1조원 이상이 소요되어, 1km당 250억 이상이 투입되었다. 특히, 1990년대 초중반 시기의 물가를 고려한다면, 어마어마하게 비싼 도로임을 알 수 있다.

구성[편집]

차로수
  •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일산 나들목 ~ 자유로 나들목 : 왕복 10차로

나머지 구간 : 왕복 8차로

총연장
  • 128.02km
제한속도
  •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터널[편집]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광암터널(구리) 경기도 하남시 광암동 726m 2002년
광암터널(판교1) 743m 1991년
광암터널(판교2) 752m
불암산터널(일산)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1,685m 2006년
불암산터널(구리) 1,665m
수락산터널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2,950m 2006년
호원터널(일산)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180m 2007년
호원터널(구리) 149m
사패산터널(일산)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 3,997m 2007년
사패산터널(구리) 3,993m
노고산1터널(일산)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 2,177m 2006년
노고산1터널(구리) 2,197m
노고산2터널(일산)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 975m 2006년
노고산2터널(구리) 995m
소래터널(판교)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421m 1999년
소래터널(일산) 446m
수암터널(판교)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1,254m 1999년
수암터널(일산) 1,294m
수리터널(판교)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1,865m 1999년
수리터널(일산) 1,882m
안양터널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390m 1996년
청계터널(판교)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550m 1995년]
청계터널(일산) 450m

교량[편집]

  • 탄천교
  • 거여고가교
  • 강동대교
  • 장암대교
  • 공릉천1교
  • 공릉천2교
  • 공릉천3교
  • 공릉천4교
  • 대곡교
  • 김포대교
  • 귤현대교
  • 병방교
  • 용종1교
  • 용종2교
  • 부천고가교
  • 수리산교
  • 안양고가교
  • 평촌고가교
  • 학의대교

나들목 · 분기점[편집]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서울고속도로 민자 운영 구간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거리 누적거리 접속노선 소재지 비고
1 -판교 분기점 Pangyo JC - 0.00 1호선 경부고속도로

양방향 모두 경부고속도로(서울방향) 진출 불가능

판교 나들목과 연계

2 성남 Seongnam 4.16 4.16 국도 제3호선 (경충대로·성남대로)
TG 성남 요금소 Seongnam TG 본선요금소
3 송파 Songpa 5.20 9.36 국도 제3호선 (성남대로·송파대로)

지방도 제342호선 (헌릉로)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헌릉로)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송파대로)

위례중앙로

4 서하남 W.Hanam 5.00 14.36 서하남로

SA 서하남휴게소 W.Hanam SA 성남방향
5 하남 분기점 Hanam JC 4.96 19.32 35호선 중부고속도로
6 상일 Sangil 2.53 21.85 국도 제43호선 (조정대로·천호대로)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천호대로)

7 강일 Gangil 3.04 24.89 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올림픽대로)

미사대로

구 하일 나들목
8 토평 Topyeong 0.99 25.88 서울특별시도 제70호선 (강변북로)

성남방향 진입, 고양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
TG 구리남양주 요금소 Guri-Namyangju TG 본선요금소
9 남양주 Namyangju 2.40 28.28 국도 제6호선 (경춘로)

미금로

남양주시 성남방향 진입과 고양방향 진출만 가능
10 구리 Guri 1.90 30.18 북부간선도로

국도 제43호선 (동구릉로)

국도 제46호선 (동구릉로)

구 구리 요금소
SA 구리휴게소 Guri SA 의정부방향

(주유소 없음)

12 퇴계원 Toegyewon 2.73 32.91 국도 제47호선 (경춘북로·금강로)

(국도 제43호선 (금강로·동구릉로))

(국도 제46호선 (금강로·동구릉로))

TG 불암산 요금소 Buramsan TG

본선요금소

버스정류장 병행

13 별내 Byeollae 2.39 35.30 불암로 고양방향 진입, 성남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
14 의정부 Uijeongbu 7.30 42.60 국도 제3호선 (동일로·평화로)

(서울특별시도 제61호선 (동부간선도로))

14-1 호원 Howon 1.60 44.20 서부로 나들목 진출입 시 요금 지불
15 송추 Songchu 6.20 50.40 북한산로

성남방향 진입, 고양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
TG 양주 요금소 Yangju TG 본선요금소

버스정류장 병행(의정부방향)

SA 양주휴게소 Yangju SA 고양방향

버스정류장 병행

16 통일로 Tongillo 9.20 59.60 국도 제1호선 (통일로)

(국도 제39호선 (호국로))

고양방향 진입, 성남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
16-1 고양 분기점 Goyang JC 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
17 고양 Goyang 7.40 67.00 지방도 제356호선 (고양대로) 고양방향 진입, 성남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
18 일산 Ilsan 2.97 69.97 중앙로
19 자유로 Jayuro 2.21 72.18 국도 제77호선 (자유로) 구 신평 나들목
20 김포 Gimpo 3.11 75.29 국도 제48호선 (김포대로)

TG 김포 요금소 Gimpo TG 본선요금소

버스정류장 병행

21 노오지 분기점 No-oji JC 3.75 79.04 130호선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양방향 모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고양방향) 진출 불가능
22 계양 Gyeyang 3.02 82.06 경명대로

(국도 제39호선 (벌말로))

본선상 신호등 설치

구 박촌 나들목

23 서운 분기점 Seoun JC 2.25 84.31 120호선 경인고속도로 본선상 신호등 설치
24 중동 Jungdong 2.08 86.39 길주로

26 장수 Jangsu 2.4 90.82 무네미로

수현로

고양방향 진입과 성남방향 진출만 가능

본선상 신호등 설치

27 시흥 Siheung 4.21 95.03 서해안로

TG 시흥 요금소 Siheung TG 본선요금소

버스정류장 병행

28 안현 분기점 Anhyeon JC 2.66 97.69 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
28-1 도리 분기점 Dori JC 4.81 102.50 제3경인고속화도로 양방향 모두 제3경인고속화도로(시흥방향)

진출 불가능

SA 시흥하늘휴게소 Siheung haneul SA 양방향 통합형
29 조남 분기점 Jonam JC 4.44 106.94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30 산본 Sanbon 5.27 112.21 산본로

31 평촌 Pyeongchon 4.13 116.34 신기대로

평촌대로

관평로

(국도 제1호선 (경수대로))

(국도 제47호선 (흥안대로))

32 학의 분기점 Hagui JC 2.86 119.20 지방도 제309호선 (봉담과천로)

SA 의왕청계휴게소 Uiwang-Cheonggye SA 고양방향

버스정류장 병행

TG 청계 요금소 Cheonggye TG 본선요금소

버스정류장 병행(성남방향)

1 판교 분기점 Pangyo JC 8.82 128.02 1호선 경부고속도로

양방향 모두 경부고속도로(서울방향)

진출 불가능 판교 나들목과 연계

주요 통과지[편집]

경기도
  •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 성남동) -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 - 태평동 - 복정동)
서울특별시
  • 송파구 (장지동 - 거여동 - 마천동)
경기도
  • 하남시 (감일동 - 광암동 - 춘궁동 - 덕풍동 - 초일동)
서울특별시
  • 강동구 (상일동 - 강일동 - 고덕동)
경기도
  • 구리시 (토평동 - 수택동) - 남양주시 (다산동 - 도농동) - 구리시 (인창동 - 사노동) - 남양주시 (퇴계원읍 - 별내동)
서울특별시
  • 노원구 상계동
경기도
  • 의정부시 (장암동 - 호원동 - 가능동) - 양주시 장흥면 -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 - 양주시 장흥면 -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 - 대자동 - 신원동 - 원당동 - 성사동 - 주교동) - 고양시 일산동구 산황동 -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대장동 - 토당동 - 신평동) - 김포시 고촌읍
인천광역시
  • 계양구 (노오지동 - 선주지동 - 귤현동 - 동양동 - 박촌동 - 병방동 - 용종동 - 서운동) - 부평구 삼산동
경기도
  • 부천시 (상동 - 송내동)
인천광역시
  • 부평구 (일신동 - 구산동) - 남동구 장수동
경기도
  • 시흥시 (대야동 - 계수동 - 안현동 - 매화동 - 무지내동 - 도창동 - 금이동 - 논곡동 - 조남동) -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 군포시 산본동 -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 군포시 산본동 -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 군포시 산본동 -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 의왕시 (내손동 - 포일동 - 학의동 - 포일동 - 청계동 - 학의동 - 청계동) -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통행료[편집]

한국도로공사 운영 구간 (남부 구간)[편집]

  • 5곳의 본선 요금소와 1곳의 지선 요금소에서 개방식으로 통행료를 징수한다.
요금소별 통행료.png
  • 개방식 구간 특성상 무료 이용이 가능한 구간이 많다.
  • 일산IC ↔ 자유로JC ↔ 김포IC
  • 계양IC ↔ 서운JC ↔ 중동IC ↔ 송내IC ↔ 장수IC ↔ 시흥IC
  • 안현JC ↔ 조남JC ↔ 산본IC ↔ 평촌IC ↔ 학의JC
  • 송파IC ↔ 서하남IC ↔ 상일IC ↔ 강일IC
  • 구리IC ↔ 퇴계원IC
  • 접속하는 타 노선의 요금소가 가까운 경우 고속도로 연계요금이 적용되어 일부 금액이 할인된다. 자세한 내용은 각 요금소 문서 및 고속도로 연계요금 문서 참조.

서울고속도로 운영 구간 (북부 구간)[편집]

  • 운영 방식은 개방식이나, 나들목마다 촘촘하게 요금소가 배치되어 있어, 모든 구간에서 통행료를 납부하게 되어 있다.
요금소별 통행료 2.png
북부구간 통행료.png
  • 호원IC 연계요금
  • 불암산TG·별내IC·송추IC·양주TG 수납 차량이 호원IC 진출 시 통행료 면제
  • 호원IC 수납 차량이 불암산TG·별내IC·송추IC·양주TG 진출 시, 호원IC 수납 금액만큼 할인
  • 즉, 호원IC 통행료는 호원IC ↔ 의정부IC 이용시에만 지불된다.
  • 평택파주고속도로(서울~문산) 연계요금
  • 평택파주고속도로에서 본 도로로 진입시 고양JC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 요금과 고양JC 요금(1종 기준 800원)을 합산하여 수납한다.
  • 평택파주고속도로에서 본 도로로 진입한 차량이 통일로IC로 진출하는 경우, 고양JC 영수증을 제출하여 통일로IC 요금(1종 기준 1,000원)을 면제한다.
  • 평택파주고속도로에서 본 도로로 진입한 차량이 양주TG를 통과하는 경우, 고양JC 영수증을 제출하여 양주TG 요금의 일부(1종 기준 800원)를 할인한다.
  • 본 도로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로 진출시 고양JC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 통행권을 수취한다.
  • 통일로IC에서 본 도로로 진입한 차량이 평택파주고속도로로 진출하는 경우, 목적지 요금소에서 통일로IC 영수증을 제출하여 고양JC 요금(1종 기준 800원)을 수납하지 않고, 평택파주고속도로 요금의 일부(1종 기준 200원)를 할인한다.
  • 본 도로의 양주TG에서 수납한 차량이 평택파주고속도로로 진출하는 경우, 목적지 요금소에서 양주TG 영수증을 제출하여 고양JC 요금(1종 기준 800원)을 수납하지 않고, 평택파주고속도로 요금만 수납한다.
  • 고양IC 방면에서 온 차량이 평택파주고속도로로 진출하는 경우, 목적지 요금소에서 고양JC 요금(1종 기준 800원)을 합산하여 수납한다.
  • 연계요금은 2시간 이내 동일 결제수단 이용 시 적용된다.

문제점[편집]

교통지옥[편집]

통행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북부구간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구간이 엄청난 교통량 유입으로 인해 최고속도인 100 Km/h는 물론이고 서행 기준인 30 Km/h 남짓한 거북이 걸음을 하는 구간이 대부분이다. 조사에 따르면 서울외곽순환선 전체 128.02 km 구간 중 거의 절반에 달하는 63.20 km의 구간의 일일 교통량이 도로 용량을 아득히 초월한 F등급을 받아서 무늬만 고속도로라는 이야기가 있다. 위쪽의 민자구간을 제외하면 사실상 한국도로공사 관할 구간 대부분이 상습정체구간인 셈. 이런 엄청난 교통량이 유입되는 이유는 서울 주변에 건설된 대규모 신도시의 인구증가와 수도권 과밀화가 주된 원인이며, 인구 증가로 인한 교통량 처리에 대비하지 못한 부실한 도로정책 또한 부차적 원인도 작용한다.

서운 분기점-장수 나들목 구간

기본적으로 이 구간은 우리나라 고속도로 구간 중 가장 자주, 오랫동안 막히기로 악명높은 중동 나들목과 송내 나들목을 포함하고 있다. 좀 덜막힌다 싶으면 중동-송내 사이정도에서 정체가 끝나지만, 일반적으로 서운부터 장수까지는 양방향 모두 정체를 찍어주는 날 수가 더 많다.[3] 여기에 조금 더 심화되면 정체가 북쪽으로는 김포 나들목[4]까지, 남쪽으로는 시흥 나들목까지 연장되기도 한다. 이 구간의 교통체증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려면 도로 확장만이 유일한 해법이지만, 이미 중동 신도시 구간은 고속도로 주변으로 아파트와 주거지가 빽빽하게 자리잡은 관계로 확장 자체가 불가능한 지역이다.

호원 나들목-의정부 나들목 구간

원래 이 구간은 교통정체가 거의 없는 구간이었지만 2015년 5월에 호원 나들목이 개통하면서 얘기가 달라지게 되었다. 본래 의정부 시내에서 서울시내로 진입하려면 도봉산역쪽의 3번국도나 장암역쪽의 동일로를 이용하여 서울로 들어온 다음에 동부간선도로를 이용하였지만, 문제는 이 호원 나들목이 개통된 이후로는 설계상의 미스로 차들의 흐름이 꼬이게 되어버린 것. 즉 사패산터널에서 나와서 의정부로 빠져나가려는 차들과 호원 나들목으로 진입하여 외곽선을 이용, 퇴계원쪽 방향으로 가려는 차들이 서로 X자로 교차를 하는 위빙현상이 유발되었는데, 더욱이 이 구간의 길이가 불과 1km 정도에 불과하여 사고위험이 높고, 진입하려는 차량과 진출하려는 차량이 엉켜 3,4차로의 속도가 엉망이 되어버린 것. 여기에 반대쪽인 수락산터널 방향에서 의정부 나들목을 경유하여 노원구쪽으로 퇴근하려는 차량들 덕분에 의정부 나들목 내에서도 차들이 X자로 교차를 하게 되면서 이동속력이 자전거보다 느려져 버리게 된 것. 여기에 일반도로를 타고 의정부시에서 서울로 들어와서 동부간선도로를 이용하려는 차들과 다시 3번째로 X자 교차 및 병목현상이 발생, 3중으로 크리티컬을 날려버린다. 이는 좁은 공간에 억지로 의정부 나들목을 우겨넣다 보니 설계상 의정부 방향 출구와 서울 방향 출구가 중간에서 교차하도록 설계된 의도적인 위빙 구간이다.

구리 IC-강일 IC 구간

이 구간은 구리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서울특별시 노원구쪽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서울 강남지역으로 출퇴근을 하는 코스 중 하나이다. 매일 아침 출근시간대만 되면 구리남양주 요금소 부근에서 헬게이트가 오픈한다. 퇴근시간대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런 현상이 생기는데 그나마 퇴근시간대에는 어느 정도 분산이 되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구리 나들목과 연결된 북부간선도로정도만 막히고, 나머지 도로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북부구간 통행료 논란[편집]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북부구간(일산-퇴계원 구간)은 민간자본으로 건설된 구간이다. 문제는 이 구간 36.3 km전체를 통과할 경우 통행료는 승용차 기준으로 4,800원이 나오게 되며 이는 km당 평균 132.2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보다 더 긴 남부구간 91.7 km전 구간을 달릴 때의 통행요금 2,900원보다도 1.7배가 높으며 남부구간의 km당 50원 단가의 2.5배 가량 되는 비싼 요금인 것이다. 문제는 이 구간에 투입된 후순위채권의 이자율이 조달 당시 20%의 이자율이었으며, 2036년이 되면 최고 48%가 적용되는 말도 안되게 높은 이자율이라는 것. 사채라도 땡겨왔나 국토부가 정한 이자율은 7.25%인걸 감안하면 말도 이게 어느 정도인지 감이 올 것이다. 실제로 이 채권계약으로 인해 북부구간 운영사인 서울고속도로는 이미 자본잠식 상태이며 매년 당기순손실이 발생하는 상황이라 통행료 인하를 할 수 없다는 입장. 이후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이런 살인적인 이자율은 국민연금공단이 투자한 지분에 대한 불합리한 이율 책정이 원인으로 밝혀져서 논란이 더욱 심화되었다.

이러한 비싼 통행료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북부구간 연선에 있는 지방자치단체[6]에서 연대하여 통행료 인하를 꾸준히 요구하였다. 2015년 연말부터 시작된 한국교통연구원과 삼일회계법인의 연구용역에 따르면 통행료를 먼저 인하하고 해당 손실액을 사업 재구조화틀 통해 현행 통행료에서 최소 1,415원 ~ 최대 2,184원까지 인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최대한 이른 시기에 통행료 인하를 추진중이다.

그리고 협의를 거쳐 북부구간의 요금 인하가 확정되었다. 2018년 3월 29일부터 북부구간의 전구간인 일산 나들목에서 퇴계월 나들목 구간을 주행할 경우 기존 1종 승용차 기준 4,800원의 요금이 3,200원으로 낮아졌다. 다만 협약을 통해 기존 30년간 부여하던 운영권을 20년 연장하여 50년으로 늘려준 것으로 민간사업자 입장에서는 큰 손해는 아닌듯 하다.

휴게시설 부족[편집]

총연장 100 km를 넘어가는 장거리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된 휴게소가 설치되지 않아 졸음운전 등 안전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그나마 여론을 의식해 뒤늦게나마 간이 휴게소가 몇군대 설치되었지만, 문제는 양방향 휴게소는 없으며, 휴게소 위치조차도 서울 남부와 북부로 양분되어 편중현상이 심한 편. 이렇게 된 이유는 애초에 이 고속도로의 수요를 단거리 위주로 상정하였고, 도심지를 경유하는 특성상 휴게소의 필요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측한 부분이 작용한다. 그러나 개통 이후 이런 예측과는 다르게 서울 북부지역에서 서해안고속도로나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등 주요 간선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50 km 이상 운전하는 수요도 많고, 극심한 정체로 섣불리 고속도로를 벗어나 별도의 휴식공간을 찾으려는 운전자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황으로 고속도로 휴게소의 필요성이 나날이 높아졌으며, 이와 관련된 민원도 자주 발생했다. 현재 설치된 간이 휴게소들 조차도 편의점, 화장실, 주유소 등 최소한의 시설만 갖춘 상황이며, 건설 당시 휴게소 부지를 미리 확보하지 않은 관계로 땅값이 엄청나게 올라버린 현재 휴게소 부지 매입에만 엄청난 보상금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고속도로 주변으로 이미 주거지역이 빽빽하게 들어찬 현재 상황을 보자면 앞으로도 마땅한 휴게소 부지 마련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간혹 설치된 졸음쉼터 조차도 여유부지를 쥐어짜듯 겨우겨우 설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도 최근들어 시흥하늘휴게소라던가, 구리휴게소 등 어느 정도 구색을 갖춘 휴게소들이 건설되어 사정이 조금은 나아진 편이다.

사건사고[편집]

  • 2010년 12월 13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부천고가교 화재사고

이야깃거리[편집]

북부구간 개통의 우여곡절[편집]

민자사업으로 건설된 북부구간(일산-퇴계원)중 사패산터널이 포함된 송추-의정부 구간은 착공 이후 불교계와 마찰로 공사가 1년 가까이 중단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사패산터널 외에도 수락산을 통과하는 터널 역시 인근 사찰에서 공사중 발파 진동 등으로 사찰 시설물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했다면서 항의하여 공사가 잠시 지연되는 등 건설과정에서 잡음이 상당했다. 특히 문제가 심각했던 사패산터널 구간은 고속도로 건설로 인해 북한산 주변의 자연이 훼손된다며 노선 변경까지 거론될 정도로 논란이 심했었다.[10] 당시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불교계의 표심을 의식한 노무현, 이회창 등 유력 대선후보들 역시 이런 반발에 동조하는 입장을 보이면서 자칫 건설중이던 고속도로 노선이 변경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었지만, 국토부의 중재로 논란이 종식되면서 원안대로 노선이 완공되어 개통했다.

명칭논란과 변경[편집]

서울외곽을 순환한다는 이름이 경기도 입장에서는 경기도가 서울의 외곽인 변두리를 의미한다는 인식을 주기 쉽다는 이유로 이 명칭에 반발해 왔었다. 물론 도로 구간중 일부는 서울시 송파구 영역을 지나는 곳이 있기 때문에 서울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으나 전체 노선비율에 비춰보면 서울시 구간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구간별로 부분개통하기 시작하면서 제2순환은 있는데 제1순환은 어디에 있냐는 또 다른 논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2020년 9월 1일부터 기존의 명칭을 변경하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명칭이 바뀌게 되었다.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