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스카이다이빙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스카이다이빙(Sky Diving)

스카이다이빙(Sky Diving)은 낙하산을 착용하고 항공기나 기구 등을 이용하여 높은 하늘에 올라간 뒤에 그 곳에서 허공으로 뛰어내려 자유강하를 하면서 계획한 동작을 수행한 뒤, 정해진 고도에서 낙하산을 펴고 땅에 안전하게 착지하는 항공스포츠를 말한다. 국제 항공 연맹에서는 주로 패러슈팅(parachuting)이라는 용어를 더 선호하고 있다.

스카이다이빙은 낙하산을 메고 비행기에서 뛰어내리는 것인데 단순히 떨어지거나 추락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하늘을 나는 것이다. 보통 3-4천 미터 상공에서 뛰어내리면 낙하산을 펴는 안전고도인 800미터 까지 45초~1분 동안 하늘을 나는 것이다. 이 짧은 시간에 그냥 수직으로 하강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경우는 초보자들이 몸의 균형을 잡는 연습을 하는 것이고, 보통 다른 동료들과 사전 약속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면서 하강한다.

공중에서 서로 만나려면 수직이동만이 아닌 수평이동도 필요한데 이 모든 것이 스카이다이버가 만드는 팔, 다리, 몸의 자세와 동작에 의하여 결정된다. 자세의 변화에 따라 하강 속도조절과 앞, 뒤, 좌우로 수평이동을 하기 때문에 추락이 아닌 나는 것이라고 얘기한다.

스카이다이빙 속도는 자유강하 시 기본자세의 경우 시속 180km의 평균속도가 유지된다. 최대속도는 자세에 따라 300km까지 낼 수 있다. 영화 '고공침투'에서 뒤따라가던 그 자세. 그리고, 낙하산이 개방된 후에는 무풍인 경우 약 30km의 속도로 강하한다. 물론 낙하산 종류, 조정방법, 풍향, 풍속 등에 따라 차이는 있다.

국내 스카이다이빙 활동은 대한민국항공회 산하 한국스카이다이빙협회(www.kpa.or.kr)에서 가능하다. 스카이다이빙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스카이다이빙협회에 입회하고 협회 산하의 교육기관에서 학교 교육을 수료해야만 국내에서 스카이다이빙활동을 할 수 있으며, 강하활동은 주로 미사리에서 하고 있다.

스카이다이빙을 할 때는 2개의 낙하산을 착용하는데 1개는 주낙하산이 안 펴질 때 사용하는 예비용이며, 요즘의 사각형 낙하산은 2개의 낙하산이 모두 안 펴질 가능성은 15만분지 1 정도로 오토바이를 타는 것보다 안전하다. 예비용 낙하산에는 일정한 고도가 되어도 못 펴는 경우를 대비하여 자동으로 펴주는 자동산개기(AAD)를 장착하므로 사고 발생 확률은 훨씬 더 적고, 그 외에 고도를 알려주는 고도계와 소리로 고도를 알려주는 경보기를 사용한다.

많은 사람들이 스카이다이빙을 잘하는 사람은 가장 낮은 고도에서 펴는 사람으로 잘못알고 있지만, 어떤 경우에도 800미터 (2,500피트) 이상의 고도에서 낙하산을 펴도록 규정되고 교육시키고 있다.

개요[편집]

스카이다이빙은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비행기에서 뛰어내려 높은 고도의 상공을 활공하다가 지상 가까이에서 낙하산을 펴서 착륙하는 스포츠의 총칭이다.

민간인이 시도한 스카이 다이빙은 1919년 미국의 레스리엘 어빙이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시작했다. 그는 1919년 4월 28일 오하이오 멕콕에서 152 미터의 고도에서 점프하여 낙하산을 펴고 내려오는데 성공하였다. 그뒤 프랑스의 레오 발렌틴이 스카이 다이빙의 자세와 기술을 연구, 개발하여 현대화를 이루었으며 보급에 힘썼다. 이와 같은 노력에 힘입어 스포츠로서 일반인 속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다.

이후 이것이 헤일로라고 하여 군대, 그중에서도 공수부대나 특수부대에서 행하는 전술이자 훈련으로 변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상당히 매력있는 스포츠 중 하나로 전승되면서 많은 나라에서 행해지고 있다.

초보들은 탄뎀(탠덤)점프라고 위의 사진과 같이 숙달된 조교가 같이 매달려서 점프를 할 수 있다. 사실상 초보라면 필수 사항이다.

한국과 스카이다이빙[편집]

대한민국에서 스카이다이빙(HALO)은 1960년대부터 육군 제1공수특전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960년대 초반부터 육군 공수특전단 간부들이 미 그린베레에게서 HALO 위탁교육을 받았고 이들이 교관이 되어 1960년대 중반부터 특전사 자체 고공교육을 실시해서 군 작전용 스카이다이버들을 자체 배출했다. 1980년경부터는 타군 특수부대들의 간부도 소수가 육군 특전사 특수전학교의 고공강하 교육에 입교하여 위탁교육을 받았다.

민간에서는 1964년에 주한미군과 가까이 지내던 젊은이들이 미군을 통해 스카이 다이빙을 접하게 된 뒤 대한항공협회 산하의 '대한낙하산회'를 결성한 게 시초이다. 이 대한낙하산회가 바로 현재의 '한국 스카이다이빙 협회'의 전신이다. 과거엔 워낙 돈이 없었기 때문에 단체만 결성됐지 민간에서 실제 강하할 기회를 잡기가 어려웠는데, 주로 육군 항공대의 경비행기 지원을 받아서 실제 강하를 하곤 했다.

1977년부터 매년 육군특수전사령부에서 육군 특수전사령관배 스카이다이빙대회를 개최했는데 여기에 군 특전사 팀들과 민간 스카이다이빙협회 팀들이 출전해오고 있고 있다. 현재는 육군 특전사 뿐 아니라 각 군 특수부대 대표팀과 주한미군 대표팀(주로 그린베레의 한국파견대 대원들)도 참가하고 있다.

스카이다이빙 장비[편집]

① 낙하산

스카이다이빙용 낙하산은 비행기의 날개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어서 대단히 빠른 속도로 전진하며, 방향 조종도 비행기와 같은 원리로 한다. 스카이다이빙용 낙하산은 교육, 초급, 중급, 고급 숙련자용으로 다양한 모델이 있다.

② 자동산개기

자동산개기는 스카이다이버가 낙하산을 펴지 못하였을 때, 일정고도에 이르면 작동하여 낙하산이 펴지도록 한 안전장구이다. 고도계와 마찬가지로 기압 차이를 이용하여 일정고도 이하에서 기압의 변화가 커지면 감지하고 작동하는 원리이다. 보통 예비낙하산에 장착하고 작동 시에는 낙하산 배낭의 묶음 줄을 칼로 잘라서 낙하산이 배낭에서 튀어나오도록 하는 방식이다.

③ 점프슈트

스카이다이빙복인 점프슈트는 상하의가 붙어있다. 활동 중에 옷에 바람이 들어가서 상의가 허리띠에서 빠져나와 펄럭거리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함이다. 점프슈트는 대형만들기를 할 때 서로 잡기에 편리한 손잡이(grip)가 달려 있다.

④ 헬멧

스카이다이버를 머리를 보호해주는 헬멧은 가죽이나 플라스틱 소재의 것이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의 것도 머리만 보호하는 것과 얼굴까지 덮는 것 그리고 카메라맨을 위한 헬멧 등 종류가 다양하다.

⑤ 방풍계(고글)

스카이다이빙을 할 때 세찬 바람으로부터 눈을 보호하여 선명한 시야를 확보하는데 착용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안경.

⑥ 고도계

고도계는 고도 차이에 따라 기압이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비행기에서 이탈하여 하강하는 동안 기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고도를 표시해준다. 시계 바늘과 같은 표시 방식의 아날로그 방식과 숫자로 나타내는 전자 디지털방식이 있다.

수신호[편집]

  • 검지와 약지를 편다. "양팔 자세를 확인하라". 반대로 손가락을 오므리면 "양팔을 몸쪽으로 오므려라"이다.
  • 검지를 편다. "낙하산을 펼쳐라". 이것만큼은 빠르게 반응해야 한다.
  • 엄지를 아래로 내린다. "몸을 아치형으로 만들어 속도를 줄이고 안정을 취하라".
  • 검지와 중지로 V를 만든다. "다리를 펴라". 역시 반대로 오므리면 "다리를 오므려라"는 신호이다.
  • 달걀 쥐듯이 손을 동그랗게 만든다. "고도계를 확인하라". 검지 펼치기와 마찬가지로 생명과 직결된다.

스카이다이빙 교육방법[편집]

① 생명줄 강하(Static Line)

전통적인 스카이다이빙 교육 방법으로서 지상교육을 수료한 교육생이 "생명줄(S/L)"이라는 낙하산 개방장치가 부착된 교육 장비를 착용하고 약 4,500ft 상공에서 이탈을 한다.

낙하산은 교육생의 본인의 개방 여부와 상관없이 생명줄에 의해 펴지기는 하나, 이때 모의 개방 손잡이로 개방 연습을 하며, 이때는 자세와 모의 개방 손잡이의 개방 여부를 중점적으로 본다. 자신감 있고, 안정된 개방 자세가 나오는 교육생은 낙하산에서 생명줄을 제거하고 항공기에서 이탈하여 본인이 직접 낙하산을 3초 만에 개방하는 J&P(Jump & Pull)를 한다.

교육생은 점점 고도를 높여가면서 자유강하시간(Free Fall Time)을 늘리게 되고 이때 훈련관이 함께 강하하면서 관찰하여, 10,000ft 이상의 고도에서 이탈하여 안정된 자유강하 자세와 약속된 고도에서의 정확한 개방, 안전한 착지 등을 수행 할 수 있게 되면 교육을 수료한다.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보통 20-30회 정도 강하를 하면 수료한다.

② 2인승 강하(Tandem)방식

초보자들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2인승강하 교관이 2인승 낙하산을 착용하고 지상 교육을 받은 교육생을 특수멜빵으로 교관의 장비와 연결한 상태로 보통 10,000ft 이상의 상공에서 강하하는 교육방법으로 짧은 시간 안에 최고의 자유강하 속도와 고도를 경험하게 함은 물론, 교육생이 직접 낙하산을 개방하고 조정하게 함으로서 차후 단독 강하 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방법. 교육 목적이 아닌 단순한 체험강하를 위한 수단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③ 속성 자유강하(AFF)방식

초보자를 가장 단기간에 전문 스카이다이버로 양성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방법. 속성자유강하 교관 2명이 교육생의 양 옆 위치하여 10,000ft 이상의 고도에서 함께 강하하면서 약속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교육 방법.

이 교육 방식은 교육 내용 단계별로 보통 7단계로 구성이 되어있다. 각 단계를 모두 통과하면 기본 교육을 수료하게 되나, 각 단계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면 통과될 때까지 같은 등급을 계속 반복하게 된다. 처음에는 2명의 교관이 함께 강하하고, 일정 단계부터는 1명의 교관이 함께 강하하며, 교육생과 근접된 거리를 유지하면서 수신호 등으로 교육하는 방법이다.

스카이다이빙을 하려면 한국스카이다이빙협회 산하 교육기관에 문의하여 교육일정을 배정받아야한다. 교육시간은 총 15시간으로 이론과 지상교육을 한다. 지상교육은 강하시의 자세와 사고발생 시 응급조치 등의 안전교육과 낙하산 접기(포장)가 내용이다. 교육기관에 입교하기 전에 먼저 한국스카이다이빙협회에 회원으로 등록해야 한다.

스카이다이빙 자격증[편집]

스카이다이빙의 자격에는 강하자격, 훈련관자격, 그리고 기타의 자격으로 분류한다.

강하자격에는 A등급(초급), B(등급), C등급(상급), D등급(고급)의 자격증이 있는데, 각각의 요구조건은 다음과 같다.

  • A등급 자격증 : 교육을 수료하고 최소 25회 이상 자유강하 기록을 가진 자
  • B등급 자격증 : 최소 100회 이상 자유강하 기록을 가진 자
  • C등급 자격증 : 최소 200회 이상 자유강하 기록을 가진 자
  • D등급 자격증 : 최소 500회 이상 자유강하 기록을 가진 자

훈련관자격증은 생명줄강하 교관, 2인승강하 교관, 속성자유강하 교관자격증으로 세분된다. 각각의 훈련관은 다시 준교관, 정교관, 시험관, 그리고 교관 판정관으로 등급이 구분되는데, 준교관으로서 훈련관 경력을 쌓은 후 정교관 자격증을 취득하게 된다.

최초의 훈련관 자격인 생명줄강하 준교관자격의 경우 C 또는 D등급 강하자격증을 소지한 자로서 최소 300회 이상의 강하기록이 있어야 한다. 정교관의 경우는 500회 이상, 시험관은 1,500회 이상의 강하기록이 있어야 한다.

기타 자격증으로는 시범강하자 자격, 심판관 자격, 낙하산 정비사 자격, 촬영사 자격 등이 있다.

스카이다이빙 경기[편집]

① 주요 대회

세계 대회는 국제 항공연맹(FAI) 산하의 국제 낙하산 연맹(IPC)에서 매년 번갈아 개최하고 있는 '세계 선수권대회' 와 '월드컵 대회' 등이 있다. 국내 대회는 한국 스카이다이빙 협회가 주최하는 '선수권 대회'와 매년 가을에 특전사가 주최하는 '특전사령관배' 등이 있다.

② 경기 종목

  • 정밀강하(Accuracy) - 900미터 고도의 항공기에서 이탈하여 800미터 이상의 상공에서 낙하산을 편 뒤, 직경 3cm의 원반에 가장 가깝게 착지하는 선수가 우승하는 경기이다.
  • 스타일강하(Style) - 고도 2,000미터의 항공기에서 이탈하여 낙하산을 펴기 전에 좌회전, 우회전, 뒤로 넘기 동작을 2회 연속으로 가장 빠른 시간과 가장 정확한 자세로 수행하는 선수가 우승자가 되는 경기이다.
  • 대형만들기 강하(Formation) - 4인조 또는 8인조의 선수들이 낙하산을 펴기 전에 자유강하를 하면서 주최자가 정한 여러 가지 모양의 대형을 가장 많이, 정확히 만드는 팀이 우승팀이 되는 경기이며, 고도 4,000미터의 항공기에서 이탈한다.
  • 낙하산 대형만들기 강하(Canopy Formation) - 4인조 또는 8인조의 선수들이 항공기에서 이탈하자마자 낙하산을 펴고 같은 팀의 낙하산들끼리 낙하산을 연결하여 주최자가 정한 모양을 가장 많이 만드는 팀이 우승팀이 되는 경기로, 4인조와 8인조의 경기와 만드는 모양에 따라 속도경기, 순환경기, 연속경기 등이 있으며, 항공기에서 이탈하는 고도도 다르다.
  • 프리스타일(Freestyle) - 자유강하를 하면서 발레를 하는 것처럼 춤을 추는 연기하는 선수와 Camera man이 한 조가 되어 참가하며, 촬영한 영상을 검색하여 연기의 난이도와 예술성을 판정하여 채점하는 경기.
  • 스카이 서핑(Sky Surfing) - 자유강하를 하면서 파도타기와 같은 서핑보드를 타는 연기를 하는 선수와 Camera man이 한 조가 되어 참가하며, 촬영된 영상을 검색하여 연기의 난이도와 예술성을 판정하여 채점하는 경기.
  • 파라스키(Para-Ski) - 일부 유럽국가에서만 하는 경기종목으로 정밀강하와 스키활강의 종합점수로서 우승자를 가리는 경기이다.

※ 이 경기들은 종목별로 매 2년마다 세계대회가 개최되고, 각종 국제대회가 수시로 개최된다.

사건사고[편집]

위험도가 높은 만큼 상대적으로 사고도 잦은 편이다. 그래서 민간 경비행기에서 할 경우 조종사도 낙하산을 메고 타기도 한다.

위스콘신 상공 공중충돌 사고의 경우 스카이다이버들이 탄 비행기들이 공중충돌하면서 폭발이 일어난 사고인데, 조종사의 낙하산도 구비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원 생존했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스카이다이빙 문서는 교통수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