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직할시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직할시(直轄市)는 중앙 정부에서 직접 관할하는 도시라는 뜻으로, 도시 행정의 특수성을 대처하기 위해 만든 행정구역의 이름이다.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과 동시에 광역시로 명칭을 개정하면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나 실질적인 개념과 권한, 지위 등은 직할시와 같다.[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에서는 1963년 1월 1일 경상남도 부산시가 정부 직할의 부산시로 승격되면서 대한민국 최초의 직할시가 되었으며 1981년 4월 4일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 개정으로 법령상의 부산직할시로 개칭되었다. 이 법의 개정으로 행정구역상 직할시 조항이 신설되었고 이전까지 지방자치법과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상의 상위 행정구역은 서울특별시와 도가 전부이며 부산은 일종의 특례를 받은 경우로 공식명칭은 부산시였고 내무부 직할이라는 의미에서 일반시와 구분 짓기 위해 직할시로 불리었다.

경상북도 대구시와 경기도 인천시는 1981년 7월 1일 자로 시행된 대구직할시 및 인천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각 대구직할시와 인천직할시로 승격하였다. 직할시란 법적인 행정단위가 생긴 이후 첫 승격 사례이다.

전라남도 광주시는 광주직할시 및 송정시 설치에 관한 법률에 따라 1986년 11월 1일 자로 광주직할시가 되었고, 충청남도 대전시는 대전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에 따라 1989년 1월 1일 자로 대전직할시가 되었으며 1994년 12월 20일 지방자치법이 재개정되어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로 직할시 대신 광역시를 두게 되어 1995년 1월 1일 자로 기존의 직할시들이 일괄 광역시로 이름을 바꾸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평양직할시가 직할시로 지정되어 있다. 예전에는 개성시(1955~2003), 남포시(1979~2004), 라선시(2001~2004), 청진시(1977~1985), 함흥시(1960~1967)도 직할시로 지정되었으나, 현재는 특급시로 그 등급이 바뀌었다가 일부는 다시 특별시로 승격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편집]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단위의 도시이며, 성(省)과 동격의 일급 행정구역이다. 현재 베이징시, 상하이시, 충칭시, 톈진시의 4시가 있다. 직할시는 시할구와 현을 관할한다. 충칭시에는 자치현이 설치되어 있다.

직할시는 일반적으로는 성보다 면적이 작고, 인구도 적지만, 가장 큰 충칭시는 소규모의 성보다 크고, 넓다. 지방의 성 중에는 직할시보다 인구가 적은 곳도 있다. 직할시에는 지급 행정구역이 없다.

1997년 충칭시가 직할시로 승격된 이래, 현재까지 5번째 직할시는 나오지 않고 있다. 광저우와 선양은 다섯번째 직할시가 되길 희망하고 있지만 승격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2020년 중국과학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카슈가르, 선전, 칭다오, 다롄의 직할시 승격을 주장했다.

중화민국[편집]

1927년, 중화민국 정부는 인구 백만 명이 넘는 난징, 상하이, 베이징, 톈진, 칭다오, 충칭, 시안, 광저우, 한커우(현재 우한시의 일부), 선양, 하얼빈시의 11개 도시를 직할시(당시 이름은 '특별시', 후에 '원할시'로 바뀜)로 지정했다.

국공 내전 때 난징에 있던 중화민국 정부를 타이완섬으로 옮긴 후에는, 타이베이시가 1967년 원할시로, 가오슝시는 1979년 원할시로 지정되었다. 1994년 이후 '원할시'(院轄市 yuànxiáshì)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직할시'(直轄市 zhíxiáshì)로 바꾸었다. 2010년 신베이시와 타이난시, 타이중시가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2005년에 중국 대륙을 자국의 행정 구역에서 사실상 제외하였으므로, 현재 중화민국은 5개의 직할시를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편집]

중앙직할시(中央直轄市)는 베트남의 행정구역 단위로 성(省)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 행정구역이다. 현재 베트남에는 하노이, 호찌민, 다낭, 하이퐁, 껀터 5개 도시가 중앙직할시로 지정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광역시와 비슷한 개념이다.

중앙직할시는 다시 제2급 행정 계층 단위인 군(베트남어: Quận / 郡), 현(베트남어: Huyện / 縣)으로 나눠진다. 꽌은 도시에, 후예는 시골 지역에 적용이 되며, 각각 대한민국의 구(區)와 군(郡)의 개념과 유사하다.

하노이

하노이는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의 수도로, 홍강 삼각주에 있다. 인구는 3,083,800명이다 (2004년).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베트남 역대 왕조는 이곳에 수도를 두었고, 프랑스도 식민지기간에 이곳에 통킹 지방의 행정청을 두었다. 1945년부터는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수도가 되었고, 1976년 통일 베트남의 수도가 되었다.

호찌민시

호찌민시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도시로 메콩강 하구 삼각주에 자리하고 있다. 16세기에 베트남인에게 정복되기 전에는 프레이 노코르란 이름의 캄보디아의 주요 항구였다. 사이공(베트남어: Sài Gòn, 柴棍, 西貢 시곤, 서공)이란 이름으로 프랑스 식민지인 코친차이나와 그 후의 독립국인 남베트남(1954년~1976년)의 수도이기도 했다. 1975년에 사이공은 호찌민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여전히 “사이공”이 많이 쓰인다) 시 중심부는 사이공 강의 강둑에 놓여 있고, 남중국해로부터 60㎞ 떨어져 있다.

하이퐁

하이퐁은 베트남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하노이로부터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하이퐁은 베트남 북부 지역의 주요 항구도시이기도 하다.

다낭

다낭은 베트남 남중부 지역 최대의 상업 도시이자, 남중국해와 맞닿은 항구도시로 베트남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 다낭의 역사는 약 300년 정도 거슬러 올라간다. 베트남의 문화가 존재한 4천 년에 비하면 비교적 신생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고대에는 참족의 중요 거점으로 번영을 누렸고 1847년 세실 장군이 파견한 프랑스 배가 로마 가톨릭 선교사의 박해에 대한 보복으로 다낭을 폭격하였다. 1858년 8월, 나폴레옹 3세의 명령에 따라 프랑스 군대가 상륙하여 이 지역을 식민지배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다낭은 투란(프랑스어: Tourane)이라고 불렸다. 다낭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5대 도시의 하나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다낭은 남베트남군과 미군의 주요한 공군 기지로 활용되었다. 그때부터 다낭의 인구는 1백만 명이 넘게 증가하였다. 1968년 후에 전투의 여파로 후에에서 많은 사람이 다낭으로 피신하였다. 1997년 이전에 다낭은 꽝남-다낭 성의 일부였다가, 1997년 1월 1일 베트남의 네 번째 중앙직할시가 되면서 꽝남성과 분리되었다.

껀터

껀터는 인구 1,121,000(2004년)을 가진 베트남 남부의 메콩강 삼각주 최대의 도시로 중앙직할시이다. 메콩강 최대의 지류인 하우강 남안에 있으며, 베트남 최대의 도시인 호찌민시에서 서쪽으로 약 160km에 위치한다. 열대몬순기후대에 속하며, 우기와 건기를 가진다. 우기는 5월부터 11월이며, 건기는 12월부터 4월이다. 연간 평균 습도는 83%, 연간 평균 강수량은 1,635mm, 연간 평균 기온은 섭씨 27도이다. 인접한 성으로는 안장성, 허우장성, 끼엔장성, 빈롱성 그리고 동탑성이 있다.

각주[편집]

  1. 직할시〉,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직할시 문서는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