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패러글라이더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패러글라이더(paraglider)

패러글라이더(paraglider)는 낙하산을 날개처럼 만들어 글라이딩 성능을 극대화한 활공기이다.

패러글라이더는 낙하산(parachute)과 행글라이더(hang-glider)의 합성어이다. 낙하산의 안정성, 분해, 조립, 운반의 용이성 그리고 행글라이더의 활공성과 속도(speed)를 고루 갖춘 항공스포츠이다. 행글라이더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사람이 달려가면서 이륙하여 비행한 후 두발로 착륙한다. 산의 정상이나 능선에서 10m가량의 도움닫기 후 이륙을 하며 좌우 조종줄이 있어 방향을 전환한다. 또 착륙 시에는 브레이크 손잡이를 사용한다.

패러글라이더는 같은 무동력 활공기인 행글라이더보다 늦게 보급되었지만 기체 조작이 간편하고, 장비의 무게(약 4㎏)가 가볍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동호인 수가 가장 많은 항공스포츠다. 처음으로 패러글라이더가 고안된 것은 1984년이다. 등산가인 J.M.부아뱅은 신속한 하산을 하기 위해서 특수한 모양의 기구를 사용하였는데, 이것이 패러글라이더의 원형이었다고 한다.

동호인 수가 많은 만큼 많은 대회들이 열리는데 종목으로는 목표물 통과하기, 표적 던져 넣기, 먼 거리를 비행하는 크로스컨트리 등이 있다. 또한 패러글라이딩을 응용한 많은 레포츠들이 있는데 패러글라이더를 타고 내려오다 착지순간 스키를 타는 패러스키, 산이 아닌 평지에서도 패러글라이더를 즐기기 위해 프로펠러를 사용한 모터 패러글라이더, 좌석이 있고 그 좌석에 엔진이 붙어 있는 형태의 패러플레인, 2명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텐덤비행 등이 그것이다.

개요[편집]

패러글라이더는 낙하산과 행글라이더의 특성을 결합한 것으로 낙하산의 안정성, 분해, 조립, 운반의 용이성과 행글라이더의 활공성, 속도성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다. 패러글라이더는 인력활공기라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동력장치없이 사람이 달려가면서 이륙을 하거나, 또는 제자리에서 이륙을 하여 비행을 한 후 두발로 착륙을 한다. 따라서 패러글라이더는 초경량 비행장치 중 인력 활공기에 속하고 기체 조작이 간편해 세계적으로 동호인 수가 가장 많은 항공 스포츠다.

비행계기 등 부속장비를 합친 총무게가 약 20kg 안팎으로 가벼운 게 큰 장점이며, 산 정상이나 능선에서 약 10m 정도 달리면 이륙할 수 있다. 평균 비행속도는 시속 30~40km이며, 활공성능은 고도 10m 침하하는 동안 약 50~100m 정도를 날아갈 수 있다. 비행에 적당한 바람은 정풍 기준 초속 1~7m 정도이며, 헬멧을 쓰고 하네스(harness : 기구와 몸을 연결하는 장비)를 입은 뒤 좌우측 조종줄로 방향을 전환한다. 착륙은 브레이크 손잡이를 사용한다. 평균수명은 5년, 햇빛 최대 노출시간은 약 300시간이다.

국제대회로는 세계패러글라이딩선수권대회, 아시아패러글라이딩선수권대회, 월드컵패러글라이딩대회 등이 있고, 국내대회로는 대통령배대회, 협회장배대회, 국가대표선발 리그전을 포함해 각 지자체 초청대회 등 년간 약40~50회 정도의 대회가 열리고 있다. 경기종목은 정밀착륙경기와 정밀투하경기, 먼 거리를 비행하는 크로스컨트리 등이 있다.

패러글라이딩 역사[편집]

1984년 프랑스의 등산가 Jean Mark Boivin이 낙하산을 개조하여 처음 패러글라이더를 만들어 비행에 성공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패러글라이더의 효시라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쉽고, 간단하게 배워 비행을 즐기자 그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를 하였고 각국의 항공협회에서는 앞 다투어 새로운 비행장르로서 수용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각국 항공협회 산하 행글라이딩협회 내에 패러글라이딩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었다. 국제항공연맹(FAI)산하 국제행글라이딩위원회(CIVL)에서도 그 조직 내에 패러글라이딩 분과를 구성하여 이제 새로운 항공스포츠로 성장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1986년에 처음 도입이 되었고, 87년에 처음 언론에 보도되어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89년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초기 시작은 패러글라이더 제조 분야부터 활발히 전개되었는데, 처음 도입하여 사업화하기 시작한 에어맨을 필두로 대교(당시 콘돌 브랜드), 웅비유체, 대한낙하산(현 종우파라슈트), 파라콘 등의 제조회사들이 줄을 이었고, 최근에는 초기 에어맨 멤버가 주축이 된 진글라이더가 설립되기에 이르렀다. 이들 제조회사들 중 상당수는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기술력과 판매망을 갖추고 있을 정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1989년 10월에 첫 동호인친선대회가 개최되었고, 91년에 당시 행글라이딩과 동력행글라이딩을 관장하고 있던 한국활공협회 내에 패러글라이딩분과위원회가 결성, 협회 조직으로서의 체제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세계대회는 1989년도에 오스트리아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나 연속되는 악기상으로 최소경기수를 채우지 못해 취소되고, 1991년도에 프랑스에서 공식적인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우리나라도 이때부터 출전하게 되었다. 첫 출전에서 세계 20위권 밖에 머물던 우리나라는 국내 제조업체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제2회 대회(1993년 스위스)에서부터 세계 10위권 안에 드는 패러글라이딩 강국으로 도약하게 되었다.

패러글라이딩의 구조[편집]

① 기체 : 기체의 윗면과 아래면을 연결하여 주는 것을 ‘칸막이’라한다. 정면에서 볼 때 기체의 입구는 항상 열려있고 뒷부분은 닫혀있다. 여기에는 Side-Venthole 이라는 구멍이 기체마다 다르지만 기체의 횡축 방향으로 많이 뚫려있다. Side-Vent Hole의 역할은 기체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순환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내부의 고른 압력이 퍼져나가 날개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안전장치이다.

② 산줄(Suspension Lines) : 캐노피와 파일럿을 연결하는 것으로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가는 것이 많이 사용된다. 기체의 아래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횡 과열로 산줄이 달려있다. 뒷부분에는 방향전환 및 속도를 감속시키는 중요한 장치인 조종줄이 위치하고 있다. 산줄의 재료는 당겼을 때 늘어나는 변형률이 거의 없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딱딱한 성질로 인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내부조직이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기에 대부분 장비회사에서는 일정시간(300시간)이 지나면 교체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장비 보관 시에도 산줄을 묶지 말고 원형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③ 라이저(Riser) : 파일럿 쪽에 있는 산줄의 끝부분을 하나로 묶고 있는 벨트, 캐너피 앞쪽 산줄을 묶는 프런트 라이저와 뒤쪽 산줄을 묶는 리어 라이저로 나누어진다. 기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하나씩 두 개로 구성되어 있다. 라이져의 가닥수는 대부분 2-5개 장도이며, 제일 앞에 위치한 라이져를 A-Riser, Front-Riser라 한다. 자동차의 시동키와 같이 이륙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일 뒤쪽에는 Rear-Riser가 위치한다. 여기에는 조종줄이 연결되어있다. 또, 어떤 기종에는 Trim-Tab이라는 장치가 달려있다. 이것도 Foot-Bar와 같은 속도를 증감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④ 하네스(Harmess) : 파일럿이 캐너피에 매달리기 위해서 착용하는 안전벨트이다. 비행자와 기체를 연결하는 장치로 자동차의 운전석이라 생각해도 무방하다. 비행전 반드시 모든 버클의 착탈유무를 본인이 직접 확인 후 비행에 임해야 한다. 하네스의 장치 중 Cross-Bracing이라는 장치를 주의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하네스의 양옆에 붙어있어서 서로 엇갈리게 다른 쪽 연결고리에 연결하면 된다. 주된 역할은 와류지역에서 기체가 흔들릴 때 비행자가 같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초보자들은 와류에 영향을 받고 싶지 않다거나 할 때에는 조여주면 기체의 움직임이 둔해져 정속비행을 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⑤ 브레이크 코드(Brake Cord) : 패러글라이더를 조절하는 것으로 컨트롤 라인이라고도 한다. 캐노피 뒤쪽 가장자리 각각의 끝에 연결되어 있어, 잡아당기는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캐노피 날개 끝의 공기 저항을 이용하여 좌우회전과 속도 조정 등을 할 수 있다.

패러글라이딩 종류[편집]

① 탠덤비행(Tandem Flight) : 체험비행의 방법으로 능숙한 조종사와 체험자가 하나의 기체로 비행하는 것으로, 숙련된 조종사가 비행조종을 하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아이도 쉽게 비행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

② 스키패러(Paragliding with Skis) : 스키와 패러글라이딩을 접목한 새로운 장르이다. 새하얀 눈의 세계에서 푸른 하늘로 스키를 신은 채 패러글라이더로 이륙, 눈으로 뒤덮인 산들을 내려다 보면서 하는 비행이다. 스키를 신고하는 패러글라이더는 의외로 간단하지만 대부분 지역에서는 위험하다는 이유로 금지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80cm 정도의 미니 스키를 허가하는 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③ 해안비행(Ocean Flight) : 해풍을 이용한 해안 위를 비행하는 것이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도 패러글라이더로 날기에 좋은 지역이 몇 군데 있다. 그러나 바다 위를 나는 것도 좋지만 착륙할 것을 생각한다면 너무 멀리까지 가지 않는 것이 좋다.

④ 소어링(Soaring) : 기류를 이용한 상승비행이다. 소어링에는 경사면을 이용한 리지 소어링과 열상승풍을 이용한 서멀 소어링이 있는데, 보다 높게 비상하기 위해서는 온도와 습도의 차이로 아래쪽에 있는 가벼운 공기덩어리가 위로 이동하게 되는 서멀을 이용해 나는 서멀 소아링을 해야된다. 소어링에 의해 높은 위치로 비상함으로써 장시간 비행과 장거리비행이 가능하게 된다.

⑤ 크로스컨트리(Crosscountry) : 장거리비행을 말한다. 패러글라이더가 성행하는 유럽에서 매우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기록도 계속 갱신되어 1990년에는 프랑스의 세비아 레몽이 아프리카의 나미비아에서 150km 장거리 기록을 달성했다. 크로스컨트리는 서멀 소어링을 연속으로 실행하는 경우가 많고, 하나의 서멀로 고도를 획득한 뒤, 다음 서멀까지 이동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고도의 기술과 기상 조건을 파악하는 지식과 냉정한 판단력을 필요로 한다.

패러글라이더 조종방법[편집]

패러글라이더는 낙하산 방식의 조종줄을 당겨 조종한다. 라이저에는 왼쪽, 오른쪽 조종줄이 각각 하나씩 달려 있는데, 방향전환과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한쪽 줄만 당기고, 속도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양쪽 조종줄을 함께 당기거나 풀어준다. 오른쪽 조종줄을 당기면 기체가 오른쪽으로 돌아가고, 반대로 왼쪽 조종줄을 당기면 왼쪽으로 돌아가는데, 방향전환과 회전을 위해 이렇게 한쪽 조종줄만 당길 때는 파일럿의 몸도 그 쪽으로 약간 기울여주면 체중도 실려 조종효과가 커진다. 양쪽 조종줄을 함께 당기면 속도가 줄고, 반대로 양쪽 조종줄을 위로 올려주면 속도가 빨라진다. 더욱 빠른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스피드바를 장착하면 되는데 두 발로 스피드바를 밟아주면 기수가 숙게 되어 속도가 더 빨라진다.

패러글라이더는 얼마나 높이,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나?

이것은 비행할 때의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는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여름에 상승기류가 강한 날은 약 3,000m 정도까지 올라갈 수 있고, 이 때 100km 까지 날아갈 수 있다. 세계기록은 에베레스트산(해발 8,848m)에서 이륙한 것이 가장 높은 고도 기록이고, 낮은 산에서 이륙하여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올라간 획득고도는 4,800m, 직선으로 날아간 비행거리는 335km에 이르고 있다.

패러글라이더는 얼마나 오래 떠 있을 수 있나?

비행시간 역시 기상조건에 달려 있는데, 높이 올라가면 보통 여러 시간씩 비행할 수 있다. 상승기류가 좋은 날에는 해가 질 때까지 착륙하지 않고 비행할 수 있다. 세계기록은 11시간 30분 체공이다.

패러글라이더는 어떤 곳에서 뜨고 내릴 수 있나?

장애물이 없고 경사 20도 이상인 산이나 언덕에 맞바람이 불어오면 어디서나 패러글라이더가 이륙할 수 있다. 파일럿은 패러글라이더 라이저와 하네스를 연결한 다음 앞라이저를 장아 당기면서 맞바람을 받으며 언덕 아래로 달려 내려가다가 대기속도가 약 18~20km/h 정도가 되면 이륙이 된다. 이런 사면이 없는 지역에서는 평지나 수면에서 차량, 모터보트, 윈치, 동력행글라이더 등을 이용하여 끌어(towing) 이륙시키는 방법을 쓴다. 이러한 방법에는 끌어주는 사람의 숙련된 경험이 요구된다. 패러글라이더는 장애물이 없이 트인 넓은 개활지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는데, 요구 규모는 파일럿의 기량과 기상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숙련된 고급 파일럿의 경우 최소 30×15 평방미터 이상의 공간이면 착륙할 수 있고, 초급자의 경우는 착륙장이 넓을수록 좋다. 파일럿의 두 발로 사뿐히 내리기 때문에 활주로처럼 포장된 지면보다는 잔디나 풀로 덮힌 평평한 초지가 더 좋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패러글라이더 문서는 교통수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