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한국자동차연구원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자동차연구원(KATECH, Korea Automotive Technology Institute, 韓國自動車硏究院)
한국자동차연구원(KATECH, Korea Automotive Technology Institute, 韓國自動車硏究院)

한국자동차연구원(KATECH, Korea Automotive Technology Institute, 韓國自動車硏究院)은 자동차부품산업 관련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성능시험, 부품 신뢰성 평가 분야에서 종합적인 기술 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연구기관이다. 국내 자동차업계의 자생력 확보와 산업육성을 위해 정부와 업체가 힘을 모아 설립하였으며 1990년 9월 7일에 설립되었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풍세로 303에 위치해 있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편집]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자동차 부품산업 관련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기술지도, 신뢰성 인증, 고장분석, 부품, 성능시험, 기술교육, 인력양성, 연구시험, 시설 제공을 하는 종합적 기술 지원 사업의 연구기관이다. 그린카 파워트레인 연구 본부에서 HEV 파워트레인 핵심 기술, 클린 디젤 관련 신연소 기술,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 열 유체 및 동력 전달 부품에 관한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지능형 자동차 기술 연구 본부는 그린 카 에너지 저장/전력 변환 시스템, 차량 전장 부품, 지능형 교통 시스템, 자동차 고 안전/고 지능 제어 시스템, 인간 친화 편의 시스템, 지능형 섀시 시스템 분야와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다.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클린 디젤 등 그린 카 개발에 필요한 경량 부품 및 친환경 소재, 내구성 향상 기술 개발을 자동차 소재 기술 연구 본부에서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지역의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을 위하여 지역 특화 사업의 발굴 및 기획을 통해 지역 부품 업계 지원을 위한 기술 및 기반 구축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지식 경제부로부터 자동차 부품 분야 신뢰성 평가 센터로 공식 지정받아 평가 품목의 발굴, 평가 장비의 구축, 평가 기준의 개발, 신뢰성 평가 및 평가와 관련한 의뢰 시험, 각종 신뢰성 정보 제공 및 신뢰성 향상 업체 기술 지원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무 중심의 교육도 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국내·외 자동차 및 부품 관련 기술 정보를 입수하고 분석·정리 과정을 거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련 기술 정보 및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1]

연혁[편집]

  • 1990년 08월 : 한국자동차부품종합기술연구소 창립총회 개최
  • 1990년 09월 : 상공부 민간 생산기술연구소 설립허가 취득
  • 1994년 04월 : 자동차부품연구원으로 기관명 변경
  • 1995년 03월 : 연구원 준공(천안 본원)
  • 1996년 02월 : 공인연비측정기관 지정
  • 1996년 09월 : 국가 공인시험·검사기관지정
  • 1997년 12월 : 배출가스 및 소음측정기관 지정
  • 2001년 07월 : 산업자원부 신뢰성 평가센터지정
  • 2004년 04월 : 미래형 자동차사업단 운영기관 지정
  • 2007년 08월 : 전력기술개발사업지원단 지정
  • 2008년 09월 : 르노삼성자동차㈜(Renault Samsung Motors,─三星自動車) EMC 시험소 지정
  • 2010년 02월 : 그린카 전략 포럼 사무국 지정
  • 2010년 03월 : 대구경북지역본부 설립
  • 2011년 05월 : 광주전남지역본부 설립
  • 2011년 11월 : 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 측정기관 지정
  • 2011년 12월 : 친환경교통기술연구센터 설립
  • 2012년 12월 : 자동차뿌리산업 지원센터 설립, E-모빌리티지원센터 설립, 프리미엄 자동차 지원센터 설립
  • 2013년 03월 : 영상사고기록장치 측정기관 지정, 자동차산업 발전 전략 포럼 주관
  • 2013년 10월 : 무인 자율주행 자동차 경진대회 주관
  • 2014년 04월 :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EMC 시험소 지정
  • 2015년 07월 : 제네럴 모터스(GM; General Motors Corporation) EMC 시험소 지정
  • 2018년 01월 : 쌍용자동차㈜(Ssangyong Motor) EMC 시험소 지정
  • 2018년 02월 : 차로이탈경고장치 측정기관 지정
  • 2018년 04월 : 타이어 소음측정기관 지정
  • 2019년 11월 : 한국자동차연구원으로 기관명 변경
  • 2019년 12월 : 동남본부 설립[2]

조직[편집]

스마트카연구본부[편집]

스마트카연구본부는 기계 중심의 자동차 기술에 전기·전자, 정보통신, 지능제어 등의 기술을 융복합하여 고안전성, 고편의성, 고연결성을 극대화하는 스마트카 원천기술을 연구, 개발한다.[3]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Cooperative Automated Vehicle Research Center)는 주변차량 및 노변 인프라와 연계한 모빌리티 서비스 자율 차량 협력제어와 자율협력 시스템/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능안전, 모델 기초 디자인 기반 제어시뮬레이션 및 사고회피 시스템, 상용차 군집주행을 연구하는 센터이다. 대표 기술로는 자율협력주행 및 가상환경 기반 능동제어 기술이 있다. 자율협력주행은 차량탑재 센서와 차량·사물 통신(V2X,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정보를 융합하여 보다 안전한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기술로, 레벨3 이상의 높은 레벨 자율주행 조기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이다. 자율협력 주행 차량 기술개발, 대형버스용 자율 주행 핵심부품 및 시스템 개발 총괄, 국가 기술/법제도 구축에 참여하고, 국제표준 개발 등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와 연계한 자율협력주행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며, 가상통합 개발 환경기반 자율협력주행 핵심부품 연계 시뮬레이션, 시스템설계, 자동차 전자제어장치 검증, 실차 검증 등 종합적인 개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 수준의 실차 검증 기반을 활용하여 사고 위험이 높은 능동안전시스템 및 기능 안전(ISO26262) 관련한 설계 및 검증 기술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3]

연구분야
  •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차량기술 개발
  • 차량·사물 통신과 차량탑재 센서 융합 협력형 제어
  • 자율협력주행 시스템/하드웨어/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기능안전/사고위험대응/중복설계
  • 커넥티드 인공지능(AI)용 컴퓨팅 전자 플랫폼
  • 자율주행/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시뮬레이션 및 제어
연구실적
  • 대형버스용 자율주행 부품시스템 개발 및 친환경 수소자율버스 시범운행 총괄/제어시스템
  • 레벨4 이상 자율주행을 위한 고성능 고신뢰성 커넥티드 컴퓨팅플랫폼 기술 개발
  • 도로인프라 협력형 트럭군집주행(Truck Platooning) 기술 개발
  •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긴급제동시스템(AEBS) 센서 융합 및 판단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
  • 국내 최고 수준의 시뮬레이션 장비와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국내 부품업체 상용화 협력지원
  • ISO 국제표준의 자율주행/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차량제어 표준화 분과 한국대표
  • 실차 검증 기반 능동안전시스템 및 기능안전(ISO26262) 설계 및 검증 기술 지원
  • 미래형자동차 연구, 개발의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자율주행차 개발 실습과정 운영
  • 자율주행 국가 기술 및 법제도 로드맵 공동 수행[2]
자율주행연구센터

자율주행연구센터(Automated Driving Systems Research Center)는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신뢰성 향상과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센서융합, 경로계획, 제어 요소기술과 시스템 통합기술, 시스템 레벨 안전성 향상, 차량기반시뮬레이션/T-자동차 기반 시스템 평가, 사용자 경험/사용자 인터페이스설계 및 사용성 평가, 사람-장치 간 인터페이스(HMI, Human Machine Interface)기반 모니터링 등 자율주행기술을 개발하는 전문 연구센터이다. 대표기술은 자율주행 제어시스템 및 사람-장치 간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주변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자율주행차를 제어하고 탑승자-시스템간 인터랙션을 연구하는 기술로서 자율주행 시스템 요구 사양 정의 및 시스템 설계/통합, 인간 중심의 사람-장치 간 인터페이스 기술 등 관련 전문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차량플랫폼 개발, 자동차전용도로/도심로 자율주행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기반 국산 자율셔틀 개발 주관 등 미래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 국내유일의 환경 챔버형 가상현실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를 구축하여 사람-장치 간 인터페이스 제품의 설계-구현-평가 검증 전주기 상용화 지원체계를 확보하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운전자 인적요인, 운전제어권, 사용자 경험/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사용성평가 등 미래차 인간중심 융복합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다.[3]

연구분야
  • 자율주행 시스템 및 서비스 설계-개발-통합 분야
    • 사용자 경험 시나리오 및 시스템 요구사양 개발
    • 센서융합 기반 인지, 경로생성, 차량제어 등 자율주행 핵심기술 연구
    • 자율주행 차량플랫폼 개발 및 시스템 통합 기술 연구
    • 사용자 중심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
  • 사용자 중심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설계-개발-평가 검증 기술 분야
    • 국내 유일의 환경챔버형 가상현실 자율주행 운전자기반 시뮬레이션
    • 인간 요소(Human Factor), 운전제어권, 사용자 경험/사용자 인터페이스설계, 사용성 평가 등 미래차 인간중심의 융복합 연구
    • 사람-차량 간 인터페이스(HVI) 제품의 설계-구현-평가-검증 전주기 상용화 지원
  • 자율주행 시스템 및 사용성 평가 검증 분야
    • 자율주행시스템 요구사양 기반 시험 개발 절차 (TDP, Test Development Procedure) 개발
    • 운전자기반 시뮬레이션, 차량기반 시뮬레이션, T/CAR기반 시험 개발 절차 연계 자율주행 평가[2]
정보통신기술 융합연구센터

정보통신기술 융합연구센터(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Research Center)는 차량의 스마트화, 친환경화, 차량 내 부품의 전동화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장부품의 임베디드시스템 설계 및 통합 기술, 차량용 E/E 아키텍처 최적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량기술에서 고정밀 연속측위 및 응용서비스 기술, 실내외 3차원 공간정보(HD-Map, LDM 등) 및 정보통신기술 연계 기술, 차량·사물 통신모듈 인증 평가 등의 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 대표기술은 임베디드 시스템 및 고정밀맵/측위 기술이다.[3]

연구분야
  • 임베디드시스템
    • 전자식 액추에이터 제어기 개발
    •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상용화 모듈 개발
    • 구동 제어 시스템 자동차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개발
    • 원격 전송을 위한 단말기 개발
  • 정밀측위/맵핑
    • 다중센서, 융복합 고정밀 위치 측위기술 개발
    • 정밀 측위 성능 평가 기술
    • 측위 모듈 실용화 기술
  • 정보통신기술 융복합
    • 자율주행 기반 자동충전 서비스 시스템 개발
    • 지능형 충전 인프라 개발
    • 이동 플랫폼을 연계한 자동주차 시스템 개발
  • 인증
    • 차량·사물 통신모듈 인증평가 및 디버깅 기술
    • 정밀 항법 응용 부품/시스템 시험 인증 및 평가 기술[2]
인공지능-빅데이터연구센터

인공지능-빅데이터연구센터(AI-Bigdata Research Center)는 차량 환경센서(영상, 레이더, 라이다 등)를 활용한 인간 수준 인지예측 기술, 차량·사물 통신 및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빅데이터 응용기술, 오픈코어 기반 차량용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기술, 스마트 카-토크(Car-Talk) 서비스 콘텐츠 설계/통합/평가를 연구하는 전문 연구센터이다. 대표기술은 센서 융합 및 평가 기술이다. 가변형 프레임카(소형부터 대형 SUV) 및 실도로 광원을 모사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장비이다. 이를 활용하여 차량 환경센서(영상, 레이더, 라이다 등)기반 융합기술 개발, 주행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인공지능-딥러닝 기술에 대한 평가 및 검증, 인공지능 학습에 필요한 주행 환경 데이터를 구축 등을 제공하여 자율주행 센서 융합 및 평가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3]

연구분야
  • 차량·사물 통신 및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빅데이터 응용 기술
  • 자율주행 인공지능 컴퓨팅모듈 검증 및 차량실증기술 개발
  • 자율주행 관련 운행체계 및 인공지능 운전능력 검증체계 개발
  •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인지예측 센서모듈 및 센싱기술 개발
  • 자율주행 기술레벨에 따른 인지 소프트웨어 성능 평가/검증 기술 개발
  • 자율주행·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서비스를 위한 5G-차량·사물 통신 융합 기술개발
핵심 기술
  • 자동차용 시스템반도체 및 무선통신 차량 적용 기술 개발
    • 자동차용 시스템반도체 및 무선 통신 차량 적용 기술 개발
    • 자동차용 전자제어장치 기술 개발
    • 시스템반도체연계 관련 기능안전(ISO26262) 및 차량용 소프트웨어 안정성 확보 연구
  • 자율주행 인지센싱모듈·시스템 설계-개발-검증 기술 개발
    • 자율주행 유즈케이스기반 다채널-이종센서기반 실도로 주행영상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주석 자동 생성 기술 연구
    • 자율주행 차량용 다중인지센서 융합형 인공지능기반 인지예측 기술 연구
    • 인공지능기반 영상 및 라이다 센서 융합형 3차원 복원기술 연구
    • 전동가변형 프레임카 및 자연광모사 환경 기반 영상인지센싱모듈 성능고도화 및 최적화 기술 연구
  • 클라우드 기반 자율주행 지원 기술 분야
    • 인공지능, 대용량 데이터 기반 위험 상황 추론 및 판단 기술 개발
    • 클라우드 기반 자율주행 지원 응용 서비스 및 정보제공 기술 개발
    • 위험 상황 추론 및 판단 검증을 위한 학습/평가 플랫폼 구축
  • 가상현실 및 시나리오 기반 자율차량용 부품 및 로직개발 지원 기술 분야
    • 자율차량의 빅데이터 기반의 신뢰성 평가 기술 개발
    • 시나리오 기반의 자율차 서비스 및 인포메틱 기술 개발
    • 가상현실 기반의 자율주행 차량의 신뢰성 로직 테스트 플랫폼 구축[2]

그린카연구본부[편집]

그린카 연구본부는 친환경 차의 핵심 부품 및 시스템의 국산화, 고성능화 및 융합 신기술을 선도하는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기구동 및 전력변환 기술, 전기에너지제어 기술, 융합동력 기술, 연비/배기 성능평가 기술,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기술 등을 선도하고 있다.[3]

전기구동연구센터

전기구동연구센터(Electric Powertrain R&D Center)는 전기자동차용 전기구동 및 전력·전장 부품 설계 및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미래형 친환경 전력기반 차량시스템 및 핵심 부품 공용화 기술 연구개발 및 국내외 표준화 기술을 선도하는 전문 연구센터이다. 대표기술은 전기구동 및 전장모터 파라미터 기반 최적 제어로직 개발 기술이다. 성능/고신뢰성을 요구하는 차량용 구동 및 전장모터의 파라미터를 추출/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기 및 인버터 하드웨어 및 제어로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시스템 적용 후 평가 검증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연구분야는 전기 구동 고성능과 고효율화를 위한 고출력, 고효율 설계 및 제어 기술과 전기 구동 부품 시험평가를 한다. 전장품 고출력 밀도와 고효율화를 위한 차량용 전력 변환 시스템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제어 알고리즘 구동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한다. 평가기술 표준화 및 부품 공용화의 핵심부품 시스템 시험평가 표준안을 연구하고 핵심 부품과 시스템 공용화 기술을 개발한다.[2]

전기에너지제어연구센터

전기에너지제어연구센터(Electrical Energy Control R&D Center)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저장/전력 변환 시스템 기술을 기반으로 미래형첨단 자동차 핵심 전력 저장/관리 및 변환 시스템의 연구개발을선도하는 전문 연구센터이다. 대표기술은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기술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컨버터 등의 에너지 변환 기술,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한 에너지저장시스템 평가기술이다. 배터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차 운전환경에서의 성능 검증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에너지 저장 및 관리시스템의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저장시스템 설계 및 검증 기술, 배터리 관리 시스템 개발 및 검증 기술, 전력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용 평가기반 구축 및 확대 적용 기술 연구, 전력변환 및 충전시스템의 EV 충전 인프라 호환성 확보 및 운용 기술, 전기자동차용 전력변환장치 고효율화 기술, 차량용 전력모듈 검증 기술, 전력체계 검증 및 최적화를 위한 듀얼 배터리시스템 설계 및 최적 제어 기술, 신규 도입 부하 대응 전력시스템 제어 알고리즘 기술, 이중전원체계 대응 기술, 전기자동차용 차세대 이차전지 관련의 고안정성/고에너지밀도 전극 소재 설계 및 제조, 전극 소재 입자 표면 개질 및 고출력화 기술, 이차전지 표준화 기술 개발이다.[3]

중점 기술
  • 시뮬레이션 기반 시스템 최적화
차량 모델 중 배터리시스템(배터리 팩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실물로 놓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배터리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하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과 운전 환경에 따른 특성 평가이다. 내부 연소 엔진(12V, 48V) 및 전기자동차(EV, PHEV, HEV)의 대표 차량 모델 확보와 자체 차량 모델을 개선/보완하고 역량을 확보한다. 배터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전기자동차용 전원 체계와 48V-12V 듀얼 전원체계 아키텍처 검증 및 최적화 역량을 확보한다. 배터리 모듈/팩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한 전기자동차의 일충전 주행거리를 검증하고 신규 대부하 적용 시 전력시스템의 전원 안정성을 평가한다.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개발
전기자동차용 리튬계열 배터리시스템 관리장치 개발에 필요한 배터리 특성 평가, 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축, 상태 추정 알고리즘 구현, 추정 정확도 및 내환경 특성 검증 등 일련의 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한다. 배터리 관리장치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셀 특성 평가/분석 환경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충전 상태 추정 알고리즘(SOC), 노화 상태 추정 알고리즘(SOH) 등 관리장치의 핵심 알고리즘 구현 역량을 확보하고 관리장치 핵심 알고리즘을 토대로 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시스템의 재사용 응용 기술을 연구한다.
  • 전기자동차용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부품/셀 개발
LDC 및 OBC 등의 전기자동차용 전력변환회로 개발 기술과 동작특성 분석/효율/성능 평가 등의 전력변환장치 평가 기술 및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EV 충전시스템 개발을 위한 표준 적합성 및 호환성 평가 기술도 확보한다. 전기자동차용 전력변환장치(AC/DC, LDC, OBC 등) 회로 설계와 개발 기술을 확보하고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평가용 장비를 구축한다.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표준 적합성과 호환성 평가 기술 기준을 개발한다.
  • 전기자동차용 전력변환장치 및 충전시스템 개발
전기자동차용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부품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셀을 제조하여 차세대 이차전지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이다. 차세대 이차전지(리튬-금속, 리튬-황, 리튬-공기 및 전고체 이차전지) 용 전극소재/부품 및 풀셀 설계/제조/평가 기술을 개발한다. 고출력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소재/부품 및 풀셀 설계/제조/평가 기술을 개발한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대체를 위한 나트륨/마그네슘이온 이차전지용 전극소재/부품 및 풀셀 설계/제조/평가 기술을 개발한다.[2]
하이브리드동력연구센터

하이브리드동력연구센터(Advanced Powertrain R&D Center)는 융합 동력시스템(전기+엔진)의 핵심부품과 차량시스템 개발을 위한 설계/해석/제어/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기반 인프라와 응용 기술을 보유한 전문 연구센터이다.[3]

연구분야
  • 융합적인 미래 신동력시스템(엔진구동+전기구동+신에너지)의 설계·해석·평가 통합 프로세스 기반의 부품 및 시스템 성능 개발
  • 강화 규제 대응을 위한 실도로 성능향상 중심의 융합동력 기술 및 빅데이터 활용 동력제어 기술 개발
  • 지능형 동력제어와 후처리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센서(흡배기계 OBD 센서 등) 및 액추에이터(연소제어, 과급, EGR 등) 핵심 부품 기술 개발
기술 개발 방향
  • 부문별 전문 연구와 부서간 기술 융합을 통한 신 융합 동력 기술 개발로 원스탑 연구 서비스 제공
  • 효율 향상 및 배기저감 동시 구현을 위한 기반 기술
  • 다양한 동력원(엔진 or 연료전지+전기)의 융합 동력시스템 기술
  • 연비/배기 평가 기법 고도화 및 차량시스템 레벨의 성능 개발 기술
  • 지능형 동력제어를 위한 센서 & 액추에이터 요소 기술
  • 융합동력 부품과 시스템 성능 개발 평가로 활용 할 수 있는 다양한 주요 인프라 보유(차량시스템 인프라, 엔진동력 인프라, 전기동력 인프라, 요소부품 인프라)[2]
동력성능연구센터

동력성능연구센터(Powertrain Efficiency R&D Center)는 친환경 대체연료엔진/자동차의 제어 및 평가 기반의 핵심기술 개발, 온/오프로드 배출가스 성능 최적화, 배출가스/타이어 인증 표준화 개발을 선도하는 전문 연구센터이다.[3]

연구분야
  • 고출력/고효율화 요소 및 시스템 최적화 기술
    • 과급/연료계/보기류/배기계 등 핵심 요소 개발 및 평가 분석 기술
    • 시스템 개선과 평가 분석 및 벤치마킹을 통한 경쟁력 향상 기술
    • 열유체 활용 시스템 설계 및 후처리계 유동해석/최적설계
  • 차량 연비/배기 성능 평가 및 개발
    • 승용 및 중대형 차량 주행성능 및 연비/배기 성능 평가 및 개선
    • 그린카(PHEV, HEV, EV) 차량의 에너지소비효율 성능향상 연구
    • 타이어의 에너지효율(회전저항) 성능 평가 및 고효율 타이어 개발
  • 대체연료 및 비도로용 동력시스템 응용 개발
    • 대체연료 엔진 성능 캘리브레이션 및 연료계 핵심부품 제어기술
    • 비도로 동력시스템(비도로용 엔진, 발전기 등) 배기성능 개발 및 평가기술
추진사업
  • 과급 시스템
    • 가솔린 엔진용 볼베어링 과급기 개발 및 평가기술
    • 오프로드 엔진용 과급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 시스템 적용기술 개발
  • 후처리 시스템
    • 실도로 배기가스 규정(RDE, Real Driving Emission) 규제대응을 위한 6리터급 디젤차량용 통합 후처리시스템 기술개발
    • 타이어4 대응을 위한 비도로용 기계식 디젤엔진용 선택적 촉매 환원법(SCR) 시스템 개발
    • 대형 운행 건설기계용 미세먼지/질소산화물 저감장치 성능평가 및 내구개발
    • 대형 및 소형 복합 매연저감장치 성능평가 및 분석기술 지원
    • 경유 및 LPG 승용차의 노후 후처리장치 교체에 따른 환경성 분석
    • 중소형 선박 엔진용 복합 선택적 촉매 환원법 시스템개발
  • 미세먼지 저감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디젤엔진 대체 3리터급 LPG엔진 요소부품 및 시스템개발
    • 미세먼지 저감장치 통합형 600마력급 선박 디젤 엔진 개발을 통한 친환경 선박 사업 클러스터구축
  • 재제조 엔진
    • 사용 후 상용 디젤 엔진(10리터급)의 핵심부품 재제조 상용화 기술개발
  • 엔진제어
    • 엔진시스템 성능 예측 및 설계 지원을 위한 맵핑 모델
    • 이산화탄소 배출량 20% 저감형 터보 GDI/CNG 2중 연료 엔진 및 연비 최적화 기술개발
  • 대체연료
    • 800kPa급 고압·고정밀 NGV연료시스템 국산화 개발
    • E3급 수송용 바이오 연료의 국내 적용성 향상을 위한 최적화 기술개발
    • LPG 직접분사 차량의 연료혼합비 별 시동성 및 배출가스 특성 연구
    • 터보 직접분사 FFV 엔진용 배출가스 및 SULEV(Super ultra-low emission vehicle) 규제 저감기술 연구
  • 연비 개선
    • 진공펌프 내장형 고효율 오일펌프의 엔진적용 성능 평가
    • 실시간 마찰손실측정을 위한 토크센서 및 계측 기술개발
    • 자동차 부문 연료 소비율 시험 시스템 개발
    • PHEV과 HEV 연비 아이템 연비 영향도 분석 및 개설 기술 개발
  • 냉난방부품
    • 친환경 차량용 고효율 냉난방시스템 부품 해석/설계 기술 개발
    • 타이어 회전 저항
    • 승용차용 소형트럭용 타이어 회전 저항 성능평가 실증 연구

융합기술연구본부[편집]

융합기술연구본부는 차량과 운전자 중심의 안전 및 고효율화를 위한 주행 플랫폼 기술을 연구하는 본부이다.[3]

차량플랫폼연구센터

차량플랫폼연구센터(Vehicle Platform R&D Division)는 차량 경량화 및 안전 기술 가상 환경에서의 섀시 플랫폼 해석기술, 차량 동력학 기반의 제어 및 기능안전성 기술, 구동계 및 섀시부품 내구 모드 개발 및 수명 예측 기술, 내구 하중 재현 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3]

핵심기술
  • 차량/부품 해석 기술
    • 가상환경기반의 차량 동력학 시뮬레이션 기술
    • 차량 섀시 부품의 구조 및 내구해석 기술
  • 섀시 내구 및 구동 시스템 기술
    • 섀시 부품의 내구 수명을 정밀 예측하기 위한 CAx 기반 내구 해석 및 다축 내구 시험 평가 기술 확보
    • 다양한 개발 차종의 실차 및 대상 내구 재현 시험 평가
    • 섀시부품 및 구동 시스템 내구 모드 개발 및 하중 재현 기술개발
  • 차량 안전성
    • 차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섀시 제어 시스템의 제어 로직 개발 및 성능 평가
    • 지능형 제어 시스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고장 안전 제어 및 기능 안전성 평가
    • 타이어 제동 성능 평가 기술
주행안전연구센터

주행안전연구센터(Driving Safety R&D Center)는 운전자 친화적인 주행안전기술 확보를 목표로 주행안전 및 동력전달 시스템 설계 및 평가기술, 차량 및 섀시 부품 상태 모니터링 기술, 경량화 설계 및 수동안전 기술, 운전자-차량 인터랙션 기반의 차량 제어 개인화 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3]

대표기술
  • 운전자 친화적인 차량제어 및 평가 기술
운전자의 부하를 줄이고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한 차량-사용자 상호작용 (DVI, Driver-Vehicle Interaction)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차량 제어 및 평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기획, 설계 단계에서 사용 및 AS단계까지 자동차 부품 라이프 사이클 상의 신뢰성 기술이다.
  • 운전자-차량 인터랙션 데이터베이스
운전자 중심의 차량 제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설계,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시스템 평가를 위한 기반 데이터로서 필드 주행시험 중의 운전자와 차량 사이의 인터랙션 및 차량 상태, 교통상황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하고 연구에 활용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기관(대학, 연구소, 기업)에 기술이전을 하였다. 20~60대 남녀 250여 명에 대하여 1인당 국도/지방도/시내도로 약 140km 주행 시험을 통해 약 3만km & 700시간 이상 데이터 (약 800GB)를 취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했다.
  • 자율주행차 인적요인 수집용 실차 플랫폼
자율주행자동차(레벨 3)가 필드 주행 중에 발생하는 운전자, 차량, 도로환경의 다양한 상태 및 인적 요인(운전준비도, 제어권 전환시 반응, 전환 후 안정화 상태 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실차 플랫폼을 개발하여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 실차 플랫폼에 대한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 취득 (국토교통부, 2019년 7월)
  • 일반인 대상 실차시험에 대한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 심의 승인 (DGIST 생명윤리위원회, 2019년 10월)
  • 레벨 3 자율주행차 제어권 전환에 대한 일반인 인적요인 데이터 셋 구축(계속)
  • 자율주행자동차 안전기준 제정활동을 위한 인적요인 연구기반을 제공하고,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과 운전자 및 탑승자의 수용성 향상을 위한 연구에 활용
  • 동역학 시뮬레이션 및 실차 평가 기술
자동차 거동특성 및 운전자의 주행특성 분석, 교통상황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 실차 기반 주행안전 시스템의 성능 평가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안전부품 설계 및 평가 기술
차량 안전부품에 대한 설계, 해석 및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자동차부품 전문기업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기술지원을 한다.
  • 가상화 설계 및 특수자동차 기술
특수목적 차량의 설계를 위한 가상환경 제품화 프로세스, 개방형 공용 플랫폼, 특수자동차와 부품 연구를 수행하고 특수 운용조건 평가기술 및 평가환경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특허기술
  • 운전자별 운전 특성을 고려한 적응식 정속주행 시스템(ACC, Adaptive Cruise Control) 제어 방법
  •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차량의 고연비 유지시스템
  • 보행자 충돌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뇌파를 이용한 운전 부하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 운전 부하지수를 반영한 전자지도의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 운전자 실차시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지능형 차량제어 시스템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 차량용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허브 베어링 검사 방법
  • 자동차 휠 밸런스 진단 장치
  • 휠횡가속도를 이용한 차량자세 제어장치
  • 노면거칠기 측정장치 및 그의 신호처리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시스템
  • 휠 베어링과 등속조인트의 경량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체결구조
  • 이중롤러 방식의 축력 저감형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 토크 벡터링 장치가 적용된 선회주행 제어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2]
열제어연구센터

열제어연구센터(Thermal Management R&D Center)는 열제어연구센터는 탑승객의 열쾌적성과 연비향상을 목표로, 차량 열에너지의 통합 관리 및 시스템 효율개선을 위한 열유체 부품 및 시스템 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3] 연구분야는 전기자동차 및 친환경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및 핵심부품의 최적 고효율화를 위한 연구이다. 탑승객의 열쾌적성 만족과 연비 향상 달성을 위해 차량 열에너지의 통합 관리 및 열 이용 효율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열유체 부품과 관련 시스템 및 전동화 기반 통합 열관리 시스템 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 대표 기술은 공조 및 폐열회수 시스템 기술이다. 탑승객 열쾌적성과 자동차 연비 향상 위해 부품 및 시스템간의 상호 열 에너지 이동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부품/시스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소재기술연구본부[편집]

소재기술연구본부는 미래형 자동차 핵심기술 구현을 위한 소재-공정-부품 연계 원천 및 융합기술을 연구하는 본부이다.[3]

첨단소재연구센터

첨단소재연구센터(Advanced Materials R&D Center)는 미래 자동차의 혁신을 위한 소재 원천기술, 응용기술, 공정기술을 위하여 인간 친화형 스마트 소재, 정보통신기술 융복합소재, 고효율 에너지소재, 친환경 바이오 소재, 극미세 구조제어 소재 등의 고부가가치 부품화 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 대표기술은 열 및 전자기파 제어 첨단소재 개발 및 부품화 기술로 자동차의 안정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한 열 및 전자기파 제어 첨단소재 개발과 부품 응용 가공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연구실적
  • 소재 분야
    • 고방열 복합소재 관련 SCI논문 3편, 국내특허등록 1건, 출원 3건
    • 고기능성 코팅 및 필름소재 관련 SCI논문 4편, 국내특허 등록 1건, 출원 2건
    • 친환경 고강성 복합소재 관련 SCI논문 1편, 국내특허등록 1건, 출원 3건
    • 난연 및 유해가스 흡착 고분자 복합소재 관련 국내특허 출원 2건
  • 공정 분야
    • 나노셀룰로오스 섬유 제조공정 관련 국내특허등록 1건
    •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집장치 관련 국내특허출원 1건
    • 레이저 활용 표면 텍스쳐링 및 합금화장치 관련 국내 특허등록 2건
    • 자기유변형탄성체 및 엔진성능 시험장치 관련 국내 특허출원 3건
  • 부품 분야
    • 탄소섬유전극 및 고체전해질기반 하중지지형 슈퍼 캐패시터 관련 SCI논문 2편
    • 자동차용 글레이징 부품 관련 국내특허등록 2건, 출원 1건
    • 마찰방지 코팅 및 복합소재 응용부품 관련 국내특허출원 2건
    • 산소센서 제조 및 테스트 관련 국내특허출원 2건
연구분야
  • 임계성능 극복기술
    • 임계성능 극복기술
      • 나노 및 기능성 소재 부품화 기술
      • 탄소섬유강화 복합소대 가공 및 부품화 기술
      • 고강성, 고내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설계 및 제조기술
      • 하니컴/폼 샌드위치 복합체 자체적용 기술
    • 극한환경 대응기술
      • 자율주행/커넥티드카용 전자기파 제어 소재 기술
      • 저온, 고온 환경 성능 향상 열특성 제어 소재 기술
      • 극저온 가요성을 위한 탄성소재 배합 기술
      • 초고압 기밀 유지를 위한 특수 라이너 제작 기술
  • 인간친화형 자동차 기술
    • 정보통신기술 융합 인테리어 기술
      •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 소재 설계 및 예측 기술
      • 첨단 정보통신기술 융복합 기술
      • 능동 차량형 스마트 소재 및 부품화 기술
      • 고효율 전력반도체 소재 기술
    • 친환경소재 적용 기술
      • 청정, 고감성, 고탄성 소재 및 부품화 기술
      • 소재부품 자원순환, 희소소재 저감 및 대체 기술
      • 정밀분석/진단에 의한 환경개선 기술
      • 기능성 멤브레인 소재부품 기술
  • 에너지효율 극대화 기술
    • 에너지 부품 성능 향상 기술
      • 친환경 자동차용 고성능 에너지 소재부품 기술
      • 단열코팅 및 엔진 인캡슐레이션 기술
      • 친환경 자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 열제어 기술
      • 스마트 섬유 기반 캐빈 공조 관리 소재부품 기술
    • 재생에너지 차량 적용 기술
      • 나노합금 촉매 합성 및 신재생 에너지 상용화 기술
      • 고기능성 에너지 하베스팅 소재 기술
      • 회생에너지 저장 자체 배터리 제작 기술
      • 압전 에너지 발전 차체 적용 기술
  • 내구품질 향상 기술
    • 고속 난삭재 가공 기술
      • 첨단소재 레이저 가공/용접 기술
      • 고능률/내마모 세라믹 공구 재료 기술
      • 다종재료 하이브리드 접합 및 계면 특성평가 기술
      • 난접합 공정 최적화 및 스마트 자동화 시스템 기술
    • 표면 제어 및 트라이볼러지(tribology) 기술
      • 박막소재 표면 미세구조 제어 및 트라이볼러지 기술
      • 자기윤활/저소음/내마모성 무급유 베어링 코팅 기술
      • 고경도/고내구/무적 플라스틱 글레이징 코팅 기술[2]
화학소재연구센터

화학소재연구센터(Chemical Materials R&D Center)는 미래형 자동차의 기능 구현과 승객의 편의성 및 감성 혁신 기술 확보를 목표로 전장·전자 소재, 디스플레이·광학·조명 소재와 구조 성능 향상을 위한 화학기반 융복합 소재 원천 기술 및 부품화 응용 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 대표기술은 스마트 발포 소재 적용 경량 및 기능성 부품 제조 기술이다. 스마트 캡슐 기술을 적용하여 미래형 자동차의 경량화를 통한 고효율화 및 승객 편의성 향상 가능한 고기능화 소재·부품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연구분야
  • 자동차 경량화 소재 기술
    • 초경량, 고강성 복합 소재 및 부품개발
    • 슈퍼 섬유를 이용한 경량 부품 소재 개발
  • 자동차 바이오 화학소재 기술
    • 친환경 생분해성 바이오 부품 개발
    • 천연물 유래 자동차 부품 소재 개발
  • 감성 향상 소재 기술
    • 운전자 편의향상 부품소재 개발
    • 고객 감성 만족형 부품 소재 개발
  • 차세대 자동차용 기능성 소재 기술
    • 전자파 차폐 및 고방열 소재 부품 개발
    • 에너지 효율 향상용 단열 및 방열 소재 개발
  • 고강도 동종, 이종 소재 접합 기술
    • 난접합 동종 및 이종재료 접합 기술 구현
    • 접합기술 정, 동적 구조 강도 분석
  • 고분자 화학소재 압출 기술
    • 나노충진제 분산 및 장섬유 압사충 공정 기술 개발
    •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fiber-Reinforced plastics) 속경화 수지 개발 및 고속성형 기술 개발
  • 고분자복합소재 부품설계 및 해석기술
    • 열가소성 복합소재 평가 및 부품
    • 반복 내구 수명 예측 기술
  • 자동차 화학소재 및 부품 시험분석 기술
    • 전자파 차폐 및 고방열 소재 부품 개발
    • 에너지 효율 향상용 단열 및 방열 소재 개발
연구 실적
  • 소재 분야
    • 열팽창 마이크로캡슐 및 그 제조 방법 (등록)
    • 무도장 고광택 나노 수지 조성물 (출원)
    • 흡음재 및 이를 사용한 차량용 헤드라이닝 표피재 (등록)
  • 공정 분야
    •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고분자-클레이 나노 복합체의 제조 방법 (등록)
    • 초임계 유체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유기화 층상 클레이의 제조 방법 (등록)
    • 전기화학에너지 저장장치의 하이브리드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등록)
  • 부품 분야
    • 전자파 차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 (등록)
    • 리어리플렉터용 대전방지 복합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리어리플렉터 (출원)
    • 자동차용 내장재 및 내장재 제조 방법 (등록)[2]
금속소재연구센터

금속소재연구센터(Metallic Materials R&D Center)는 미래형 자동차를 구성하는 차체, 섀시 및 전동화 핵심부품의 경량화, 고기능화, 고내구화를 위해 신합금 설계/제조기술, 스마트 제조공정기술, 실차 주행데이터 기반 부품별 최적화된 소재 응용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 대표 기술은 고강도 경량 알루미늄 합금 설계 및 제조 기술이다. 자동차용 구조재의 경량화를 위한 듀플렉스(Duplex) 고인성 알루미늄 합금 설계 기술과 제품 구현을 위한 주조-전신재 양방향대응 경량 알루미늄 소재 제조 및 성형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연구 분야
  • 고기능 , 고강도 소재 개발
    • 내열 알루미늄 합금소재 기술
    • 경량 타이타늄 합금소재 기술
    • 고압출성/고강도 알루미늄
    • 합금소재 기술
    • 고비강도 고분자 소재 기술
    • 고강도 경량합금 설계/해석기술
  • 신 제조공정 개발
    • 알루미늄 압출재 심리스 파이프 제조공정 기술
    • 알루미늄 판재 온간 성형공정 기술
    • 초고강도 스틸재 급속가열 성형공정 기술
    • 성형성 향상 및 스프링백 저감 통전성형공전 기술
    • 인 몰드 장식(IMD, In-Mold Decoration) 프로세스 개발
    •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융합공정 기술
  • 고기능, 고강도 부품화 개발
    • 경량화 차체 부품 개발
    • 충돌 및 흡음성능 우수 차체 부품 개발
    • 초경량 고강도 내외장 부품 개발
    • 금속 + 고분자 소재 적용 외장 부품 개발
    • 경량 알루미늄 캠샤프트, 커넥팅 로드 개발
  • 부품강도, 구조 성형해석 기술
    • 부품 구조 및 강도 해석기술
    • 부품 성형 및 유동 해석
    • 디지털 공정 시뮬레이션
  • 부품/소재 단위 평가 및 분석 기술
    • 선진 친환경차 티어 다운 벤치마킹 분석 및 지원
    • 소재 강도 및 피로특성 평가 (S-N 커브, E-N 커브)
    • 금속 미세 조직 분석
    • 3차원 좌표측정기(CMM,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측정
연구실적
  • 소재 분야
    • 내열 알루미늄 합금 소재 관련 국내 등록 5건
    • 알루미늄 전신재 및 주조재 합금 관련 국내 등록 9건, 국내 출원 4건, 국외 등록 1건, 국외 출원 8건
    • 나노구조체 및 제조 방법 관련 국내 등록 1건
    • 나노 이상체를 이용한 다공체의 제조 방법 관련 국내 등록 1건
  • 공정 분야
    • 심레스 파이프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관련 국내 등록 3건, 국외 출원 3건
    • 압출식 커넥팅 로드 및 제조 방법 관련 국내 등록 1건, 국외 출원 2건
    • 롤러헤밍 공정 관련 국내 등록 4건
    • 판재 성형공정 관련 국내 등록 4건
    • 튜브재 성형공정 관련 국내 출원 1건
부품 분야
    • 알루미늄 캠샤프트 장치 및 제조방법 관련 국내 등록 1건, 국내 출원 1건
    • 배터리 온도 조절 장치 관련 국내 등록 1건, 국외 출원 3건
    • 차량용 스트럿바 관련 국내 등록 7건, 국외 등록 3건
    • 브레이크 디스크 및 제조 방법 관련 국내 등록 1건, 국내 출원 2건
    • 그 외 기타 국내 등록 7건
기술이전 현황
  • 국부가열을 적용한 롤러헤밍 방법 특허 기술이전 (2015년)
  • 롤러 헤밍 공정 방법 특허 기술이전 (2015년)
  • 고강도/고압출성 알루미늄 전신재 합금 특허 기술이전 (2016년)
  • 압출식 알루미늄 초경량 커넥팅 로드 특허 기술이전 (2016년)
  •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디스크 특허 기술이전 (2016년)
  • 수평형 진공 원심 주조 장치 및 방법 특허 기술이전 (2018년)[2]

신뢰성연구본부[편집]

신뢰성연구본부는 자동차분야의 신뢰성 평가, 전자파 평가인증 등 공인시험 업무와 자동차 부품의 가속수명예측 및 고장분석재현 기술연구, 최적 전자기파 환경 연구, 건전성 모니터링 및 상태진단 기술연구, 시스템 안전성 연구 등을 수행한다.[3]

신뢰성안전연구센터

신뢰성안전연구센터(Reliability Safety R&D Center)는 다양한 신뢰성 시험평가와 함께 가속시험설계 및 수명 예측, 필드 고장품의 고장원인 분석 및 재현, 신뢰성목표에 근거한 사양 개발 등 자동차 완성차 및 부품사의 신뢰성 향상 기술을 지원하는 전문 연구센터이다. 대표 기술은 수명예측 및 고장재현 기술로 신규 개발품에 대해 잠재 고장모드를 분석하고 가속수명시험 설계를 통해 필드수명을 예측하고, 필드 고장 부품에 대한 근본 원인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실차 기반에서 고장을 재현하는 기술로, 설계 개선의 솔루션 및 신뢰성 향상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주요 업무
  • 수명예측 및 가속시험법 개발
    • 특화 품목 : 자동차용 모터, 커넥터 등 자동차용 전장 부품
    • 미래특화 품목 : 전기자동차 차랑용 부품
  • 필드 고장 재현 및 고장매커니즘 분석
    • 실차기반 필드 고장재현
    • 전장품/기구품 필드 고장재현
    • 자동차 부품 고장분석 지원
  • 가속스트레스 시험
    • 개발단계 신뢰성 접목
      • 제품 기능 및 성능 검증
      • 제품 설계 마진 평가
      • 제품 고장 관련 스트레스 규명
      • 설계 취약점/부위 발견
  • 실차 기반 환경 내구 신뢰성 평가 기술개발
    • 실차 환경 계측 : 필드 사용환경 계측 분석
    • 환경 내구 신뢰성 평가
연구분야
  • 자동차부품 수명주기별 타겟팅 신뢰성 연구
기획, 설계 단계에서 사용 및 AS단계까지 자동차 부품 라이프 사이클 상의 신뢰성 기술 연구
  • 고장물리 기반 가속모델 정립 및 가속시험법 개발을 통한 필드수명 예측 기술 연구
가속시험법 개발 및 검증을 통한 이론적, 실증적 가속모델의 근거와 논거 확보
  • 미래차 신개발품의 설계 취약점 분석 및 신뢰성 벤치마킹 분석 기술 연구
구조적 기반 잠재 고장모드 분석 및 설계마진 분석을 통한 개선안 수립
  • 필드 고장 부품에 대한 근본적 고장 원인/메커니즘 분석 및 고장재현 기술 연구
  • 신뢰성 목표 기반 설계 검증 단계(DV, Design Verification)/제품의 유효성 검사 단계(PV, Product Validation) 사양 개발 및 복합 고장 메커니즘 대응 시리즈 설계 기술 연구
필드 신뢰성 목표에 근거한 시험 시간/사이클 산출 및 시리즈 복합환경 내구 기법 개발
  • 전기자동차 구동시스템 및 고전압 기반 부품의 신뢰성 평가기술 연구
구동모터 및 고속 베어링 등 전기자동차 핵심부품 내구/고장재현 평가검증[2]
전자기파연구센터

전자기파연구센터(EMI/EMC R&D Center)는 친환경 자동차 및 자율주행 자동차의 핵심전장부품에 대한 최적 전자기파 적합성 (EMC,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설계 및 대응방안을 연구하며, 또한 인체유해성(EMF), 무선전력전송(WPT), 차량·사물 통신 안테나 성능 연구 및 미래형 자동차의 EMX 기술을 연구하는 특화된 전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연구센터이다. 대표 기술은 EMX(EMC, EMF, EMP) 및 무선통선기술(RF, WPT) 대응기술로 전자파 대책 설계 및 국내외 자동차 전장 전자기파 적합성 설계/대책/인증 지원을 제공하며, 인체유해성(EMF), 무선전력전송(WPT)과 무선통신(RF)의 토탈 솔루션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인력 및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적 EMX 환경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3]

주요 업무
  • EMX 토탈 솔루션 기술 지원을 통한 자동차 전자기파 분야 선도 전문 연구센터
  • 전자기파 대응 기술 연구 : 전자파 대비 강건 설계기술, 시뮬레이션 기술, 대책기술, 인증평가 기술지원
  • 전자기파 융합 기술 연구 : 무선충전기술, 전자파인체영향분석, 신뢰성/전자파 복합 영향 연구
  • IEMI(EMP) 대응 기술 연구 : 무선통신 교란에 대한 대응기술 및 최적 차폐 기술 연구
  • 무선통신 기술 연구 : 커넥티드카 차량·사물 무선통신 기술개발 및 무선통신 성능 평가 기술 연구
연구분야
  • 전자기파 대응 기술 연구
    • 전자파 대비 강건설계 및 대책 기술 지원
    • 전자파 적합성 국내외 표준화 및 법규 대응
    • 전자파 적합성 인증 프로그램 대응 및 평가 기술 개발
    • 전자파 차폐소재 및 차폐 케이블 평가/분석 기술 연구
  • 전자기파 융합 기술 및 IEMI 대응 기술 연구
    • 무선전력전송 및 무선통신 기술 연구/표준화
    • 전자파 인체영향 연구 및 평가기술 표준화
  • 무선통신 기술 연구
    • 차량 무선통신기술 및 성능평가 기술 연구
내구기술연구센터

내구기술연구센터(Durability Technology R&D Center)는 차량 시스템의 내구 신뢰성 확보를 위해 실차 및 부품 시험평가 기술, 강도 및 내구도 시뮬레이션 기술, 건전성 모니터링 및 진단예지 기술, 자원순환재제조 기술, 국방 기동체계를 연구하는 센터이다. 센터 대표 기술은 건전성 모니터링 및 상태 진단이며 시스템으로부터 상태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상진단 및 수명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시킨 후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진단하고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연구분야
  • 내구성능 예측 및 평가 기술
    • 실도로 주행시험 및 내구도 분석 기술
    • 강도 및 내구도 시뮬레이션 및 시험평가 기술
    • 진동/소음 및 충격 신뢰성 평가 기술
    • 신뢰성 시험평가 규격 개발
  • 건전성 모니터링 및 상태진단 기술
    • 상태기반 빅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기술
    • 빅데이터 특징인자 추출 기술
    • 고장진단 및 잔여수명 예측 기술
  • 자원순환 재제조 기술
    • 상태진단 및 검사/평가 기술
    • 내구성능 회복 및 향상 기술
    • 평가 및 규격 개발
  • 국방 기동체계 및 드론봇 기술
    • 군용 차량 개조 및 재제조 기술
    • 군용 차량의 상용시스템과의 융합 기술
    • 기동체계 및 드론봇 신뢰성 평가 기술[2]

대경본부[편집]

대경본부는 내연기관/전기자동차의 동력전달부품과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모듈 부품에 대한 연구 및 튜닝 카바타시스템 개발을 통한 튜닝부품산업 고도화 지원과 더불어 대경지역 연구사업 기획, 자동차업체의 기술지원 및 공동연구 수행을 통한 지역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 개발 특화 연구본부이다. 이를 위하여 3센터 1실 체제를 운영하여 대구-경북 지역업체의 전문적인 연구, 개발 지원 및 자동차 기술개발 분야 정책수립을 위한 로드맵 구성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2]

차량안전연구센터

차량안전연구센터(Vehicle Safety R&D Center)는 차량안전 요소부품/제어기 설계 및 평가 기술을 이용한 차량/운전자/보행자 사고 회피, 사고경감, 예방안전, 운전지원 시스템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자율주행 실도로 실증 기술과 차량/타이어/브레이크 연계 특화기술을 보유한 전문 연구센터이다. 대표 기술은 자율주행 실도로 실증 및 카바타(Car-Vatar) 기술이다.[3]

연구분야
  • 자율주행 실도로 실증 기술
    • 자동운전/자율주행 시스템 통합 데이터 분석 기술
    • 실도로 실증 데이터 기반 자율주행차 안전성 분석 기술
  • 지능형 차량안전 제어기 설계 및 평가 기술
    • 첨단안전차량(ASV, Advanced Safety Vehicle) 및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대응 핵심부품 설계 및 시스템 통합 기술
    • 제어기 연동 차량동역학 해석 및 주행 안전성 분석 기술
    • 신차평가제도 대응 차량, 운전자, 보행자 보호 기술
  • 웹 기반 카바타/온오프라인 기술
    • 웹 기반 다물체 차량동역학 구조 해석 및 최적화 기술
    • 카바타/온오프라인 플랫폼 기반 차량 성능 해석 및 분석 기술
    • 실차 주행시험 기반 차량 성능 검증 및 분석 기술
  • 차량/브레이크/타이어 연계 특화기술
    • 차량 주행상태 분석 및 실차 평가 기술
    • 차세대 전자제어 제동시스템 개발 및 분석 특화기술
    • 고성능 부가가치 타이어 개발 및 성능 최적화 특화기술[2]
차량전동화연구센터

차량전동화연구센터(Vehicle Electrification R&D Center)는 친환경 차량용 전기구동 시스템 및 전력변환 시스템의 성능해석・최적설계・평가검증 기술을 개발하고, 차량용 핵심 부품의 진동・소음 특성 분석 및 차량의 소음, 진동상태에 따른 충격(NVH, 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을 최적화하는 등 차량 부품 전동화 관련 특화 기술 및 소음・진동응용 기술을 보유한 전문 연구센터이다. 대표 기술은 전기자동차 전기구동시스템 설계 및 최적화 기술로 친환경 차량용 전동 시스템 및 전력변환 시스템의 성능해석·최적화 설계기술과 평가검증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 부품 전동화 관련 전기·전자 특화기술 및 차량 충격 최적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연구분야
  • 전기자동차 차량용 전기구동 시스템 설계 및 평가 기술
    • 전기구동 시스템 성능, 효율 최적화 설계 기술
    • 전동기, 감속・변속 시스템의 시험 평가 및 분석 기술
  • 차량 전동화 관련 부품 설계 및 평가
    • 조향 및 현가 시스템용 전동화 부품・모듈 설계 및 평가 기술
    • 제동 및 공조 시스템용 전동화 부품・모듈 설계 및 평가 기술
    • 기타 차량 핵심 모듈의 전동화 부품 설계 및 평가 기술
  • 차량용 핵심부품 차량의 소음, 진동상태에 따른 충격 최적화 기술
    • 차량용 모터 진동・소음 해석 및 평가 기술
    • 핵심부품 진동・소음 최적화를 위한 유한요소법(FEM)/경계요소법(BEM) 해석 기술
    • 전동기 진동・소음 해석 및 최적화 기술
  • 전력변환 시스템 성능 효율 최적화 기술
    • 성능 분석 및 알고리즘 설계 기술
    • 열전달 해석 및 냉각핀 설계 기술
    • 회로 토폴로지 설계, 성능 평가 및 분석 기술
튜닝부품연구센터

튜닝부품연구센터(Auto Tuning Parts R&D Center)는 파워업/퍼포먼스업/드레스업 튜닝부품 설계 및 성능 평가를 수행하고, 주행 환경 기반 실차 신뢰성/내구평가 및 연비 평가 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 대표기술은 자동차 튜닝부품 설계 및 성능평가 기술로 파워업/퍼포먼스업/드레스업 튜닝부품 설계 및 성능 평가 기술로 차량용 부품 및 실차평가를 위한 핵심부품 평가, 주행 환경 기반 실차 신뢰성/내구 평가, 연비 평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연구분야
  • 고성능 차량 파워트레인 성능평가 기술
    • 고성능 차량 파워트레인 핵심부품 성능 및 내구성 평가 기술
    • 차량시뮬레이터와 연동을 통한 실부하 모사 성능 평가 기술
  • 튜닝차량 실차평가 기술
    • 내연기관/친환경차량 에너지 효율 및 국내외 배출가스 법규인증 시험
    • 튜닝차량 실차기반 주행성능 평가 및 기법연구
  • 튜닝부품 신뢰성 및 내구성 평가
    • 튜닝 차량용 핵심부품/애프터마켓 부품 신뢰성 및 내구성 평가
    • 실차 주행환경(온도, 습도, 일사량) 기반 시험 평가
  • 친환경 자동차 동력시스템 평가 및 성능 향상 기술
    • 친환경 차량 에너지 효율 향상 및 배기저감 기술
    • 친환경 차량 동력시스템 및 핵심부품 해석/설계/평가 기술

광주본부[편집]

광주본부는 2011년 5월에 설립하여 친환경(수소·전기) 자동차 핵심(파워트레인, 전장)부품 및 경량 소재부품 기술개발, 시험평가 및 인증, 기술지원 및 인력양성 등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 활성화 및 부품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전문 연구기관이다. 이를 위하여 기업 공동 기술개발, 기업지원, 자동차분야 정책수립 및 국비 사업 발굴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2]

  • 주요 역할
    • 친환경 자동차 선도 핵심기술 연구개발 및 보급
    • 전기자동차/수소차 기술
    • 수소충전소 안전기술
    • 시험/평가/인증 기술 개발 및 장비 구축
    • 차량 경량화 기술
    • 전동 및 센서 기술
  • 지원사업
    • 부품기획 : 기술동향분석, 시장 경쟁사 분석
    • 부품 시제작 : 부품 설계, 시제품 제작, 성능예측, 해석
    • 부품평가 : 성능 평가, 신뢰성 평가, 내구성 평가, 규격및인증 지원
    • 사업화 : 국내외 수요 연계, 홍보지원, 국내외 전시회 등, 지적재산권 확보, 전시품 제작 지원
환경기술연구센터

환경기술연구센터(Green Energy System Research Center)는 친환경자동차 및 충전인프라 기술개발을 위한 설계/해석/성능시험/내구성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실증을 통해 안전성 및 환경 개선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센터이다. 수소전주기 제품 실증이 가능한 전용 테스트베드를 보유하고 있다.[3]

주요 연구
  • 친환경 자동차 모션 제어 분석 기술
    • 실시간 차량 모션제어 및 주행안전성 평가 기술
    • 실도로 주행 데이터 기반 실도로 배기가스 규정 평가 기술
  • 시뮬레이션 기반 부품평가/실증 기술
    • 친환경 파워트레인부품 성능/내구성 평가 기술
    • 차량 시스템 통합제어 및 고속 충전 실증 기술
    • 친환경 자동차 연비측정 및 환경영향성 평가 기술
  • 수소융합에너지 실증 기술
    • 수소전주기 부품 실증 가능한 테스트 전용베드 구축
    • 수소 생산, 저장, 압축, 충전 부품 설계 및 평가 지원
    • 사업화 모델 발굴 및 경제성 분석
  • 수소융복합충전소 평가 기술
    • 수소충전소 평가용 진동 저감 차량 설계 기술
    • 고장이력 데이터베이스 기반 수소충전소 안전관리 기술
    • 이중안전장치 설계 및 작업자 보호 기술[2]
소재융합연구센터

소재융합연구센터(Multi-Material Research Center)는 자동차 부품 경량화의 핵심 기반 요소기술인 고정밀 소재 물성특성 분석, 경량 소재부품 고정도 수치해석 기법, 고강도 이종소재 접합 및 부품구조/성형공정 최적설계 관련 기술개발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이다. 대표 기술은 차체섀시 부품 경량화 설계해석 기술이다. 경량소재 고급 기초물성 분석 및 수치해석 기법도출을 기반으로 차체섀시 부품구조/성형공정 최적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주요 연구
  • 경량 소재/부품 기술 개발
    • 고강도강 및 경량 비철금속 소재 분석 및 해석 기술
    • 초경량 고분자 및 복합소재 분석 및 해석기술
    • 고기능성 소재융합 기반 부품 설계 기술
  • 고효율 첨단 성형 기술 개발
    • 경량 고강도 박판 금속소재 및 복합소재 성형 기술
    • 벌크소재 소성 가공 기반 부품 성형 기술
    • 융합 소재 기반 부품 동시 성형기술
  • 이종소재 접합기술 개발
    • 용접강도 평가/해석 기반 고강도 용접조건 도출 기술
    • 기계적 접합 접합조건 및 접합부 형상 최적 설계 기술
    • 용접/접합 해석 모사 및 강도/신뢰성 평가 기술
  • 최적설계 해석기술 개발
    • 친환경 고효율 부품 성형공정 및 금형 해석기술
    • 접합부 모사 및 구조/충돌/피로 해석
    • 충돌 안전 기반 구조 최적화 및 공정 최적화 기술[2]
미래전장연구센터

미래전장연구센터(Automative Electronics R&D Center)는 미래자동차 핵심전장부품의 안전성 및 건전성을 확보하기위한 고장 예지 및 수명예측, 강건성 향상 기술을 개발하며 전장 부품의 고질적인 주요 고장 원인인 마모/부식에 대한 검증 시험법 개발 및 표준화, 설계 개선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센터이다.[3]

주요 연구
  • 미래자동차 핵심 전장부품 연구 개발
    • 전기자동차 자동차 전력 시스템 핵심 전장부품 설계 및 개발
    • 자율주행자동차 핵심 소재, 부품 기술 개발
    • 융/복합 전장 시스템 시스템 설계 및 검증 기술 개발
  • 전장부품 안전/신뢰성 향상
    • 고장 물리 기반 건전성 향상 설계 기술 개발
    • 실차 빅데이터 기반 안전/신뢰성 시험법 개발 및 검증
    • 빅데이터 기반 고장 예지, 수명 예측 기술개발
  • 초정밀 공정 기술개발
    • 파워 모듈 등 반도체 회로 설계 및 공정 기술 개발
    • 반도체/레이저 등 정밀 공정 기술 개발 및 검증
    • 초발수 코팅 등 표면처리 기법 개발 및 검증
  • 신뢰성 평가/인증 및 기업지원
    • 미래자동차 전장부품 신뢰성 분석 및 평가/인증 지원
    • 마모/부식 등 전장부품 주요 고장 평가 기법 표준화
    •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을 통한 지역 내 부품 기업 지원[2]

전남본부[편집]

전라남도의 미래먹거리인 e-모빌리티 및 튜닝 관련 기술개발 및 관련된 다양한 지역사업을 수행한다.[3]

프리미엄자동차연구센터

프리미엄자동차연구센터(Premium Vehicle R&D Center)는 자동차 관련 기초 소재부터 시스템 단위의 전주기적인 연구를 하고 있으며, 특히, 영암국제자동차경주장을 활용한 고속 실차 평가 등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고성능 자동차 부품 및 튜닝부품 개발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대표 기술은 고성능 부품 해석·평가기술이다.[3]

센터 역할
  • 국내 유일 타이어 안전확인 시험기관
  • 국∙내외 인증기관과의 상호인정 협약을 통한 인증업무 수행
    • 튜닝부품인증 (34종 중 5종 대상 실시, 6종 확대 예정)
    • E-mark 인증
      • 2019년 1월 인증 시험 기관 지정 (TUV-SUD 외부시험소 지정)
      • E-Mark 인증 대상 : 브레이크 패드, 휠
    • Q-mark 인증 :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캘리퍼, 쇽업소버, 휠, 터보차저, 머플러, 파워킷
    • KC 인증 : 공기압 타이어
    • KOLAS 인증 : 타이어, 휠, 쇽업소버[2]
e-모빌리티연구센터

e-모빌리티연구센터(e-Mobility R&D Center)는 미래 교통 환경의 한 축인 e-모빌리티(초소형 전기자동차, 전기이륜차, 전동킥보드, 전동휠 등)의 핵심부품 및 신개념 이동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새로운 교통문화 창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대표 기술은 디자인 및 해석 평가기술이다. E-모빌리티의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공학적 설계 기술 및 동역학/충돌 해석을 통한 모빌리티 성능 해석 평가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연구분야
  • 초소형 전기자동차 등 국가 공인 인증 시험평가 기술
    • 초소형 전기자동차와 전기이륜차의 환경부, 국토부 공인인증시험평가
    • 환경부 공인시험기관 지정 및 우정사업본부 초소형 전기자동차 시험평가기관
    • 초소형 전기자동차, 전기이륜차 공인인증시험평가 : 제동능력시험, 가속제어장치 복귀능력시험, 조향성능시험, 속도계 시험, 고전원 전기 장치, 안전성 시험, 전자파 적합성 시험
  • 초소형 전기자동차 산업 및 서비스 육성 실증지원
    • 국내 초소형 전기자동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초소형 전기자동차 실증 운영 지원
    •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 수집 단말기 등 실증 인프라 구축
    • 이동 서비스별 실증 데이터 수집/분석
    • 피드백 연구, 개발을 통한 차량 개선 및 서비스 모델 고도화 지원
    • 실증 빅데이터 기반 현행 법제도 문제점 분석 및 개선안 도출
  • 미래 이동수단 사용자 경험랩 증진 기반 구축
    • 사용자 경험(UX) 중심의 신개념 미래 이동수단의 디자인 및 시제품 개발 지원 체계 구축
    • 미래 이동수단 사용자 경험랩 건축
    • 미래 이동수단 실내외 사용자 경험 검증체계 구축
    • 중소·중견기업 디자인 지원 프로세스 구축
    • 미래 이동수단 시제품 제작 지원체계 구축
    • 중소·중견기업 사업화 지원 및 시장출시 지원체계 구축
  • 초소형전기자동차용 개방형 공용플랫폼 기술 연구
    • 중소·중견기업의 공동 활용을 위해 조향, 제동 및 현가계를 포함하는 하부차체(Underbody)와 전기구동(EPT), 에너지저장, 전력변환시스템 및 E/E 아키텍처 등을 포함한 초소형전기자동차 개방형 승용 및 상용 공용 플랫폼 개발
    • 전기/전자 부품에 대한 부품 공용화 및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화
      • 차량 요구사양/기능사양 설계, 하드웨어 및 제어/통신 설계 및 와이어하네스 설계 단계의 통합화 개발 환경 구축 및 E/E 아키텍처 모델 개발
  • 시뮬레이션 기반 모터(해석/제어) 및 배터리(OBC 포함) 평가기술 연구
    • 전력시스템의 동작 환경 모사가 가능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복합성능 및 안전성 평가를 개발 단계에서부터 인증 단계까지 원 스톱 지원하는 시험법 개발
    •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모터 해석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을 통한 중소·중견기업 기술 지원
  • E-모빌리티 실차기반(PG)인증 평가
    • 실외평가기반(Proving Ground)을 활용한 E-모빌리티 동특성 분석 및 시험인증 평가
    • 도심형 주행환경 기반의 E-모빌리티 자율주행기술 시험평가
    • E-모빌리티의 구·제동, NVH, 조향, 현가성능 시험평가 및 부처별 인증지원
  • E-모빌리티 관련 다물리계 유한요소/ 기계요소/ 피로수명 해석
    • 유한요소 해석기법으로 차량 구조, 전자석, 구조 음향, 충돌 등을 해석
    • 기계요소로 불리는 부품들은 유한요소를 포함한 다른 식의 해석보다 계산식의 분석 방법이 높은 정확성과 효율성을 가지므로 기계식을 활용한 전용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기계요소를 분석·해석
    • 자동차 차체 및 구조 부품에 대한 피로 수명 해석[2]

동남본부[편집]

동남본부는 수소 모빌리티와 고압 연료제어 관련 분야의 핵심기술연구와 동남권 자동차부품기업의 기술지원 및 공동 연구개발을 수행한다.[3]

수소모빌리티연구센터

수소모빌리티연구센터(Hydrogen Fuel Cell Mobility R&D Center)는 수소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한 연료전지시스템, 수소저장장치 등의 부품 설계와 제어기술, 그리고 수소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시스템 및 수소저장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철도, 건설기계, 선박, 유·무인 항공기 등의 수소모빌리티 적용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기술은 수소전기자동차용 차세대 고성능 금속분리판 설계 기술이다. 차세대 수소전기자동차용 고출력밀도 연료 전지 스택 구현을 위해 단위 셀당 2V를 발현하는 듀얼셀 분리판을 설계하는 기술과 연료전지 부품 품질 향상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한 전해질막 검사 및 가속 활성화 기술(기존대비 1/3 시간단축)을 보유하고 있다.[3]

연구분야
  • 수소연료전지 스택개발
  • 연료스택 부품 개발 기술
  • 연료전지 시스템/수소저장장치 기술
  • 수소연료전지 성능 검증 및 평가 기술
주요 장비 및 시험 평가 항목
  • 수소연료전지 부품 시험장비(Testing Equipment for Hydrogen Fuel Cell Component)
전해질막 : 이온전도도, 두께, 인장 등
분리판 : 내식성, 강도, 접촉저항 등
막전극접합체 : 전극제조, MEA 제조장치 등
기체확산층 : 두께, 전기전도도, 미세구조 분석 등
  • 연료전지 단위전지, 스택 성능 시험장치(Testing Equipment for Fuel Cell Unit Cell and Stack)
단위전지 성능 시험 장치 : 0~600W, 12대(단기 및 내구성능)
연료전지 스택 성능 시험장치 : 성능측정 1~5kW, OCV 내구, 저온시동 성능[2]
고압연료제어연구센터

고압연료제어연구센터(Fuel Management System R&D Center)는 고압화되어 가고 있는 수소연료전지 및 내연기관 연료시스템 핵심부품에 대하여 CAE기법을 이용한 설계 최적화와 시스템 제어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다양한 테스트베드와 차량적용을 통해 기술 검증을 지원하는 연구센터이다. 대표 기술은 고압 연료시스템 제어·검증기술이며, 고압연료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예측모델 및 시스템 제어 기술과 차량 적용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3]

추진사업

천연가스-디젤 혼소차량을 위한 연료시스템 및 제어기 개발

  • HD혼소차량을 위한 수출전략형 피스톤타입 LNG레귤레이터 및 직접구동제어기 개발
    •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한국-스페인 양자공동펀딩형)
  • 56kW 이상급 천연가스-디젤 융합연소 기술개발
    • 산업기술혁신사업(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

미래차 고압연료시스템 및 냉각시스템 전동·전자화 기술개발

  • 700기압 수소의 감압을 위한 2 스테이지 고압수소 전자식 레귤레이터 부품개발
    • 수소연료전지 부품실용화 산업기반육(권역별신산업육성)
  • 수출전략형 전기자동차용 고효율 소형 전동식워터펌프 요소기술개발
    • 산업기술혁신사업(지역대표중견기업육성사업)
향후 기반구축 계획
  • 5G기반의 미래차 핵심부품 설계 클라우드 구축(엔진구동장치, 배기 분석기)
    • 미래차 관련 핵심부품의 설계 기술고도화
  • 미래차 주행실증을 위한 표준 실도로 시뮬레이션 기반 구축
    • 자율주행차 표준도로 및 도로환경 시뮬레이션
    • 전기자동차 에너지 효율 캘리브레이션 및 동력시스템 관리
    • 대형 수소상용차 파워트레인 실도로 시뮬레이션[2]

제조기술연구센터[편집]

제조기술연구센터(Manufacturing Technology R&D Center)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스마트 제조 및 해석/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3D 프린팅 적용 부품 및 공정개발 기술, 제조로봇 현장적용을 위한 표준화 기술, 미래형 친환경 자동차 구성부품의 성능 및 안전성 확보 최적화 기술을 연구하는 센터이다. 대표기술은 3D 프린팅 기술을 융합한 부품 및 공정개발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3D 프린팅 기술의 산업현장 적용 확대 위한 전처리(설계/해석), 후처리 개선방안 연구 수행 및 적용 가능 부품/공정 기술 개발을 하고있다.[3]

제조기술 연구분야
자동차 분야 산업현장 개선을 위해 3D 프린팅, 제조로봇 등의 신기술이 원활히 적용될 수 있도록 최적화 방안 연구
  •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융·복합 제조기술(공정) 연구
    • 3D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미래차 핵심부품 개발
    • 3D프린팅 기술의 산업현장 적용 확대를 위한 공법별 공정 최적화 방안 및 실증기술 연구
  • 제조 로봇 산업현장 적용 확대를 위한 표준모델 개발 연구
    • 부품업체 제조공정 개선 및 대량생산 체계 구축을 위한 제조로봇 활성화 표준모델 개발 연구
    • 자동차부품 제조공정별 세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 자동차부품 제조/평가 분야 장비 및 실증기술 개발 연구
    • 산업 고도화 및 신규시장 확대에 따른 제조/평가 장비 최적화 연구
    • 제조/평가 장비 및 시험방법 개발을 통한 실증기술 확보 추진
안전부품 연구분야
자동차 산업 육성을 위한 친환경 미래차 핵심부품 기술개발 및 안전성/신뢰성/성능 확보방안 연구
  • 수소연료전지차(FCEV), 천연가스버스(NGV) 등 친환경 미래차 핵심부품 개발
    • 설계/해석/평가 기반 제품 개발단계 통합 솔루션 제공을 통한 부품업체 애로기술 해결 지원
    • 디메틸에테르 등 청정연료 적용성 검토 연구 및 내연기관 핵심부품 고출력/경량화 방안 연구
  • 자동차부품 대상 국내외 요구 인증에 부합하는 안전성 확보방안 연구
    • 안전벨트, 에어백, 브레이크 등 주요 안전부품 대상 안전성 확보방안 연구
    • 해석/평가 기반 주요 안전부품을 대상으로 최적설계 및 부품개발 지원
  • 자동차부품 국내외 인증방안 연구 및 부품업체 지원
    • 국내외 주요 인증규격 요구사항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 부품업체 인증시험 지원을 통한 국제인증 취득 및 수출확대 지원

주요 역할 및 기능[편집]

전략적 핵심 기술 개발
  • 원천기술 개발
  • 고객중심 기술 개발
  • 부품업체 공통 애로 및 취약기술 개발
국가 자동차산업 기술 기획
  • 산업융합 원천기술 개발사업 기획
  • 그린 산업 육성 기획
  • 지능형 자동차 산업 육성 기획
  • 신개념 1인용 운송수단 기획
  • 시장자립형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기획
  • 자율주행기술개발 혁신사업 기획
신뢰성 평가 및 기술 교육
  • 중소기업 200여 개 사 설계 기술
  • 10년 10만 마일 보증을 위한 부품 신뢰성 체계 구축
지역 특화기술 개발
  • 대구 지능형 자동차 사업
  • 영암 프리미엄 자동차 사업
  • 광주 친환경 자동차 사업
  • 시흥 자동차 뿌리산업 지원 사업
  • 영광 E-모빌리티 사업

주요 연구분야[편집]

자율주행차[편집]

레이더

자율주행자동차용 77/79GHz 듀얼 밴드 레이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 레벨 3 대응이 가능한 77/79 GHz 듀얼 밴드 대역의 주파수 연속 변조파 기반 전방 및 코너 레이더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주파수 연속 변조파(FMCW, Frequency-modulated continuous-wave) 기반 77GHz (BW: 1GHz) / 79 (BW: 4GHz) 듀얼밴드 레이더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다. 또한 전방 레이더 최대 감지거리 250m 급, 코너 레이더 최대 FoV(Field of View) 150º 급기술개발도 진행 중이다. 한국자동차연구원과 ㈜만도, 한국단자공업㈜ 등 핵심기업과 산학연으로 구성된 연구개발과제도 진행 중이다. 유로 신차평가제도(NCAP, New Car Assessment Program) 대응을 위한 자동긴급제동장치(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용 77GHz 대역의 주파수 연속 변조파 기반 중거리 레이더는 만도와 공동연구를 통해 사업화에 성공했다.

AEB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긴급제동(AEB) 시스템 기술로 레이더와 카메라 융합 기반으로 전방 보행자를 인식·추적하여 충돌 직전 긴급제동을 수행하여 사고를 회피하는 능동안전 기술이다. 횡단하는 보행자를 카메라를 중심으로 인식 및 추적하여 충돌 위험 판단하고 위험 시 자동으로 긴급제동하여 보행자 사고를 50% 감소 전망한다. 무단횡단, 정차된 차 뒤에서 보행자 출현, 야간 보행자, 자전거를 대상으로 작동한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주도로, 현대모비스㈜(Hyundai Mobis), 에이아이메틱스 외 산학연 컨소시엄을 통한 기술 개발을 수행했다.

가상현실자율주행

차량기반 시뮬레이션(VILS, Vehicle in the Loop System)의 실차 평가 기술이다. 가상환경 및 차량의 실시간 동기화를 통한 증강현실 기반 실차 평가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센서 모델(라이다, 레이더, 영상, 초음파 등)을 통해 장애물, 경로 정보 생성이 가능하다. DGPS-RTK 기반 위치 동기화를 통해 평가 신뢰성(평가오차 2cm)을 확보하고 양산차량을 활용한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및 자율주행기술을 개발하여 편의성(차량 상태정보 및 제어I/F 제공)을 제공한다.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및 자율주행시스템 평가 및 개발을 지원한다.

운전자기반 시뮬레이션(Driver In the Loop Simulation)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평가 기술
  • 실도로 조도 모사 환경 : (가시광) 0~20,000(lx), (적외선) 850, 940(nm), (태양광) ~100,000(lx)
  • 차량 실내외 항온항습 환경 : (실외) -10~50(℃), 20~90(%RH), (실내) -5~50 (℃), 30~90(%RH)
  • 실도로 3D MAP 환경 : (자동차전용도로)서울TG – 신갈JC – 호법JC, (도심로) 서울 여의도 부근
  • 가상 센서 모델(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 및 동역학 모델을 통한 자율주행 시스템 연동
  • 운전자 상체 더미를 활용한 드라이버 모니터링 시스템(DMS, Driver Monitoring System) 평가
  • 차량용 디스플레이(디지털 계기판, 증강현실 HUD, 대화면 등) 평가
  • 실내 운전자 정보(시선, 생체, 영상 등)-차량정보-실외 주행영상 실시간 동기화 및 데이터 취득 시스템 구축
  • DMS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평가/기술 지원
  • 미래차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부품 및 시스템 인간공학적 평가/기술 지원
수소자율버스
  • 대형버스용 자율주행 부품·시스템 및 친환경 수소자율버스 부품 실증 기술이다. 대형버스용 자율주행 주요부품 및 시스템 개발하고 대형버스용 자율주행 핵심부품 9종(카메라, SSVM, Radar, Lidar, ADR, HVI, V2X, Map & Positioning, DCU)과 임베디드 제어기를 개발했다. 부품의 수소 및 일반 버스 4대에 적용하고 실도로 시범운행을 통한 부품 검증으로 안전설계기준 ISO26262 적용, 긴급상황 대응 설계,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확보했다.
LIDAR

자율주행을 위한 라이다 응용기술 및 성능 검증/평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자율주행을 위한 실내/외 환경에서의 라이다 평가 환경 개발 및 성능 평가 기술과 주행 환경 인식 및 객체 인지를 통한 자율주행 및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적용 기술이다. 단위구간 및 실도로 주행 환경 기반 실차 평가 기술이 있다. ㈜카네비컴(Carnavi.com), ㈜시지트로닉스, ㈜엘디스, ㈜지에쓰씨, ㈜큐에스아이, 한국나노기술원(KANC), 한국광기술원(KOPT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GITC) 등이 협력업체로 참여했다.

자율주행 항법기술

자율주행을 위한 정밀 항법 및 성능 검증/평가 기술이다. 자율주행을 위한 실내/외 환경에서의 측위 및 맵핑을 포함한 정밀 항법 기술로 실내/외 연속 구간에서 인식오차 0.25m 이내, 오류·변경 정보인지율이 99% 이상이다. 협력 기업으로는 ㈜드림텍, ㈜디파인, ㈜와이파이브, ㈜에이아이매틱스, ㈜맵퍼스, ㈜시그넷이브이, ㈜피엠그로우(PMGROW) 등이 참여했다.

자율주행 시스템

자율주행 시스템 및 서비스 설계-개발-통합-실증 기술이다. 자율주행 서비스 사용자 경험 시나리오 및 시스템 요구사양을 개발하고 승용차, SUV, EV셔틀 등 자율주행 차량플랫폼 개발 및 시스템을 개발했다. 자율주행차용 원격제어 기반 다채널 파워 매니지먼트 모듈 (16ch, 30A, 5~24V)로 현대차, 쌍용차, SK텔레콤㈜(SK Telecom) , 삼성전자㈜(Samsung), 엘지전자㈜ 등 국내 기업들과 자율주행 기술 협력 개발했다.

  • 자율주행 핵심 소프트웨어 및 통합운영소프트웨어 기술 확보
    • (인지) 카메라, 라이다 등 센서융합 기술 (In-path Target 검출 및 추적)
    • (제어) 모델기반 종/횡방향 경로추종 차량제어 기술 ( 속도오차 <0.3KPH, 횡방향위치오차 <0.4m @ay=0.6g )
  • 국제표준 기반 위험 최소화 전략(MRM, Minimum Risk Maneuver for ADS) 기술 (ISO TC204 WG14 Workitem Leader)
  • 자율주행차 시범운영 서비스가 가능한 기술완성도 확보
    • 차량·사물 통신 연계 자율주행 시범사업 적용 (영동고속도로, 2020년)
    • 자율셔틀 시범사업 적용 (대구시, 2020년), (세종시, 2021년)
  • 자율주행차, 자율주행 시스템, 자율주행 서비스 실증, 자율주행 성능 평가
  • 통합 사람-차량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 기반 운전자 특성 연구 관련 기술
    • 실차 기반 기상 및 공공 데이터(소통정보, 교통 정보, 주요 시설물 등), 차량 종/횡 움직임, 위치, 운전자(시선, 생체, 모션, 조작 정보 등), 차량 실내외 8ch 영상 데이터 등 동기화 취득 기술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통한 동기화 데이터 수집-분석-검증
    • 통합 사람-차량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품질인증(Gold Class)
    • 사업용 운전자(시내, 고속, 광역버스) 대상 운전자-전방주행영상 통합 데이터 12TB 보유
    • 실차 기반 운전자 졸음 및 부주의 특성 파악, 운전자 모니터링 및 행동 예측 연구
    • 탑승자 조작/행동 관찰, 휴먼 에러 분석 및 운전자 행동 모델링 연구
    • 스마트카 및 자율주행 사람-차량 간 인터페이스 단품 및 시스템 평가
    • 도로 위험구간 분석 모델 및 주변 도로교통 상황 연계 서비스 연구
  • 초음파 기반의 측후방 장애물 검출 및 경고시스템
    • 국제표준(ISO-17387) 대응 초음파 센서 기반 측후방 경고시스템 개발
    • 최대 감지거리 6m, 자차속도범위 30~140KPH, 상대속도범위 0~30KPH, 검출-경고 연산시간 20m/sec
    • 공동연구기관 : ㈜현보, 경원산업㈜, 만도헬라㈜, ㈜쌍용자동차 등
    • 완성차 양산적용 : 해외의 V사 (2021년 양산예정) : 핵심소프트웨어 기술이전
  •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평가 기술
    • 차량용 디스플레이(Digital Cluster, AR HUD, CID 등) 관련 표준(ISO 15008, 16673) 및 가이드라인 기반 시각적 표시 제원(글자치수, 최소대비, 색조합 등) 평가
    • 가상환경 주행시뮬레이터 기반 디스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성(ISO 9241) 및 주행안전성 평가
    • 차량용 디스플레이 인간공학적 요인(시선분산, 피로도, 조작감, 가독성 등) 취득 기술
    • 자연스러운 사용자 조작(시선, 제스처, 음성, 터치 등) 환경(NUI, Natural User Interface)기술 연계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 평가
    • 자율주행 기반 차량 실내외(In cabin, external communication) 디스플레이 연구
    • 외부 조도 모사 환경별 디스플레이 최적 밝기 연구
    • 자율주행시스템 기능 및 주행 상황별 미래 디스플레이 서비스 콘텐츠 연구
자율주행 인지센서 및 차량·사물 통신 시험∙평가∙인증
  • 자율주행 영상인지센서 및 평가 ∙ 검증 기술
  • 1M급 단안카메라, 스테레오카메라, 미러리스 카메라, AVM 카메라 모듈 기술
  • 레벨 3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2M급 전방 트리포칼 카메라, 4ch 사이드 듀얼 카메라 모듈 기술
  • 카메라 모듈시스템 평가환경 및 검증기술 개발
    • 가변프레임카 및 자연광모사 광원가변시스템 기반 인지센서 캘리브레이션 및 교정 환경 구축
    • LDWS/FCWS/HBA/APS/AVM/RCA/BSD 등 기능, 성능 평가를 위한 사양서 및 산업표준 검증프로시져 개발
  • 차량·사물 통신 기술 공인시험
차량·사물 통신 기술 분야의 미국 인증기관인 옴니에어(Omniair)로부터 단거리 전용 통신-차량과 차량 간 연결(OBU) 적합성 릴리스(Conformance Release) 1에 대한 공인시험기관(OATL, Omniair Authorized Test Laboratory) 자격을 취득했다. 국내/외 근거리 전용 고속 패킷 통신 시스템 차량 탑재 장치개발 및 제조업체에서 옴니에어 인증을 받고자 하는 경우, 해당 업체로부터 시험 의뢰를 받고, 인증에 필요한 시험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한 것으로, 이를 통해 시험능력 및 성적서에 대한 대외 공신력 확보와 더불어 시험 수입 증대에도 기여가 가능하다. ISO/IEC 17025에 준하는 OATL(Omniair Authorized Test Laboratory)의 회계 감사 과정을 통해 이미 검증된 시험평가 환경, 관리 시스템, 기술능력 등을 기반으로 현재의 단거리 전용 통신-차량과 차량 간 연결(OBU) 적합성 릴리스 1에 국한된 시험 인정범위를 WAVE-단거리 전용 통신, C-V2X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상기 시험분야에 대한 한국인정기구(KOLAS) 시험 인정범위 확대도 역시 추진할 계획이다.[2]

수소전기자동차[편집]

대형수소전기화물차

수소·물류운송 대형수소전기화물차 부품 국산화 및 개조 기술이다. 대형수소전기화물차의 핵심 전장부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화 개발을 진행했다. 파워트레인용 전장 부품, 700기압 수소저장장치,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관리 부품, 수소 스키드 개발을 위한 대형수소전기 화물차 레이아웃 설계, 구조해석, 부품 설계를 지원한다. 수소운송차량 실도로주행 동력 분석 및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운전 전략도 수립한다.

수소트럭

적재량 4~5톤급 상용차 및 관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로 국내 최초 적재량 4~5톤급 수소전기 압착진개차 개발했다. CNG 차량 개조 4~5톤 수소전기트럭 증량배분 설계 및 연료전지시스템 탑재기술을 개발하고 고압수소용기 탑재공간 레이아웃 3차원 설계 및 안전 확보기술도 개발 완료했다. 수소상용차 연료전지 스택용 냉각열량 200kW급 라디에이터를 개발하고 차량 제작 및 실차 주행 평가를 통하여 검증 완료했다.

수소택시

수소택시용 수소저장 및 운전장치 요소부품 내구성 검증∙실증 기술로 국내 최초 수소택시 20대를 실증 운행하여 핵심부품 데이터를 취득 및 분석했다. 수소연료전지 차량 핵심부품 12종 고장 시나리오를 확보, 참여기업의 원리시험 설계를 지원한다. 수소택시 실도로 운전에 따른 고장 원인을 수집하고 스택 열화특성 분석, 서울시 수소택시 운행 지원 및 경제성을 검토했다. 택시 차량구입비와 차량정비비를 지원한다. 수소택시 운행 현황 총보유비용(TCO) 기준 경제성을 분석하고 수소택시 내구성 개선을 위한 실증 협약식(MOU)을 체결했다. 수소택시 고내구 부품개발 비용도 지원한다.

수소차용 다공체 분리판

스택용 다공체 분리판의 가스확산과 물배출 향상을 위한 설계 및 제조기술

  • 차세대 수소전기자동차용 고성능 3D 파인 매쉬 타입 연료전지 스택 설계 및 제작하여 국내 최고 수준 성능 구현
    • 3D형상 설계, 전산 유체 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활용 유동 분배 및 물 배출 최적화를 통한 다공체 유로 설계기술 확보
    • 연료전지 스택 IV 특성 곡선 평가를 통한 성능 검증
  • 참여기업의 차세대 다공체 분리판 개발에 대한 설계 및 품질관련 기술지원
차세대 듀얼셀 금속분리판

수소전기자동차용 400V 스택 적층수 감소를 위한 듀얼스택 및 부품 설계 기술이다. 세계 최초 셀당 2V 전압 구현 가능한 듀얼셀 분리판 컨셉을 적용한 스택을 개발했다. 0.1T SUS316L 소재 적용 반응가스/냉각수 유로를 최적설계하여 셀 피치 1.2mm를 구현했다. 듀얼셀 스택의 고성능 구현을 위한 독자 3D 와이어 매쉬 타입 유로를 설계하고 제작했으며 시제품 듀얼셀 스택 적용을 통해 출력밀도 성능 3.0kW/L을 구현했다.

승용 충전인프라

개질기, 수전해시스템 등 수소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관련 기술이다. 2016년 11월부터 2021년 09월까지 총 145억 규모의 수소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의 국산화 개발을 산업통상자원부(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産業通商資源部)와 광주광역시의 지원으로 실시한다.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가스공사(KOGAS, Korea Gas Corporation), 제이엔케이히터, 코와, 엘켐텍, 하이리움산업, 쏠락, 유비넷시스, 엔케이와 공동으로 추진한다. 개질기, 수전해, 고압용기, 충전기, 고전압부품, 수소누출센서 등을 국산화 개발을 실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버스용 충전인프라

수소버스용 수소충전소 실증 기술로 다양한 형태의 버스용충전소를 구축/운영하여 한국형 수소충전소의 표준을 확립한다. 수소버스 또는 수소버스 모사장치를 적용하여 충전운영 기술과 수소버스용 충전소 구축시 국내 개발부품을 적용하여 부품성능 및 신뢰성 확보했다. 수소버스 충전소 자립화 운영전략과 효율적인 운영방법론을 개발하고 수소충전소 및 관련산업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수소충전소 스마트진단

수소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실시간 스마트진단 시스템으로 수소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다운타임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진단 시스템을 개발한다. 한국가스안전공사와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H2Korea) 등이 참여했다.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소충전소의 데이터베이스를 수집(상태/운영/환경)하고 고장원인을 분석, 수명을 예측한다. 상태기반 실시간 고장예지 및 위험등급 평가 기술을 사용해 스마트진단 시스템을 개발했다. 실증운영 지역은 광주(고장재현), 광주, 창원, 울산(상용 수소충전소, 기술실증) 등이다.[2]

전기자동차[편집]

배터리

희생양극이 적용된 나트륨 이온 이차전지의 양극 복합체 전극 기술은 기존 나트륨 이온 이차전지의 가장 큰 문제점인 나트륨 이온 양극의 큰 비가역 용량으로 인한 낮은 에너지밀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희생양극을 나트륨 이온 양극에 도입한 복합체 전극을 개발하여 에너지밀도가 큰 나트륨 이온 이차전지의 상용화를 가능하게 한다. 협력 기업으로는 에프티이엔이, 파낙스이텍, ㈜엘지화학(LG Chem)이 참여했다. 3D 다공성 집전체가 적용된 이차전지용 리튬금속 음극 구조 제어 기술은 기존 리튬금속 이차전지의 가장 큰 문제점인 충전 및 방전 중 리튬금속 음극의 표면에 발생하는 리튬 덴드라이트 억제를 위하여 3D 다공성 집전체를 적용하여 리튬금속 음극 구조를 제어하여 우수한 수명특성을 가지는 리튬금속 이차전지의 상용화를 가능하게 한다. 협력 기업으로 솔브레인, 천보, 일진머티리얼즈, LG화학, 현대자동차가 참여했다. 전기자동차용 고에너지밀도 배터리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고에너지밀도 배터리 셀을 적용한 배터리시스템을 개발하고, 배터리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1회 충전 주행거리 거리 등 실차 수준에 준한 배터리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한다. 협력 기업으로 LG화학, 현대자동차, 벡셀, 라온텍, 한양대학교가 참여했다.

전기버스
  • 국내 최초 대형 전기버스 전용 후륜 독립 구동형 휠 허브 모터 기반 전기구동시스템 개발을 위한 제어 및 성능 최적화 기술을 개발한다. 고효율/고출력 휠모터 최적설계 및 제어 기술,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 적용 차량 제어 기술, 차량 시뮬레이션 기반 구동시스템 성능 최적화 기술로 총괄은 현대자동차, 현대트랜시스, 한국자동차연구원 포함 산학연으로 구성되어있다. 일렉시티 전기버스 휠모터 구동시스템의 초기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후 개발기업의 자체적인 성능개선을 통해 전기버스 구동시스템 공용화 및 상용화에 성공(현대자동차)했다.
전기자동차 충전

전기자동차 수요자원화를 위해서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외부로 빼서 사용할 수 있는 V2G(Vehicle To Grid) 통합제어 및 장치 기술은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유용한 전력자원으로 만드는 통합 제어 및 장치 기술이다. 수요 반응(DR, Demand Response) 또는 자동 발전 제어(AGC, Automatic Generation Control) 등, 전력망 신호를 연동하고 전국에 산재되어 충전기에 연결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및 방전 전력을 동시에 제어한다. 한국자동차연구원과 한국전력공사, 시그넷이브이, 한국전기연구원, 현대자동차 등, 핵심기업과 산학연으로 구성된 연구개발 완료했다. 20kW급 V2G용 양방향 파워모듈로 개발했다.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이용한 전력 계통망의 수요 자원화가 가능하다.

  • 정보통신기술 융합 충전 시스템 기술
    • 비상 충전을 위한 충전 시스템 개발
    • 퍼스널모빌리티 및 전기자동차 객체 인지를 통한 멀티충전시스템 개발
    • 객체인지를 통한 멀티 충전시스템 특허 기술이전완료(2019.11, ㈜가디언이엔지)
    • 충전 분배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분배 알고리즘 개발
    • 주차 관제 유/무선 자율 충전 시스템 개발
구동시스템 효율 향상

실 도로 주행효율 향상을 위한 특성 가변형 전기구동시스템은 실 도로 운전 시 전기자동차의 주행평균효율(전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구동시스템 기술이다. 전기구동시스템의 최고효율 운전점과 실차 적용 시 최빈 운전점과의 불일치를 극복했다. 전기구동시스템 내 모터의 권선 구조 및 결속 가변을 통한 주행효율 가변이 가능하다. 한국자동차연구원과 ㈜우리산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핵심기업과 산학연으로 구성되어 연구 개발을 완료했다. 특성 가변형 권선 구조 및 시스템 적용/운용 기술을 확보하고 특성 가변 시 절환 구간에서의 부드러운 절환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

전자파 대응 기술

전기자동차 쿨런트 가열용 350V 6kW급 박막저항 구조의 전기히터 기술로 품질, 성능, 단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저항 프린팅 방식의 히터 구조를 개발했다. 고장 분석/전자파 설계를 통한 고신뢰성의 양산 품질 개발 및 시장 경쟁력을 확보했다. 국내외 주요 전기자동차 개발 OEM의 개발 요청에 대응하여 저/고전압용 광대역 전자파 필터를 최적화 개발 및 적용했다.

전장 부품 신뢰성

전기자동차 핵심 전장품 필드고장 원인분석 및 신뢰성 검증 기술이다. 친환경차·자율차 핵심부품 신뢰성 검증 및 보증 수명 예측 연구로 고장메커니즘 기반의 정량적 가속수명시험법 개발 및 정량적 수명을 예측했다. 필드 고장 데이터의 통계분석을 활용한 고장유형의 분석 및 미래 고장률을 예측하고 고장물리 기반 전장품 고장분석 및 재현을 통한 재발 방지를 연구했다. 전동화 부품 신규 고장메커니즘 규명 및 대책 설계 수립하고 신규 개발품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표준 체계의 정립을 연구했다. 필드 신뢰성 목표 기반의 신뢰성 시험 정합성 검증 및 엔지니어링 사양으로 제정했다. 현대기아차 및 국내 핵심 부품사와 신뢰성 관련 연구 연간 20건 이상 수행 중이다.

하이브리드 버스

유로-VI 적용 시내버스의 압축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기술이다. 국내 최초로 유로-VI 배기가스규제를 만족하는 대체연료(CNG) 엔진 기반 병렬 및 직렬 타입의 대형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및 시내버스를 개발했다. 병렬 및 직렬 타입의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핵심 부품 및 시스템 기술, 대형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설계 및 통합제어 원천 기술, 차량 시뮬레이션 기반 동력 및 통합 제어 성능 최적화 기술을 개발했다. 총괄은 한국자동차연구원, 현대자동차, 자일대우버스 포함 산학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병렬형 압축천연가스 하이브리드 시내버스는 2013년 현대자동차 블루시티 모델 출시를 통해 상용화되었다. 기존 일반 압축천연가스 버스에 대비해 연비 30% 이상을 향상, 이산화탄소를 23% 이상 저감했다.

E 파워트레인

전기자동차용 e-파워트레인 기술로 지능형 그린카 파워트레인 전문 연구센터(연구동·시험동 약 5,260m² )를 구축하고 e-파워트레인 전용 평가 환경을 구축했다. 설계프로세스 정립 및 신뢰성 평가·검증 기법을 수립했다. e-파워트레인 핵심부품 및 시스템 통합 시험 환경(성능·환경·내구)을 구축하고 e-파워트레인용 모터·인버터·감속기 최적 설계 프로세스 정립 및 검증한다. e-파워트레인 성능 및 신뢰성 검증용 시뮬레이션 연계 통합 평가 기술을 수립했다. e-파워트레인 핵심 부품 및 전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인휠용 모터, 인버터, 감속기 개발 및 성능·신뢰성 검증과 전기자동차 및 파워트레인 성능 시뮬레이터 개발했다. 전기자동차 100kW급 구동용 감속시스템을 삼보모터스㈜(Sambo Motors)와 양산한다.[2]

인공지능빅테이터[편집]

인공지능자율주행 컴퓨팅

자동차산업표준 인공지능 컴퓨팅플랫폼으로 SAE 레벨4 자율주행 기능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인공지능과 제어로직의 지속적 성능개선이 가능한 클라우드 연계형 인공지능컴퓨팅모듈을 개발했다.최신 국제표준기준 반영한 평가기준(TDP)과 최신 국제표준기준 반영한 평가기준(TDP) 개발했다. CPU, GPU, DSP 등 다중멀티코어를 활용한 심층 신경망 병렬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최대 240TOPs 성능확보 및 LTE/5G를 통한 데이터 통신 모듈(DCM, Data Communication Module) 확장을 실현했다.

인공지능컴퓨팅모듈 시험평가

인공지능컴퓨팅모듈 검증 및 평가 시스템이다. 가상 및 실차 환경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솔루션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평가 환경을 구축했다. 최신 국제표준기준을 반영한 평가기준(TDP)을 개발하고 차량기반 시뮬레이션 평가 환경을 구축했다. 자율주행서비스에 적합한 평가 시나리오 7종을 개발하고 V모델기반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 ∙ 성능 평가 환경을 구축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과 ㈜인포뱅크, 에이아이매틱스, 스프링클라우드 등 핵심기업과 산학연으로 구성된 연구개발과제를 진행 중이다. 환경변수에 따라 다변화 되는 성능검증 시나리오를 차량기반 시뮬레이션에 연동하여 인공지능 컴퓨팅 모듈의 응용서비스 성능 평가에 활용했다.

인공지능디지털트윈 기반 로직 검증

인공지능 디지털트윈 기반 자율주행 로직시험 및 검증체계이다. 향후 레벨 4~5단계 자율주행차의 실도로 주행에 필요한 통행규칙 및 교통법규 준수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가상현실 자율주행 시험환경을 구성하고 실차 시험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다양한 위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자율차의 로직 검증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했다. 국내 도로환경을 모사한 실도로 기반의 표준 시나리오를 개발했다. 다양한 환경변수를 가진 가상주행 환경에서 자율주행 자동차의 법규준수 성능검증, 위험상황 검증이 가능한 가속시험 검증 시스템을 개발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과 경찰청, 한국교통대학교, 한국도로교통공단 등 자율주행 차량의 실도로 주행에 필요한 주행면허발급에 관련된 기관과 연구과제 진행 중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형식별, 차종별 운전면허 시험이 가능한 시험장 기반구축 과제를 진행 중이다.

인공지능 기반 인식기술

인공지능 학습 ∙ 검증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인공지능 기반 인식기술이다. 인식기술 개발 및 평가 검증을 위한 유스케이스 및 시나리오 120건을 개발했다. 자율주행 모사차량 기반의 원천데이터 취득 및 유스케이스별로 분류하고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기준값을 작성했다.(300TB 원천데이터 확보) 온라인 및 오프라인 기반 학습데이터 구축 기술 및 반자동화 학습데이터 생성기술을 개발했다. 영상내 기준값 작성 대상은 레벨 3 이하 자율주행 인식기술개발이 가능한 동적객체(자동차,보행자,이륜차), 정적객체(차선, 신호등, 표지판, 노면표시, 주행가능공간 등)이다. 딥러닝 기반 차량, 보행자, 이륜차, 신호등 인식기술과 카메라 표면오염도 인식 및 기술로 인공지능 기술 구현했다.

이상진단 수명예지 기술

인공지능 기반 이상진단 및 수명예지 서비스 기술이다. 인공지능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차량 및 부품의 고장여부 및 잔여수명 예측기술 및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했다. 빅데이터 전처리 및 특징인자 추출기법과 숫자데이터를 이용한 정확도 80% 이상의 이상상태를 진단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 중이다. 한국자동차연구원자체 원천기술 개발 과제를 진행 중이며 차량 및 부품 개발 및 관리용 이상진단 및 수명예지 플랫폼 개발 및 서비스사업을 추진 예정이다.

RDE 데이터베이스 확보 및 활용 원천기술

실제 도로 대기환경개선(CO2/미세먼지)을 위한 실도로 배기가스 규정 데이터베이스 확보 및 활용 원천 기술이다. 실도로 차량주행 빅데이터 확보 및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프라를 개발하고, 실제 도로 대기환경 개선 및 차량 제어 원천기술 개발 분야에서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실도로 차량/부품 레벨의 주행 및 배출 특성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분석한다. 주행 환경 모델 기반의 실시간 차량 배출량 예측 시뮬레이션 및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실도로 차량 주행 데이터베이스활용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저감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공단, 한국교통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대학교와 공동 수행 중이다. 구축된 차량 및 부품 레벨의 실도로 차량 주행-데이터베이스 활용, 제작사/부품사 개발 지원과 차량배기가스 규제지역(LEZ, Low Emission Zone) 공간 배출량 제어 등 정책 지원을 수행한다. 외부 정보 활용 등 실도로에서의 동력제어/배출가스 저감 원천 기술도 개발한다.[2]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한국자동차연구원 문서는 자동차 회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