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브이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삼성이브이씨 로고.png|썸네일|200픽셀|'''㈜삼성이브이씨'''(Samsung EVC)]]
 
[[파일:㈜삼성이브이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삼성이브이씨'''(Samsung EVC)]]
 
  
'''㈜삼성이브이씨'''(Samsung EVC)는 [[전기자동차]] [[충전]] 서비스 기업이다. [[충전기]]를 직접 개발하는 것은 물론 제조생산, 영업, 시공, 관제서버 이외에도 핸드폰 태블릿을 사용한 ERP서비스 기술을 업무에 적용해 사후관리까지 병행해 오고 있다. ㈜삼성이브이씨가 개발한 14㎾h 듀얼 전기차 충전기는 터치스크린 LCD, TFD 방식이다. 네트워크 기반의 원격제어 및 감시가 가능하고, 서버연동 프리모드와 과전류 등 장애표시, 비상스위치 및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갖추고 있다. 모뎀을 통해 실시간 충전요금이 계산되며, 충전까지 7시간이 소요된다. 해당 제품은 개발 완료되었으나 출시되지 않았고, ㈜삼성이브이씨가 서비스하고 있는 충전기는 [[㈜클린일렉스]]의 제품이다. 대표는 '''[[최성용]]'''이다.
+
 
 +
 
 +
 
  
 
==연혁==
 
==연혁==
 
*2020년 01월 : ㈜삼성이브이씨 설립등기
 
*2020년 01월 : ㈜삼성이브이씨 설립등기
*2020년 02월 : ㈜삼성EVC 본사사옥 이전으로 영업, 시공, A/S망을 위한 지원본부 구축
+
*2020년 02월 : ㈜삼성EVC본사사옥 이전으로 영업, 시공, A/S망을 위한 지원본부 구축
 
*2020년 02월 : 사업자등록증 신고
 
*2020년 02월 : 사업자등록증 신고
 
*2020년 02월 : 전국 영업망과 시공망 구축
 
*2020년 02월 : 전국 영업망과 시공망 구축
18번째 줄: 18번째 줄:
 
*2020년 05월 : 지능형전력망사업자 등록증 취득
 
*2020년 05월 : 지능형전력망사업자 등록증 취득
 
*2020년 07월 : 기업부설연구소 인정서
 
*2020년 07월 : 기업부설연구소 인정서
*2020년 07월 : 인공지능(AI) 스마트서비스 지원사업선정
+
*2020년 07월 : AI 스마트서비스 지원사업선정
 
*2020년 08월 : 전기차충전기 제조 공장등록증
 
*2020년 08월 : 전기차충전기 제조 공장등록증
 
*2020년 09월 : 공용충전기 제품개발
 
*2020년 09월 : 공용충전기 제품개발
*2020년 11월 : 인공지능(AI) 전기차충전기 2건 특허 출원
+
*2020년 11월 : AI 전기차충전기 2건 특허 출원
 
*2021년 01월 : 전기차충전기 KC 인증신청
 
*2021년 01월 : 전기차충전기 KC 인증신청
 
*2021년 01월 : 계량기제조업 등록
 
*2021년 01월 : 계량기제조업 등록
*2021년 01월 : 시공전담회사(SS기전) 설립<ref name='삼성이브이씨'> ㈜삼성이브이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amsungevc.com/main.do</ref>
+
*2021년 01월 : 시공전담회사(SS기전) 설립
  
 
==제품소개==
 
==제품소개==
[[파일:KL40-BC.png|썸네일|200픽셀|'''KL40-BC''']]
 
[[파일:KL41IC-BC7.png|썸네일|200픽셀|'''KL41IC-BC7''']]
 
[[파일:KL4214-BCC-IOT.png|썸네일|200픽셀|'''KL4214-BCC-IOT''']]
 
[[파일:KL4214-BCC-IC.png|썸네일|200픽셀|'''KL4214-BCC-IC''']]
 
 
===KL40-BC===
 
===KL40-BC===
이 제품의 유형은 부분 공용이고 타입은 스탠드형와 벽 부착형 두 가지가 있다. 전격 용량은 7KW이고 제품 크기는 270X440X140 이다. 케이블 타입은 분리형(B타입)+일체형(C타입)으로 되어있어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APP(비회원 신용카드 결제), 회원 카드, QR코드 세 가지 방법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
이 제품의 유형은 부분공용이고 타입은 스탠드형 or 벽부착형 두가지가 있다. 전격용량은 7KW이고 제품크기는 270X440X140 이다. 케이블 타입은 분리형(B타입)+일체형(C타입)으로 되어있어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APP(비회원 신용카드 결제), 회원카드, QR코드 세가지 방법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LED 충전 진행 상태 표시한다.
+
 
*RF Card 사용자를 인증한다.
+
*LED 충전 진행 상태 표시
*스마트폰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
*RF Card 사용자 인증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 가능하다.
+
*스마트폰 제어 및 모니터링
 +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가능
 +
{{이미지|정렬=가운데|가로=200
 +
|KL40-BC.png|KL40-BC|}}
  
 
===KL41IC-BC7===
 
===KL41IC-BC7===
이 제품의 유형은 완전 공용으로 타입은 스탠드형과 벽 부착형 두 가지가 있다. 전격 용량은 7KW이고 제품 크기는 300X365X174이다. 케이블 타입은 분리형(B타입)+일체형(C타입)으로 되어있어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리더기 직접 결제, QR코드, APP(비회원 시용카드 결제), 회원카드 4가지 방법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
이 제품의 유형은 완전공용으로 타입은 스탠드형과 벽부착형 두가지가 있다. 전격용량은 7KW이고 제품크기는 300X365X174이다. 케이블 타입은 분리형(B타입)+일체형(C타입)으로 되어있어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리더기 직접 결제, QR코드, APP(비회원 시용카드 결제), 회원카드 4가지 방법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LCD 충전 진행 상태 표시된다.
+
 
*RF Card + IC Card  
+
*LCD 충전 진행 상태 표시
*스마트폰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
*RF Card + IC Card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
*스마트폰 제어 및 모니터링
 +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가능
 +
{{이미지|정렬=가운데|가로=200
 +
|KL41IC-BC7.png|KL41IC-BC7|}}
  
 
===KL4214-BCC-IOT===
 
===KL4214-BCC-IOT===
 
이 제품의 유형은 부분공용으로 타입은 스탠드형과 벽부착형 두가지가 있다. 전격용량은 14KW이고 제품크기는 300X365X174이다. 케이블 타입은 분리형(B타입)+일체형(C타입)으로 되어있어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QR코드, APP(비회원 시용카드 결제) 2가지 방법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이 제품의 유형은 부분공용으로 타입은 스탠드형과 벽부착형 두가지가 있다. 전격용량은 14KW이고 제품크기는 300X365X174이다. 케이블 타입은 분리형(B타입)+일체형(C타입)으로 되어있어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QR코드, APP(비회원 시용카드 결제) 2가지 방법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전기차 7kWh 2대 동시 충전이 가능하다.
+
 
*2개의 LED 화면에서 각각 충전 진행 정보 표시된다. (충전전력, 충전전력량, 충전 시간 표시)
+
*전기차 7kWh 2대 동시 충전
*충전커넥터 B/C형 연결을 자동 감시한다.
+
*2개의 LED 화면에서 각각 충전진행 정보 표시 (충전전력, 충전전력량, 충전시간 표시)
*낮은 대기전력을 가지고 있다.
+
*충전커넥터 B/C형 연결을 자동 감시
*모든 차량 충전 가능하다.(B형 & C형, C제공)
+
*낮은 대기전력
 +
*모든 차량 충전가능(B형 & C형, C제공)
 +
{{이미지|정렬=가운데|가로=200
 +
|KL4214-BCC-IOT.png|KL4214-BCC-IOT|}}
  
 
===KL4214-BCC-IC===
 
===KL4214-BCC-IC===
이 제품의 유형은 완전 공용으로 타입은 스탠드형과 벽부착형 두가지가 있다. 전격 용량은 14KW이고 제품 크기는 300X365X174이다. 케이블 타입은 분리형(B타입)+일체형(C타입)으로 되어있어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리더기 직접 결제, QR코드, APP(비회원 시용카드 결제), 회원 카드 4가지 방법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
이 제품의 유형은 완전공용으로 타입은 스탠드형과 벽부착형 두가지가 있다. 전격용량은 14KW이고 제품크기는 300X365X174이다. 케이블 타입은 분리형(B타입)+일체형(C타입)으로 되어있어 국내외 모든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제품 재질은 난연 ABS이다. 리더기 직접 결제, QR코드, APP(비회원 시용카드 결제), 회원카드 4가지 방법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전기차 7kWh 2대 동시충전이 가능하다.
+
 
*2개의 LED 화면에서 각각 충전진행 정보가 표시된다. (충전전력, 충전전력량, 충전시간 표시)
+
*전기차 7kWh 2대 동시충전
*충전커넥터 B/C형 연결을 자동감시한다.
+
*2개의 LED 화면에서 각각 충전진행 정보표시 (충전전력, 충전전력량, 충전시간 표시)
*낮은 대기전력을 가지고 있다.
+
*충전커넥터 B/C형 연결을 자동감시
*모든 차량 충전 가능하다.(B형 & C형, C제공)<ref name='삼성이브이씨'></ref>
+
*낮은 대기전력
 +
*모든 차량 충전가능(B형 & C형, C제공)
 +
{{이미지|정렬=가운데|가로=200
 +
|KL4214-BCC-IC.png|KL4214-BCC-IC|}}
  
 
==전기차 충전기 종류==
 
==전기차 충전기 종류==
73번째 줄: 81번째 줄:
 
*주로 주택이나 아파트에 설치된다.
 
*주로 주택이나 아파트에 설치된다.
 
*배터리 용량은 약 6~7kW 전력용량을 가진 충전기가 주로 설치된다.
 
*배터리 용량은 약 6~7kW 전력용량을 가진 충전기가 주로 설치된다.
*전기요금은 100km당, 1,100원 정도이다.<ref name='삼성이브이씨'></ref>
+
*전기요금은 100km당, 1,100원 정도이다.
  
 
:{|class=wikitable width=600
 
:{|class=wikitable width=600
88번째 줄: 96번째 줄:
 
|align=center|4~5시간
 
|align=center|4~5시간
 
|}
 
|}
 
===설치유형에 따른 분류===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벽부형 충전기
 
!align=center|스탠드형 충전기
 
!align=center|이동형 충전기
 
|-
 
|align=center|용량
 
|align=center|3~7W
 
|align=center|3~7kW
 
|align=center|3kW(Max)
 
|-
 
|align=center|충전시간
 
|align=center|4~6시간
 
|align=center|4~6시간
 
|align=center|6~9시간
 
|-
 
|align=center|특징
 
|align=center colspan=2 align="light"|
 
* 분전함, 기초패드 설치
 
* U형볼라드, 차량스토퍼, 차선도색(설치 또는 미설치)
 
* 충전기 위치가 외부에 설치되어 눈, 비에 노출될 경우만 케노피 설치
 
|align=center align="light"|
 
* 220V 콘센트에 간단한 식별장치(RFID태그) 부착하여 충전
 
* 태그가 부착된 다른 건물에서도 충전 가
 
|}
 
 
===전기차 차종별 충전방식===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차종
 
!align=center|급성 충전방식
 
!align=center|완속 충전방식
 
|-
 
|align=center|현대기아차
 
|align=center|블루온, 레이, 쏘울, 아이오닉
 
|align=center|DC차데모(10pin)
 
|align=center|AC 단상(5pin)
 
|-
 
|align=center|현대기아차
 
|align=center|아이오닉, 코나, 니로, 쏘울
 
|align=center|DC콤보 7핀(급속)
 
|align=center|AC 단상(5pin)
 
|-
 
|align=center|르노삼성
 
|align=center|SM3 ZE
 
|align=center|AC3상(7pin)
 
|align=center|AC 단상(7pin)
 
|-
 
|align=center|한국GM
 
|align=center|스파크, 볼트
 
|align=center|DC콤보(7pin)
 
|align=center|AC 단상(5pin)
 
|-
 
|align=center|BMW
 
|align=center|i3
 
|align=center|DC콤보(7pin)
 
|align=center|AC 단상(5pin)
 
|-
 
|align=center|닛산
 
|align=center|Leaf
 
|align=center|DC차데모(10pin)
 
|align=center|AC 단상(5pin)
 
|}
 
 
==전기차 충전요금==
 
===내연기관차 유류비와 전기차 충전요금 비교===
 
;내연기관차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휘발유차(아반떼1.6)
 
!align=center|경유차(아반떼1.6)
 
|-
 
|align=center|연비
 
|align=center|13.1km/L
 
|align=center|17.7km/L
 
|-
 
|align=center|연료비
 
|align=center|1,499.65원/L
 
|align=center|1,292.58원/L
 
|-
 
|align=center|100km당 연료비
 
|align=center|11,448원
 
|align=center|7,302원
 
|-
 
|align=center|한국GM
 
|align=center|스파크, 볼트
 
|align=center|DC콤보(7pin)
 
|-
 
|align=center|연간 연료비*
 
|align=center|157만원
 
|align=center|100만원
 
|}
 
 
;전기차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완속(개인용)
 
!align=center|인하전('16년)
 
!align=center|인하후('17년)
 
|-
 
|align=center|연비
 
|align=center|6.3km/kWh
 
|align=center|6.3km/kWh
 
|align=center|6.3km/kWh
 
|-
 
|align=center|연료비
 
|align=center|71.3원/kWh
 
|align=center|313.1원/kWh
 
|align=center|173.8원/kWh
 
|-
 
|align=center|100km당 연료비
 
|align=center|1,132원
 
|align=center|4,970원
 
|align=center|2,759원
 
|-
 
|align=center|연간 연료비*
 
|align=center|16만원
 
|align=center|68만원
 
|align=center|38만원
 
|}
 
 
===주행거리별 총 비용===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연 13,724km(승용차 평균)
 
!align=center|연 18,250km(전기차 이용자 평균)
 
!align=center|연 22,962km(승용-영업용 차량 평균)
 
|-
 
|align=center|휘발유
 
|align=center|27,891,682원
 
|align=center|30,368,762원
 
|align=center|32,947,642원
 
|-
 
|align=center|디젤
 
|align=center|27,724,357원
 
|align=center|29,314,117원
 
|align=center|30,969,207원
 
|-
 
|align=center|아이오닉
 
|align=center|21,972,233원
 
|align=center|22,228,405원
 
|align=center|22,495,105원
 
|-
 
|align=center|쏘울
 
|align=center|23,663,066원
 
|align=center|23,985,770원
 
|align=center|24,321,735원
 
|-
 
|align=center|리프
 
|align=center|28,411,689원
 
|align=center|28,721,949원
 
|align=center|29,044,954원
 
|-
 
|align=center|i3
 
|align=center|41,126,203원
 
|align=center|41,399,573원
 
|align=center|41,684,178원
 
|-
 
|align=center|SM3
 
|align=center|21,243,462원
 
|align=center|21,610,068원
 
|align=center|21,991,738원
 
|}
 
 
==협약==
 
===한국노인복지중앙회===
 
㈜삼성EVC와 한국노인복지중앙회가 「4차 산업시대 앞서가는 노인복지시설을 위한 전기차 충전기 보급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2020년 4월 20일(월) 한국노인복지중앙회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한국노인복지중앙회(회장 권태엽)와 ㈜삼성EVC(대표 최성용)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환경부 충전인프라 사업수행기관인 ㈜삼성EVC는 어르신들의 이동 편의 향상을 위해 친환경차인 전기차 충전기를 환경부 업무처리지침에 따라 노인복지시설에 무상 보급하기로 하였다.<ref name='삼성이브이씨'></ref>
 
 
==전망==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전기차 35만대와 수소차 1만5000대, 수소버스 1000대를 보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전기차 급속충전기 1만기와 수소충전소 310개소를 구축하고, 수소차 가격은 7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낮추기로 했다. 정부는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1차 혁신성장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환경부의 '전기·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을 보고받고 이를 심의·의결했다.<ref>윤원창 기자,〈[http://www.business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895 정부, 2022년까지 전기차 35만대, 수소차 1만5천대 보급 목표...수소차 가격 5천만원으로 낮춘다]〉, 《비지니스 코리아》,  2018-06-08</ref>
 
 
{{각주}}
 
 
==참고자료==
 
*윤원창 기자,〈[http://www.business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895 정부, 2022년까지 전기차 35만대, 수소차 1만5천대 보급 목표...수소차 가격 5천만원으로 낮춘다]〉, 《비지니스 코리아》,  2018-06-08
 
*삼성이브이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amsungevc.com/main.do
 
 
==같이 보기==
 
* [[최성용]]
 
* [[충전기]]
 
* [[전기자동차]]
 
* [[㈜클린일렉스]]
 
 
{{충전|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