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언플래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 개요 ==
 
== 개요 ==
 
* 설립일: 2021년 11월 01일
 
* 설립일: 2021년 11월 01일
* 대표자: [[김기철]]
+
* 대표자: [[오세용]]
 
* 자본금: 8억원
 
* 자본금: 8억원
 
* 직원수: 40명
 
* 직원수: 40명
15번째 줄: 15번째 줄:
 
== 등장배경 ==
 
== 등장배경 ==
 
블록체인 기술 등장으로 '''[[가상자산]]'''이 새로운 유형의 자산으로 편입되면서 자산 소유가 민주화되고, 가치 창출 주체가 다각화되며 새로운 사회ᆞ경제적 이익이 창출되는 새로운 금융 생태계가 자리잡고 있다. 다양한 가치의 자산화와 동시에 그것을 소유하는 방법도 다양<ref>김윤주 BCG MD 파트너, 〈[https://bcgblog.kr/future-of-asset-2022/ FUTURE OF ASSET 2022 자산의 미래]〉, 《Boston Consulting Group(BCG)》, 2022-02-17</ref>해지면서, 블록체인 기술로 부동산, 에너지, 지적 재산권(음원, 영화, 미술품, 특허 등)등의 자산을 토큰화 및 증권화 해 더 많은 대중이 소액으로 쉽게 투자할 수 있게 하는 조각투자 플랫폼<ref>이령화 수석연구, 〈[http://www.hanaif.re.kr/boardDetail.do?hmpeSeqNo=35209 조각투자 이해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2-06-03</ref>이 성행할 뿐만 아니라 자금 조달에 있어서 엄격한 요건을 갖춘 소수 기업만이 '''[[IPO]]'''가 가능했던 때와 달리 새로운 자금 조달 수단인 STO<ref>김갑래 선임연구위원, 〈[https://www.kcmi.re.kr/report/report_view?report_no=1495 국내 ICO 시장과 STO 시장의 당면 과제와 발전 방향]〉, 《자본시장연구원》, 2022-07-28</ref>가 등장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이 생산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가상자산의 규모는 2021년 기준 글로벌 4300조원 수준이며, 국내 규모도 이미 300조원을 돌파했다.<ref>한영혜 기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3349#home/ BCG “韓가상자산 시장, 2026년 1000조원 규모 성장 전망]〉, 《중앙일보》, 2022-01-25</ref> 2022년 4월 금융업계에서 조각투자가이드라인<ref>현지은 사무관, 〈[https://www.fsc.go.kr/no010101/77728?srchCtgry=&curPage=&srchKey=&srchText=&srchBeginDt=&srchEndDt=/ 조각투자 등 신종증권 사업 관련 가이드라인]〉, 《금융위원회》, 2022-04-28</ref> 발표 이후 국내 조각투자 플랫폼이 제도권 안에 편입되었듯이 2022년 연말 증권형 토큰 발행 및 유통 가이드라인<ref>김갑래 선임연구위원, 〈[https://www.kcmi.re.kr/seminar/seminar_program?syear=2022&eno=255/ 증권형 토큰 발행‧유통체계 정비 방향]〉,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자본시장연구원》, 2022-09-06</ref>이 마련되고 2023년 연초 신탁업 혁신방안<ref>금융소비자국 자산운용과,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31086&topic=/ 종합재산관리 및 자금조달기능 강화를 위한 신탁업 혁신 방안]〉, 《금융위원회》, 2022-10-13</ref>이 도입되면 블록체인 기술을 더한 '''[[전통자산]]'''의 소유가 더 보편화 될 것이며, 자본시장법 규율 정비를 통해 STO가 가능해지면 기업의 생산활동이 촉진되어 유관 산업의 성장 및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 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의 변화와는 다른 금융생태계의 ‘'''[[퀀텀 점프]]'''(Quantum Jump)'<ref>시사금융용어,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163 퀀텀 점프(Quantum Jump)]〉, 《연합인포맥스》, 2017-03-014</ref>가 예상되는 바 아이언플래그는 엔터, 게임, 에너지, 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산업의 전통자산 소유권을 연동한 토큰 증권(STO)을 발행하여 가상자산을 전통자산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역할<ref>박희윤 기자, 〈[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6429 블록체인 테크핀 애그리게이터 ‘아이언플래그’, 증권형토큰(STO) 사업 본격화]〉, 《시사매거진》, 2022-09-27</ref>을 하고자 한다.
 
블록체인 기술 등장으로 '''[[가상자산]]'''이 새로운 유형의 자산으로 편입되면서 자산 소유가 민주화되고, 가치 창출 주체가 다각화되며 새로운 사회ᆞ경제적 이익이 창출되는 새로운 금융 생태계가 자리잡고 있다. 다양한 가치의 자산화와 동시에 그것을 소유하는 방법도 다양<ref>김윤주 BCG MD 파트너, 〈[https://bcgblog.kr/future-of-asset-2022/ FUTURE OF ASSET 2022 자산의 미래]〉, 《Boston Consulting Group(BCG)》, 2022-02-17</ref>해지면서, 블록체인 기술로 부동산, 에너지, 지적 재산권(음원, 영화, 미술품, 특허 등)등의 자산을 토큰화 및 증권화 해 더 많은 대중이 소액으로 쉽게 투자할 수 있게 하는 조각투자 플랫폼<ref>이령화 수석연구, 〈[http://www.hanaif.re.kr/boardDetail.do?hmpeSeqNo=35209 조각투자 이해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2-06-03</ref>이 성행할 뿐만 아니라 자금 조달에 있어서 엄격한 요건을 갖춘 소수 기업만이 '''[[IPO]]'''가 가능했던 때와 달리 새로운 자금 조달 수단인 STO<ref>김갑래 선임연구위원, 〈[https://www.kcmi.re.kr/report/report_view?report_no=1495 국내 ICO 시장과 STO 시장의 당면 과제와 발전 방향]〉, 《자본시장연구원》, 2022-07-28</ref>가 등장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이 생산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가상자산의 규모는 2021년 기준 글로벌 4300조원 수준이며, 국내 규모도 이미 300조원을 돌파했다.<ref>한영혜 기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3349#home/ BCG “韓가상자산 시장, 2026년 1000조원 규모 성장 전망]〉, 《중앙일보》, 2022-01-25</ref> 2022년 4월 금융업계에서 조각투자가이드라인<ref>현지은 사무관, 〈[https://www.fsc.go.kr/no010101/77728?srchCtgry=&curPage=&srchKey=&srchText=&srchBeginDt=&srchEndDt=/ 조각투자 등 신종증권 사업 관련 가이드라인]〉, 《금융위원회》, 2022-04-28</ref> 발표 이후 국내 조각투자 플랫폼이 제도권 안에 편입되었듯이 2022년 연말 증권형 토큰 발행 및 유통 가이드라인<ref>김갑래 선임연구위원, 〈[https://www.kcmi.re.kr/seminar/seminar_program?syear=2022&eno=255/ 증권형 토큰 발행‧유통체계 정비 방향]〉,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자본시장연구원》, 2022-09-06</ref>이 마련되고 2023년 연초 신탁업 혁신방안<ref>금융소비자국 자산운용과,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31086&topic=/ 종합재산관리 및 자금조달기능 강화를 위한 신탁업 혁신 방안]〉, 《금융위원회》, 2022-10-13</ref>이 도입되면 블록체인 기술을 더한 '''[[전통자산]]'''의 소유가 더 보편화 될 것이며, 자본시장법 규율 정비를 통해 STO가 가능해지면 기업의 생산활동이 촉진되어 유관 산업의 성장 및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 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의 변화와는 다른 금융생태계의 ‘'''[[퀀텀 점프]]'''(Quantum Jump)'<ref>시사금융용어,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163 퀀텀 점프(Quantum Jump)]〉, 《연합인포맥스》, 2017-03-014</ref>가 예상되는 바 아이언플래그는 엔터, 게임, 에너지, 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산업의 전통자산 소유권을 연동한 토큰 증권(STO)을 발행하여 가상자산을 전통자산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역할<ref>박희윤 기자, 〈[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6429 블록체인 테크핀 애그리게이터 ‘아이언플래그’, 증권형토큰(STO) 사업 본격화]〉, 《시사매거진》, 2022-09-27</ref>을 하고자 한다.
 +
 +
== 주요인물 ==
 +
'''오세용''' 대표이사
 +
* 주식회사 공정한가치
 +
* 주식회사 시오익스비앤아이
 +
* 주식회사 스윙로드
 +
*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외
  
 
== 주요사업 ==
 
== 주요사업 ==
96번째 줄: 103번째 줄:
 
* GG56 블록체인 금융 비즈니스 활성화 MOU 체결
 
* GG56 블록체인 금융 비즈니스 활성화 MOU 체결
 
* GG56 토큰 증권(STO) 발행 및 유통 서비스 MOA 체결
 
* GG56 토큰 증권(STO) 발행 및 유통 서비스 MOA 체결
* 마제스티자산운용 STO 기반 금융상품 설계 및 운영을 위한 MOU 체결
+
* 대구시 ABB 산업 금융파트 협업 MOU 체결
* 회계법인 공명 토큰증권(STO) 기반 금융 사업 활성화를 위한 MOU 체결
+
* (재)대구테크노파크 토큰 증권(STO) 프로젝트 추진 MOU 체결
 
+
* 에스아이증권㈜ 토큰 증권(STO) 기반 조각투자 사업 추진 MOU 체결
 +
* 한화투자증권 토큰 증권(STO) 기반 조각투자 사업 추진 MOU 체결
 +
* 키움증권 B.TechFIN 플랫폼 사업 추진 MOU 체결
  
 
{{각주}}
 
{{각주}}
113번째 줄: 122번째 줄:
 
* 이윤정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846646632493904&mediaCodeNo=257&OutLnkChk=Y 아이언플래그-서울디자인高, 블록체인 산업 인재 양성 MOU 체결]>, 《이데일리》, 2022-10-17
 
* 이윤정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846646632493904&mediaCodeNo=257&OutLnkChk=Y 아이언플래그-서울디자인高, 블록체인 산업 인재 양성 MOU 체결]>, 《이데일리》, 2022-10-17
 
* <[https://www.etnews.com/20221121000048 아이언플래그-에이치앤지, ESG 금융 설계 및 운영 위한 MOU 체결]>, 《전자신문》, 2022-11-21
 
* <[https://www.etnews.com/20221121000048 아이언플래그-에이치앤지, ESG 금융 설계 및 운영 위한 MOU 체결]>, 《전자신문》, 2022-11-21
* 박동선 기자, <[https://www.etnews.com/20230112000205 아이언플래그-전자신문인터넷, 블록체인 금융정보 활성화 MOU 체결]>, 《전자신문인터넷》, 2023-01-12
 
* 이상현 기자,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3031707111490401 아이언플래그-마제스티운용, STO 기반 금융상품 설계 및 운영을 위한 MOU 체결]>, 《머니투데이뉴스》, 2023-03-17
 
* 이상현 기자,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3031713491187012 아이언플래그-회계법인 공명, STO 기반 금융 사업 활성화 위한 MOU 체결]>, 《머니투데이뉴스》, 2023-03-17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테크핀]]
 
* [[테크핀]]
 
* [[블록체인]]
 
* [[블록체인]]
* [[토큰 증권]]
 
* [[STO]]
 
* [[조각투자]]
 
 
* [[NFT]]
 
* [[NFT]]
  
 
{{블록체인 개발업체|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