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지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알지티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알지티'''(RGT)]]
 
[[파일:㈜알지티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알지티'''(RGT)]]
  
'''㈜알지티'''(RGT)는 2018년에 설립된 [[인공지능]] [[서빙로봇]] '''[[써봇]]'''(sirbot)의 개발 및 제조 회사이다. 사명인 알지티는 로봇 글로벌 팀(Robot Global Team)의 약자이다. 다양한 국적의 임직원이 모여 세계 서비스 로봇을 대표하는 글로벌 회사로 성장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순수 100% 대한민국 기술로 [[자율주행]]과 서비스 산업 모든 과정의 솔루션을 독자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대표는 '''[[정호정]]'''이다.
+
'''㈜알지티'''(RGT)는 2018년에 설립된 [[인공지능]] [[서빙로봇]] [[써봇]](sirbot)의 개발 및 제조 회사이다. 사명인 알지티는 로봇 글로벌 팀(Robot Global Team)의 약자이다. 다양한 국적의 임직원이 모여 세계 서비스 로봇을 대표하는 글로벌 회사로 성장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순수 100% 대한민국 기술로 [[자율주행]]과 서비스 산업 모든 과정의 솔루션을 독자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대표는 '''[[정호정]]'''이다.
 
{{:자동차 배너}}
 
{{:자동차 배너}}
  
40번째 줄: 40번째 줄:
 
써봇은 모니터, [[키오스크]], 테이블 오더, 진동벨 등을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서빙로봇이다. 단순 서빙은 물론 주문과 결제 등 각기 다른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천장에 마커를 설치하지 않아도 내장된 [[라이다]] 센서와 3D 카메라가 스스로 공간을 인식하고 실시간 [[자율주행]]을 해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다. 따라서 로봇 운영을 위한 인테리어 공사 등도 따로 필요하지 않다. 투명창 혹은 대리석 등에서 반사된 빛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라이다 센서의 약점도 완벽히 해결한 점도 알지티 제품만의 강점이다. 또 향후 발생할 움직임을 미리 예측하고 회피하는 기능까지 갖춰 돌발 상황에서도 안정적 주행 성능을 보여 준다. 이 같은 특징은 써봇의 활용 영역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ref> 안수민 기자, 〈[https://www.etnews.com/20221020000111 알지티, 서비스 로봇 '써봇' 대형마트까지 영역 확장 파란불!]〉, 《전자신문》, 2022-10-20 </ref> 써봇은 크게 주문은 물론 각종 홍보까지 가능한 '써봇 주문결제형'과 '써봇 주문형' 2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둥근형, 네모형, 주문형, 주문결제형 총 4종의 라인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주문과 결제까지 가능한 서빙로봇 기능에 더해, 각종 홍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구비했다는 점이다. 영상 제공은 기기 후면에 비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써봇 주문결제형의 경우 기기에 탑재된 디스플레이와 카드단말기를 이용해 테이블에서 주문과 결제를 한 번에 진행한다. 매장 운영에 필요한 모니터, 진동벨 등과 같은 각종 시스템과 연동돼, 보다 편리하게 업장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까지 절약된다. 무엇보다도 21인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업장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나 시설 이용 방법, 행사 등의 안내를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써봇 주문형은 주문결제형 로봇에서 결제 기능만 제외한 제품이다. 따라서 후불결제 매장이나, 결제 등의 과정이 필요하지 않은 요양시설이나 관공서 등에 보다 적합하다. 기능이 간소화된 만큼, 비용 부담도 좀 더 줄일 수 있다.<ref> 박경일 기자,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32 알지티, 써봇 주문형 라인업 2종 공개]〉, 《로봇신문》, 2023-01-26 </ref>
 
써봇은 모니터, [[키오스크]], 테이블 오더, 진동벨 등을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서빙로봇이다. 단순 서빙은 물론 주문과 결제 등 각기 다른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천장에 마커를 설치하지 않아도 내장된 [[라이다]] 센서와 3D 카메라가 스스로 공간을 인식하고 실시간 [[자율주행]]을 해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다. 따라서 로봇 운영을 위한 인테리어 공사 등도 따로 필요하지 않다. 투명창 혹은 대리석 등에서 반사된 빛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라이다 센서의 약점도 완벽히 해결한 점도 알지티 제품만의 강점이다. 또 향후 발생할 움직임을 미리 예측하고 회피하는 기능까지 갖춰 돌발 상황에서도 안정적 주행 성능을 보여 준다. 이 같은 특징은 써봇의 활용 영역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ref> 안수민 기자, 〈[https://www.etnews.com/20221020000111 알지티, 서비스 로봇 '써봇' 대형마트까지 영역 확장 파란불!]〉, 《전자신문》, 2022-10-20 </ref> 써봇은 크게 주문은 물론 각종 홍보까지 가능한 '써봇 주문결제형'과 '써봇 주문형' 2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둥근형, 네모형, 주문형, 주문결제형 총 4종의 라인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주문과 결제까지 가능한 서빙로봇 기능에 더해, 각종 홍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구비했다는 점이다. 영상 제공은 기기 후면에 비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써봇 주문결제형의 경우 기기에 탑재된 디스플레이와 카드단말기를 이용해 테이블에서 주문과 결제를 한 번에 진행한다. 매장 운영에 필요한 모니터, 진동벨 등과 같은 각종 시스템과 연동돼, 보다 편리하게 업장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까지 절약된다. 무엇보다도 21인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업장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나 시설 이용 방법, 행사 등의 안내를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써봇 주문형은 주문결제형 로봇에서 결제 기능만 제외한 제품이다. 따라서 후불결제 매장이나, 결제 등의 과정이 필요하지 않은 요양시설이나 관공서 등에 보다 적합하다. 기능이 간소화된 만큼, 비용 부담도 좀 더 줄일 수 있다.<ref> 박경일 기자,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32 알지티, 써봇 주문형 라인업 2종 공개]〉, 《로봇신문》, 2023-01-26 </ref>
 
{{자세히|써봇}}
 
{{자세히|써봇}}
 
=== 스마트 레스토랑 시스템 ===
 
[[스마트 레스토랑 시스템]](Smart Restaurant System)은 알지티가 자체 개발한 [[서빙로봇]], [[로봇팔]], [[키오스크]] 등 카페 내 다양한 외식업 시스템을 연동시키는 솔루션이다. 사람 없이도 주문∙결제∙제조∙서빙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대한민국 첫 국가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인 에코델타시티(EDC, Eco Delta City) 스마트빌리지(Smart Village) 내에 있는 로봇카페에 도입한 자사 스마트 레스토랑 시스템이 오류 제로(0)를 기록하며 서비스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로봇카페에서는 커피 제조는 물론 테이블 서빙까지 모든 과정을 로봇이 담당한다. 이용 방법도 간단하다. 먼저, 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매장 입구 혹은 테이블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주문결제를 완료하면, 주문을 인식한 로봇팔이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등 음료를 제조한다. 매장 이용 고객일 경우에는 알지티의 서빙로봇인 [[써봇]]이 음료를 테이블까지 배달해주고, 포장 고객의 경우는 로봇팔이 커피를 픽업 존에 내려놓는 방식이다. 알지티에 따르면 2022년 3월부터 4월 말까지 로봇카페 시범 운영을 실시했으며 두 달간 수행된 주문은 400여 건으로, 모든 주문은 인식 오류나 오배송 등 단 한번의 오작동 없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는 알지티가 자체 개발한 스마트 레스토랑 시스템의 역할이 크다. 이러한 로봇카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알지티는 검증된 자사의 스마트 레스토랑 시스템을 향후 다른 외식업장에도 도입해 서빙 로봇뿐만 아니라 서비스 로봇 시스템 전문 회사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ref> 박경일 기자,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348 알지티, ‘스마트 레스토랑 시스템’ 서비스 안정화]〉, 《로봇신문》, 2022-04-28 </ref>
 
  
 
== 제휴 ==
 
== 제휴 ==
75번째 줄: 72번째 줄:
 
* 종합시사매거진, 〈[http://www.sisanews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76 (Power interview) ㈜알지티 정호정 대표]〉, 《종합시사매거진》, 2022-06-15
 
* 종합시사매거진, 〈[http://www.sisanews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76 (Power interview) ㈜알지티 정호정 대표]〉, 《종합시사매거진》, 2022-06-15
 
* 윤진우 기자,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3/03/04/RNDNAIKUEZHY5NQ4VIUPDNL2RE/ (점프업 스타트업)⑫ 정호정 알지티 대표 “100% 토종 기술로 만든 서빙 로봇… 라이다 센서로 자율회피주행 완벽”]〉, 《조선비즈》, 2023-03-04
 
* 윤진우 기자,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3/03/04/RNDNAIKUEZHY5NQ4VIUPDNL2RE/ (점프업 스타트업)⑫ 정호정 알지티 대표 “100% 토종 기술로 만든 서빙 로봇… 라이다 센서로 자율회피주행 완벽”]〉, 《조선비즈》, 2023-03-04
* 박경일 기자,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348 알지티, ‘스마트 레스토랑 시스템’ 서비스 안정화]〉, 《로봇신문》, 2022-04-2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