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트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위메이드트리 로고.png|썸네일|200픽셀|'''㈜위메이드트리'''(Wemade Tree)]]
+
'''위메이드트리'''<!--위메이드 트리-->(Wemade Tree)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 흥행에 성공한 '미르의전설' 등 게임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전문 계열사다. 김석환, 오호은 대표 둘이 각자대표를 맡고 있다.
[[파일:㈜위메이드트리 글자.png|썸네일|300픽셀|'''㈜위메이드트리'''(Wemade Tree)]]
 
[[파일:위메이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위메이드]]'''(Wemade)]]
 
 
 
'''㈜위메이드트리'''<!--위메이드트리, 위메이드 트리-->(Wemade Tree)는 한국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 흥행에 성공한 '[[미르의전설]]' 등 게임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위메이드]]'''(Wemade)의 [[블록체인]] 전문 계열사다. [[김석환]], [[오호은]] 대표 둘이 각자대표를 맡고 있다.
 
 
 
 
==개요==
 
==개요==
 
[[위메이드]]는 매출 다변화를 목적으로 2018년 1월에 블록체인 기술연구 개발회사 위메이드트리를 설립하였다. 업무추진 방향은 블록체인 기술을 게임에 접목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영업전략은 타사 [[플랫폼]]을 이용한 매출영역 확장과 자사 플랫폼 서비스 개척이 있다. 특히, 위메이드트리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도넛트리]]'(위믹스)는 TPS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한 독자적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향후 유저들이 매일 경험하는 인 게임 콘텐츠와 블록체인 시스템을 결합한 완성도 높은 게임을 선보일 예정이다.<ref>인벤팀 기자,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218258&iskin=ncel&mainnews=1 위메이드트리,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 노드브릭과 MOU 체결]〉, 《인벤》, 2019-04-09</ref>
 
[[위메이드]]는 매출 다변화를 목적으로 2018년 1월에 블록체인 기술연구 개발회사 위메이드트리를 설립하였다. 업무추진 방향은 블록체인 기술을 게임에 접목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영업전략은 타사 [[플랫폼]]을 이용한 매출영역 확장과 자사 플랫폼 서비스 개척이 있다. 특히, 위메이드트리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도넛트리]]'(위믹스)는 TPS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한 독자적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향후 유저들이 매일 경험하는 인 게임 콘텐츠와 블록체인 시스템을 결합한 완성도 높은 게임을 선보일 예정이다.<ref>인벤팀 기자,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218258&iskin=ncel&mainnews=1 위메이드트리,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 노드브릭과 MOU 체결]〉, 《인벤》, 2019-04-09</ref>
  
 
==주요 인물==
 
==주요 인물==
;김석환
+
*'''김석환'''
 
김석환 대표는 대한민국 인터넷/게임 1세대로 [[프리첼]], [[NHN]], [[넷마블]]을 거쳐 위메이드에 합류하였다. 프리첼에서 초기 온라인게임 서비스 구축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고, 커뮤니티와 게임의 서비스적 결합에 기여했다. 이후 NHN에서 사업부장, 서비스그룹장, 마케팅실장 등을 거치며 게임 서비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성과를 냈다. 넷마블에서 게임 서비스/퍼블리싱/마케팅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기여한 후, 위메이드로 자리를 옮겨 '카카오 게임' 프로젝트를 [[카카오]]와 협업하여 런칭했다. 현재 위메이드트리의 대표이사로서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사업을 이끌고 있다.
 
김석환 대표는 대한민국 인터넷/게임 1세대로 [[프리첼]], [[NHN]], [[넷마블]]을 거쳐 위메이드에 합류하였다. 프리첼에서 초기 온라인게임 서비스 구축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고, 커뮤니티와 게임의 서비스적 결합에 기여했다. 이후 NHN에서 사업부장, 서비스그룹장, 마케팅실장 등을 거치며 게임 서비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성과를 냈다. 넷마블에서 게임 서비스/퍼블리싱/마케팅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기여한 후, 위메이드로 자리를 옮겨 '카카오 게임' 프로젝트를 [[카카오]]와 협업하여 런칭했다. 현재 위메이드트리의 대표이사로서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사업을 이끌고 있다.
;오호은  
+
*'''오호은'''
 
오호은 대표는 김석환 대표와 같이 각자대표를 맡고 있다. 경력으로 [[CCR]] [[RF온라인]] 서버 프로그램 팀장,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이카루스(PC) 본부장 역할을 하다가 위메이드트리 각자대표로 블록체인 사업을 이끌고 있다.<ref>임일곤 기자, 〈[http://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18/11/05/0018 (비즈人워치)블록체인에 미래건 위메이드 승부사들]〉, 《비즈니스워치》, 2018-11-05</ref>
 
오호은 대표는 김석환 대표와 같이 각자대표를 맡고 있다. 경력으로 [[CCR]] [[RF온라인]] 서버 프로그램 팀장,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이카루스(PC) 본부장 역할을 하다가 위메이드트리 각자대표로 블록체인 사업을 이끌고 있다.<ref>임일곤 기자, 〈[http://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18/11/05/0018 (비즈人워치)블록체인에 미래건 위메이드 승부사들]〉, 《비즈니스워치》, 2018-11-05</ref>
  
24번째 줄: 19번째 줄:
 
==기업 특징==
 
==기업 특징==
 
*'''육아휴직 관련 복리후생 우수 기업''' : 이 인증으로 선정된 기업은 사람인에 등록된 복리후생 기준, '육아 휴직/신전 후 휴가/남성 출산 휴가' 항목이 등록된 기업이다. 인증받은 기업으로 쿠팡㈜, ㈜삼구아이앤씨, 메리츠화재해상보험㈜ 등이 있다.
 
*'''육아휴직 관련 복리후생 우수 기업''' : 이 인증으로 선정된 기업은 사람인에 등록된 복리후생 기준, '육아 휴직/신전 후 휴가/남성 출산 휴가' 항목이 등록된 기업이다. 인증받은 기업으로 쿠팡㈜, ㈜삼구아이앤씨, 메리츠화재해상보험㈜ 등이 있다.
*'''사내 카페테리아 운영 기업''' : 이 인증으로 선정된 기업은 사람인에 등록된 복리후생 기준, 사내 '카페테리아'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인증받은 기업으로 쿠팡㈜, ㈜삼구아이앤씨, ㈜바디프랜드 등이 있다. 실제로 구내식당이 있어 무료로 조식, 중식 제공되며 석식은 야근 시 제공된다. 그 외에 사내 카페가 별도로 있어서, 바리스타 제조 음료 무제한 제공이다.
+
*'''사내 카페테리아 운영 기업''' : 이 인증으로 선정된 기업은 사람인에 등록된 복리후생 기준, 사내 '카페테리아'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인증받은 기업으로 쿠팡㈜, ㈜삼구아이앤씨, ㈜바디프랜드 등이 있다.
 
*'''건강검진 지원 기업''' : 이 인증으로 선정된 기업은 사람인에 등록된 복리후생 기준, '건강검진' 항목이 등록된 기업이다. 인증받은 기업으로 쿠팡㈜, 현대모비스㈜, 한국전력공사 등이 있다.
 
*'''건강검진 지원 기업''' : 이 인증으로 선정된 기업은 사람인에 등록된 복리후생 기준, '건강검진' 항목이 등록된 기업이다. 인증받은 기업으로 쿠팡㈜, 현대모비스㈜, 한국전력공사 등이 있다.
 
*'''휴게실/배려룸 제공 기업''' : 이 인증으로 선정된 기업은 사람인에 등록된 복리후생 기준, '휴게실/배려룸' 항목이 등록된 기업이다. 위메이드트리 외에 인증받은 기업으로 ㈜삼구아이앤씨, ㈜바디프랜드, 메리츠화재해상보험㈜ 등이 있다.<ref>사람인 공식 홈페이지 - http://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3378101007</ref>
 
*'''휴게실/배려룸 제공 기업''' : 이 인증으로 선정된 기업은 사람인에 등록된 복리후생 기준, '휴게실/배려룸' 항목이 등록된 기업이다. 위메이드트리 외에 인증받은 기업으로 ㈜삼구아이앤씨, ㈜바디프랜드, 메리츠화재해상보험㈜ 등이 있다.<ref>사람인 공식 홈페이지 - http://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3378101007</ref>
  
 
==서비스/제품==
 
==서비스/제품==
;위믹스(Wemix)
+
*'''위믹스'''(Wemix)
 
위메이드트리가 개발 중인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으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대비 초당 거래량(TPS)을 높이고, 수수료를 낮춘 블록체인 [[네트워크]]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된 게임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위믹스 네트워크'(Wemix Network)라고도 부르며, 다른 말로 '[[도넛트리]]'라고도 한다.
 
위메이드트리가 개발 중인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으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대비 초당 거래량(TPS)을 높이고, 수수료를 낮춘 블록체인 [[네트워크]]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된 게임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위믹스 네트워크'(Wemix Network)라고도 부르며, 다른 말로 '[[도넛트리]]'라고도 한다.
;방치형 RPG 게임
+
*'''방치형 RPG 게임'''
 
위메이드트리는 [[카카오]]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가 연 '클레이튼 파트너스데이(Klaytn Partners Day)'에서 그라운드X의 파트너사로 참여해, 개발 중인 블록체인 게임을 시연했다. 게임은 대규모 인원이 동시에 접속해 플레이한다. 이는 많은 [[트랜잭션]]과 수수료를 유발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블록체인 게임은 다소 단순한 감이 있다. 게임이 단순하면 즐길 콘텐츠가 없어 라이프 사이클은 짧아진다. 결국 게임사는 블록체인 게임 제작에 많은 리소스를 투입하지 못하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위메이드트리는 하이브리드 구조를 택했다. 게임 서비스는 자체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토큰 이코노미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구현하는 것이다. 게임 트래픽이 늘어나면 서비스 [[체인]]을 하나씩 추가하면 돼, 많은 게임이 들어와도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두 번째 고민은 블록체인의 게임의 진입장벽을 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위메이드트리는 [[구글]]이나 [[페이스북]] 인증 버튼을 누르면 바로 게임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게임을 플레이한 후 자산이 생성되면, 필요한 유저들만 월렛을 생성해 각자 활용하면 되는 식이다. 이날 시연한 게임은 자체 개발 IP(지식재산권)로, 자동사냥을 넘어 게임에 접속하지 않아도 알아서 성장하는 손쉬운 플레이가 특징이다. "자산을 확보하기 가장 좋은 장르"라서 블록체인 게임으로 낙점했다는 것이 김석환 대표의 설명이다.<ref>유다정 기자,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281 위메이드트리, 블록체인 게임 첫 시연...장르는 방치형 RPG]〉, 《디지털투데이》, 2019-03-20</ref>
 
위메이드트리는 [[카카오]]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가 연 '클레이튼 파트너스데이(Klaytn Partners Day)'에서 그라운드X의 파트너사로 참여해, 개발 중인 블록체인 게임을 시연했다. 게임은 대규모 인원이 동시에 접속해 플레이한다. 이는 많은 [[트랜잭션]]과 수수료를 유발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블록체인 게임은 다소 단순한 감이 있다. 게임이 단순하면 즐길 콘텐츠가 없어 라이프 사이클은 짧아진다. 결국 게임사는 블록체인 게임 제작에 많은 리소스를 투입하지 못하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위메이드트리는 하이브리드 구조를 택했다. 게임 서비스는 자체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토큰 이코노미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구현하는 것이다. 게임 트래픽이 늘어나면 서비스 [[체인]]을 하나씩 추가하면 돼, 많은 게임이 들어와도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두 번째 고민은 블록체인의 게임의 진입장벽을 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위메이드트리는 [[구글]]이나 [[페이스북]] 인증 버튼을 누르면 바로 게임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게임을 플레이한 후 자산이 생성되면, 필요한 유저들만 월렛을 생성해 각자 활용하면 되는 식이다. 이날 시연한 게임은 자체 개발 IP(지식재산권)로, 자동사냥을 넘어 게임에 접속하지 않아도 알아서 성장하는 손쉬운 플레이가 특징이다. "자산을 확보하기 가장 좋은 장르"라서 블록체인 게임으로 낙점했다는 것이 김석환 대표의 설명이다.<ref>유다정 기자,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281 위메이드트리, 블록체인 게임 첫 시연...장르는 방치형 RPG]〉, 《디지털투데이》, 2019-03-20</ref>
;위믹스 폰(Wemix Phone)
 
위메이드트리는 2020년 6월 25일 삼성전자와 함께 갤럭시 S20 기반 스마트폰인 위믹스 폰<ref>위믹스 폰(Wemix Phone) <[http://wemixphone.com/ http://wemixphone.com/]></ref>을 출시했다. 구매자에게는 위믹스 토큰 2400개가 지급되며, 위믹스 월렛이 기본 탑재된다.
 
  
 
==파트너/협력사==
 
==파트너/협력사==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