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프라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파워프라자'''<!--파워프라자, 파워 프라자, 파워플라자, 파워 플라자-->(Power Plaza)는 1993년 창립되어, 표준화된 700여종의 전원공급장치를 개발, 생산, 판매하여 국내 산업용 파워서플라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이다. 대표는 '''[[김성호 (파워프라자)|김성호]]'''이다.
 
'''㈜파워프라자'''<!--파워프라자, 파워 프라자, 파워플라자, 파워 플라자-->(Power Plaza)는 1993년 창립되어, 표준화된 700여종의 전원공급장치를 개발, 생산, 판매하여 국내 산업용 파워서플라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이다. 대표는 '''[[김성호 (파워프라자)|김성호]]'''이다.
{{:자동차 배너|경차}}
 
  
 
== 개요 ==
 
== 개요 ==
 
㈜파워프라자는 1993년 창립 이후 끊임없는 기술혁신으로 디씨-디씨 컨버터(DC-DC Converter), 에이씨-디씨 컨버터(AC-DC Converter) 등 표준화된 700여 종의 전원공급 장치(SMPS)를 개발, 생산, 판매하여 국내 산업용 [[파워서플라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친환경경영방침’을 선언하고 축적된 전력/전자 기술력을 바탕으로 EV 파워트레인 솔루션 연구, EV 관련 부품개발, 고속 전기차 연구개발 및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파워프라자는 배터리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인버터 등을 일체화한 모듈 형태의 파워트레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차량용 온보드차저(OBC)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전자제어장치, 전기모터 관리 시스템 등 소프트웨어(SW) 기술도 확보했다.<ref> JunG, 〈[https://cafe.naver.com/ev9/2534 파워프라자, 개조전기차 플랫폼 시장 개척한다]〉, 《네이버 카페 - i-EV 전기차동호회》, 2017-09-04</ref> 그리고 국내 최초로 0.5톤 전기 트럭 피스(Peace)를 개발하여,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에서 국내 안전인증을 받고 상용화하였다. 또한 2015년부터는 환경부 전기자동차 보급 차량으로 선정되어 친환경 전기자동차 보급에 앞장서며 전기차 개발을 위해 고급 소프트웨어(Software) 및 하드웨어(HardWare)를 도입하여,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파워프라자의 핵심 가치는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신뢰받는 투명하고, 부조리가 없는 아름다운 기업 이미지를 추구하는 모럴리티(Morality), 시대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며, 끊임없이 배우고 변화하고 혁신하는 이노베이션(Innovation), 미래 자연환경을 생각하며, 에너지 절약에 앞장서는 그린(Green)이 있다.
 
㈜파워프라자는 1993년 창립 이후 끊임없는 기술혁신으로 디씨-디씨 컨버터(DC-DC Converter), 에이씨-디씨 컨버터(AC-DC Converter) 등 표준화된 700여 종의 전원공급 장치(SMPS)를 개발, 생산, 판매하여 국내 산업용 [[파워서플라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친환경경영방침’을 선언하고 축적된 전력/전자 기술력을 바탕으로 EV 파워트레인 솔루션 연구, EV 관련 부품개발, 고속 전기차 연구개발 및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파워프라자는 배터리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인버터 등을 일체화한 모듈 형태의 파워트레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차량용 온보드차저(OBC)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전자제어장치, 전기모터 관리 시스템 등 소프트웨어(SW) 기술도 확보했다.<ref> JunG, 〈[https://cafe.naver.com/ev9/2534 파워프라자, 개조전기차 플랫폼 시장 개척한다]〉, 《네이버 카페 - i-EV 전기차동호회》, 2017-09-04</ref> 그리고 국내 최초로 0.5톤 전기 트럭 피스(Peace)를 개발하여,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에서 국내 안전인증을 받고 상용화하였다. 또한 2015년부터는 환경부 전기자동차 보급 차량으로 선정되어 친환경 전기자동차 보급에 앞장서며 전기차 개발을 위해 고급 소프트웨어(Software) 및 하드웨어(HardWare)를 도입하여,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파워프라자의 핵심 가치는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신뢰받는 투명하고, 부조리가 없는 아름다운 기업 이미지를 추구하는 모럴리티(Morality), 시대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며, 끊임없이 배우고 변화하고 혁신하는 이노베이션(Innovation), 미래 자연환경을 생각하며, 에너지 절약에 앞장서는 그린(Green)이 있다.
  
파워프라자 부설 중앙 연구소는 2004년도에 설립되어 풍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파워 모듈 개발에 주력하는 아날로그 파워 연구팀,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기술 혁신을 이룩하기 위한 디지털 파워 연구팀, 기계적 매커니즘을 담당하는 기구팀, 미래 기술을 연구하는 EV 연구팀, 그리고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팀으로 구성되어있다. 최적의 전기자동차 개발을하며, EV 컨버젼 키트 개발, 최적의 전력 효율 알고리즘을 구현하며, 리튬계열 배터리셀을 직·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환경이나 EV 조건에 맞도록 최적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였고 배터리팩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 부터 구조 해석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배터리팩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위해 충·방전 시험, 고온·저온 특성시험, 진동, 외부충격 시험 등을 하였다. EV 연구를 통해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여 축전지의 수명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배터리팩 내부 온도 측정 기능, 축전지 셀 전압 측정 및 밸런싱 기능, 잔존량 추정 기능, 전체 전류 측정 및 적산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축전지 데이타 로깅 및 모니터링 기능을 연구하였다. 축전지 수명을 추정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모니터링을 위한 통신 회로도 개발하였다. 탄소 섬유등 고강도/ 초경량화 소재를 이용한 차량 설계 기술을 개발하였다. 쓰리디 스캐너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구조 해석 및 부품 설계 개조에 필요한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했다.
+
파워프라자 부설 중앙 연구소는 2004년도에 설립되어 풍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파워 모듈 개발에 주력하는 아날로그 파워 연구팀,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기술 혁신을 이룩하기 위한 디지털 파워 연구팀, 기계적 매커니즘을 담당하는 기구팀, 미래 기술을 연구하는 EV 연구팀, 그리고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팀으로 구성되어있다. 최적의 전기 자동차 개발을하며, EV 컨버젼 키트 개발, 최적의 전력 효율 알고리즘을 구현하며, 리튬계열 배터리셀을 직·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환경이나 EV 조건에 맞도록 최적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였고 배터리팩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 부터 구조 해석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배터리팩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위해 충·방전 시험, 고온·저온 특성시험, 진동, 외부충격 시험 등을 하였다. EV 연구를 통해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여 축전지의 수명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배터리팩 내부 온도 측정 기능, 축전지 셀 전압 측정 및 밸런싱 기능, 잔존량 추정 기능, 전체 전류 측정 및 적산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축전지 데이타 로깅 및 모니터링 기능을 연구하였다. 축전지 수명을 추정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모니터링을 위한 통신 회로도 개발하였다. 탄소 섬유등 고강도/ 초경량화 소재를 이용한 차량 설계 기술을 개발하였다. 쓰리디 스캐너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구조 해석 및 부품 설계 개조에 필요한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했다.
  
 
== 연혁 ==
 
== 연혁 ==
53번째 줄: 52번째 줄:
 
[[파일:피스 1.0톤.jpg|썸네일|300픽셀|'''피스 1.0톤''']]
 
[[파일:피스 1.0톤.jpg|썸네일|300픽셀|'''피스 1.0톤''']]
  
봉고3ev피스는 기아차 1톤급 트럭 '봉고3'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봉고3ev피스는 택배업이나 용달업 등 국내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단거리 화물  운송에 최적이다. 또한 60kW급 인덕션 모터(Induction motor)를 채용하여 최대토크 193Nm로 강력한 파워를 자랑한다. 엘지화학의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해 1회 충전에 따른 국내 인증거리는 130km이다. 차량 가격은 6000만원 중반으로 2019년 환경부의 전기트럭 보조금(1800만 원)과 지자체 추가 지원금(600만~900만 원)을 합하면 3000만원 초반에 구매할 수 있다. 보통의 전기 트럭은 차량 좌우에 배터리를 달아 더블캡(초장축형), 냉장탑차 적용에 어려움이 있으나, 봉고 피스는 차체하단에 배터리를 배치해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다. 기존 차량의 변속 장치를 유지해 저속부터 고속까지 고른 힘을 내는 것도 차별화된 강점이다. 봉고 EV 피스는 독일 린데사의 60kW급 모터와 40.1kWh급 배터리를 탑재해 최대 80마력, 충전 주행거리 130km다. 충전 방식은 급속'디씨 콤보'와 '에이씨 3상'을 지원하고 7kW급 완속과 220볼트 일반 전기 코드까지 이용 가능하다. 두개의 충전 인렛이 차량에 장착되어 완속(8시간)/중속(3시간) 충전모드가 가능하고 운전자를 위한 주행 편의 기능으로 8인치 터치스크린을 장착하여 조작이 편리함은 물론 내비게이션, 충전정보, 주행정보, 배터리 정보 등 주행에 필요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ref>박태준 기자, 〈[https://www.etnews.com/20191205000308 파워프라자, 현대·기아차 보다 한발 먼저 '1톤급 전기트럭'출시]〉, 《이티뉴스》, 2019-12-05</ref><ref>안성렬 기자, 〈[http://www.ceo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6 (단독 인터뷰) 김성호 ㈜파워프라자 대표]〉, 《씨이오뉴스》, 2017-12-05</ref>   
+
봉고3ev피스는 기아차 1톤급 트럭 '봉고3'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봉고3ev피스는 택배업이나 용달업 등 국내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단거리 화물  운송에 최적이다. 또한 60kW급 인덕션 모터(Induction motor)를 채용하여 최대토크 193Nm로 강력한 파워를 자랑한다. 엘지화학의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해 1회 충전에 따른 국내 인증거리는 130km이다. 차량 가격은 6000만원 중반으로 2019년 환경부의 전기트럭 보조금(1800만 원)과 지자체 추가 지원금(600만~900만 원)을 합하면 3000만원 초반에 구매할 수 있다. 보통의 전기 트럭은 차량 좌우에 배터리를 달아 더블캡(초장축형), 냉장탑차 적용에 어려움이 있으나, 봉고 피스는 차체하단에 배터리를 배치해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다. 기존 차량의 변속 장치를 유지해 저속부터 고속까지 고른 힘을 내는 것도 차별화된 강점이다. 봉고 EV 피스는 독일 린데사의 60kW급 모터와 40.1kWh급 배터리를 탑재해 최대 80마력, 충전 주행거리 130km다. 충전 방식은 급속'디씨 콤보'와 '에이씨 3상'을 지원하고 7kW급 완속과 220볼트 일반 전기 코드까지 이용 가능하다. 두개의 충전 인렛이 차량에 장착되어 완속(8시간)/중속(3시간) 충전모드가 가능하고 운전자를 위한 주행 편의 기능으로 8인치 터치스크린을 장착하여 조작이 편리함은 물론 네비게이션, 충전정보, 주행정보, 배터리 정보 등 주행에 필요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ref>박태준 기자, 〈[https://www.etnews.com/20191205000308 파워프라자, 현대·기아차 보다 한발 먼저 '1톤급 전기트럭'출시]〉, 《이티뉴스》, 2019-12-05</ref><ref>안성렬 기자, 〈[http://www.ceo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6 (단독 인터뷰) 김성호 ㈜파워프라자 대표]〉, 《씨이오뉴스》, 2017-12-05</ref>   
  
 
; 라보ev피스
 
; 라보ev피스
63번째 줄: 62번째 줄:
 
[[파일:마스터 이브이 피스.jpg|썸네일|300픽셀|'''마스터 EV 피스''']]
 
[[파일:마스터 이브이 피스.jpg|썸네일|300픽셀|'''마스터 EV 피스''']]
  
마스터 EV 피스는 오랜 충전 시간, 높은 충전기 설치 비용 등 충전 불편을 개선한 모듈 교체식 전기차이다. 또한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로 기존 전기자동차 대비 신속한 (교체) 충전으로 사업장의(택배, 물류배송 등) 효율적인 전기차 운영이 가능하다. 마스터 EV 피스 도입 배경은 셔틀 노동자 근로환경 및 어린이 통학환경 개선 때문이다. 전기 승합차의 이용으로 인한 차량 유지비 및 운영비가 절감되고 13~15인승의 전기 승합차로 효율적이며 승차감과 안전성이 뛰어나 정해진 동선을 운행하는 셔틀버스에 최적화되어있다. 또한 전륜구동의 차량구조로 하부 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고용량 배터리를 장착 가능하고 안정적인 구조설계로 배터리 교체 시 작업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증대된다. 일반 EV 충전기 이용 시 완속 10시간/급속 2시간이지만 배터리 교체 시스템을 적용하면 5분~10분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기& 충전소가 불필요하여 예산이 절감되고, 차량 제작 시 오비씨 및 충전 관련 부품이 제외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기존 설치된 리프트를 이용한 수동 교체가 가능하여 시설 비용도 절감된다. 교체는 충전 스테이션 차량이 입고된 후 배터리 모듈을 빼고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 모듈이 준비되면 배터리 모듈을 장착해 차량이 다시 출고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
마스터 EV 피스는 오랜 충전 시간, 높은 충전기 설치 비용 등 충전 불편을 개선한 모듈 교체식 전기차이다. 또한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로 기존 전기 자동차 대비 신속한 (교체) 충전으로 사업장의(택배, 물류배송 등) 효율적인 전기차 운영이 가능하다. 마스터 EV 피스 도입 배경은 셔틀 노동자 근로환경 및 어린이 통학환경 개선 때문이다. 전기 승합차의 이용으로 인한 차량 유지비 및 운영비가 절감되고 13~15인승의 전기 승합차로 효율적이며 승차감과 안전성이 뛰어나 정해진 동선을 운행하는 셔틀버스에 최적화되어있다. 또한 전륜구동의 차량구조로 하부 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고용량 배터리를 장착 가능하고 안정적인 구조설계로 배터리 교체 시 작업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증대된다. 일반 EV 충전기 이용 시 완속 10시간/급속 2시간이지만 배터리 교체 시스템을 적용하면 5분~10분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기& 충전소가 불필요하여 예산이 절감되고, 차량 제작 시 오비씨 및 충전 관련 부품이 제외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기존 설치된 리프트를 이용한 수동 교체가 가능하여 시설 비용도 절감된다. 교체는 충전 스테이션 차량이 입고된 후 배터리 모듈을 빼고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 모듈이 준비되면 배터리 모듈을 장착해 차량이 다시 출고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 피스 냉동 탑차
 
; 피스 냉동 탑차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