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이글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2번째 줄: 82번째 줄:
 
==역대 드래프트==
 
==역대 드래프트==
 
===~2000년대 중반===
 
===~2000년대 중반===
대전팜은 북일고, 대전고, 공주고, 청주고, 세공고 정도밖에 없어서 숫적으로 크게 열세였으며 질적으로도 북일고를 제외하면 나머지 팜들도 그저 그런 수준이었기에 고졸우선지명과 연고지역 1차 지명 제도를 폐지하는데 앞장선 구단이며 결국 고졸우선지명은 1999년 지명을 마지막으로 폐지하고 연고 1차 지명도 2009년 드래프트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가 부활했지만 22년부터 다시 폐지가 예정되어 있다. 아이러니한 점은 고졸 우선지명과 1차지명이 폐지된 그 해에 한화의 팜 내부지역에서 그 해의 최대어가 배출되었다는 점이다. 고졸우선지명의 경우에는 조규수, 마일영이 배출되었고 한화의 스카우트진들은 고뇌에 빠질 수 밖에 없었다. 결국 한화는 조규수를 택했다. 재미있는 건 이 조규수는 2010년 두산에 트레이드 했는데,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일영을 트레이드로 영입해서 결국 두 선수 모두 한화에 몸을 담아보게 되었다. 1차지명의 경우에는 2010년에 연고 고교인 천안북일고에서 신정락이 배출되었는데(고교 졸업은 2006년) 2010년 신인지명부터 1차지명이 폐지되었기에 전체 1번으로 LG 트위스가 신정락을 지명했고 한화는 라운드 4번으로 북일고 투수 김용주를 지명하였다. 22년도 역시 북일고의 1학년들 중 투수 최대어이자 프로야구 역사에서도 손꼽힐 수준의 투수 유망주로 기대되는 심준석의 뒤에 지명받을만한 타자 최대어인 양재호가 있어, 심준석이 메이저로 직행하고 한화가 혹여나 꼴찌를 하지 않으면 역사가 반복될 수도 있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팜에서 특이점으로는 북일고가 팜 내에 좋은 선수가 없다는 1차적인 이유에 한화재단에서 운영하는 학교라는 정치적인 이유까지 겹쳐 북일고 선수가 지명되는 선수가 많다는 점이다. 2010년에 들어서 이러한 현상이 더 심화돼서 1차지명 부활 후 비 북일출신 1차지명이 청주고 출신 황영국이 유일하다. 그러나 그에 비해 이상군, 김태균, 안영명, 유원상 정도를 제외하면 꾸준히 픽한 북일고에서 배출해낸 주전급 선수가 그다지 없기에 반발도 많다. 이 때문에 빙그레 시절부터 북일파와 비북일파(대전고, 공주고, 세광고, 청주고(청주기공고)등) 간의 갈등이 팀 내에 계속해서 존재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해 애초에 근거가 빈약하다며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과거의 신인 픽의 방침은 유난히 선수가 가진 하드웨어에 집중하여 뽑는 경향이 강했으며 조금이라도 애매하면 무조건 덩치를 보고 픽하고 했다. 제일 대표적인 케이스가 오승환을 거르고 뽑았던 양훈이다. 투수진은 물론이고 야수진도 대체로 덩치있는 선수를 우선적으로 봤는데 이 덕분에 덩치가 있기 좋은 코너 포지션의 거포 유망주는 항상 쌓아놓고 있었고, 10년대 후반 들어 팀 타선이 심각하게 막장화가 되기 이전까지 팀 내 주포역할을 해줄 장타능력을 갖춘 타자는 항상 한 명씩은 데리고 있었다. 19시즌 이전 최악의 시즌이었던 2010년 시즌에도 최진행이 타자진에서 버티고 있었을 정도이다. 반대로 야구 센스와 스킬을 장기로 삼는 선수는 기피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이 때문에 테이블 세터가 될 만한 타자와 사이즈가 작아야 하는 내야 센터 라인의 선수들은 꾸준히 기근을 겪었다. 99년대 후반부터 장기간 1번타자로 뛰었던 이영우조차도 작은체구는 아니었다. 이영우가 군 입대 후 커리어가 꺾인 뒤 강동우가 이 자리를 메꾸다가 결국 2013년 시즌 이후 정근우, 이용규를 FA로 영입하면서 메꿨다. 이상할 정도로 포수 지원을 수집하는 경향도 있다. 정범모, 한승택, 이준수, 이희근, 박노민, 엄태용 등이 있다. 그러나 지명 빈도와 투자에 비하면 육성능력 부족으로  결과물은 그저 그랬고 결국 포수도 트레이드로 틈을 메꿨다.<ref name="나무"></ref>
+
대전팜은 북일고, 대전고, 공주고, 청주고, 세공고 정도밖에 없어서 숫적으로 크게 열세였으며 질적으로도 북일고를 제외하면 나머지 팜들도 그저 그런 수준이었기에 고졸우선지명과 연고지역 1차 지명 제도를 폐지하는데 앞장선 구단이며 결국 고졸우선지명은 1999년 지명을 마지막으로 폐지하고 연고 1차 지명도 2009년 드래프트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가 부활했지만 22년부터 다시 폐지가 예정되어 있다. 아이러니한 점은 고졸 우선지명과 1차지명이 폐지된 그 해에 한화의 팜 내부지역에서 그 해의 최대어가 배출되었다는 점이다. 고졸우선지명의 경우에는 조규수, 마일영이 배출되었고 한화의 스카우트진들은 고뇌에 빠질 수 밖에 없었다. 결국 한화는 조규수를 택했다. 재미있는 건 이 조규수는 2010년 두산에 트레이드 했는데,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일영을 트레이드로 영입해서 결국 두 선수 모두 한화에 몸을 담아보게 되었다. 1차지명의 경우에는 2010년에 연고 고교인 천안북일고에서 신정락이 배출되었는데(고교 졸업은 2006년) 2010년 신인지명부터 1차지명이 폐지되었기에 전체 1버능로 LG 트위스가 신정락을 지명했고 한화는 라운드 4번으로 북일고 투수 김용주를 지명하였다. 22년도 역시 북일고의 1학년들 중 투수 최대어이자 프로야구 역사에서도 손꼽힐 수준의 투수 유망주로 기대되는 심준석의 뒤에 지명받을만한 타자 최대어인 양재호가 있어, 심준석이 메이저로 직행하고 한화가 혹여나 꼴지를 하지 않으면 역사가 반복될수도 있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팜에서 특이점으로는 북일고가 팜 내에 좋은 선수가 없다는 1차적인 이유에 한화재단에서 운영하는 학교라는 정치적인 이유까지 겹쳐 북일고선수가 지명되는 선수가 많다는 점이다. 2010년에 들어서 이러한 현상이 더 심화돼서 1차지명 부활 후 비 북일출신 1차지명이 청주고 출신 황영국이 유일하다. 그러나 그에 비해 이상군, 김태균, 안영명, 유원상 정도를 제외하면 꾸준히 픽한 북일고에서 배출해낸 주전급 선수가 그다지 없기에 반발도 많다. 이 때문에 빙그레 시절부터 북일파와 비북일파(대전고, 공주고, 세광고, 청주고(청주기공고)등) 간의 갈등이 팀 내에 계속해서 존재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해 애총 근거가 빈약하다며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과거의 신인 픽의 방침은 유난히 선수가 가진 하드웨어에 집중하여 뽑는 경향이 강했으며 조금이라도 애매하면 무조건 떡대를 보고 픽하고 했다. 제일 대표적인 케이스가 오승환을 거르고 뽑았던 양훈이다. 투수진은 물론이고 야수진도 대체로 떡대를 우선적으로 봤는데 이 덕분에 떡대가 있기 좋은 코너 포지션의 거포 유망주는 항상 쌓아놓고 있었고, 10년대 후반 들어 팀 타선이 심각하게 막자오하가 되기 이전까지 팀 내 주포역할을 해줄 장타능력을 갖춘 타자는 항상 한명씩은 데리고 있었다. 19시즌 이전 최악의 시즌이었던 2010년 시즌에도 최진행이 타자진에서 버티고 있었을 정도이다. 반대로 야구 센스와 스킬을 장기로 삼는 선수는 기피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이 때문에 테이블 세터가 될 만한 타자와 사이즈가 작아야 하는 내야 센터 라인의 선수들은 꾸준히 기근을 겪었다. 99년대 후반부터 장기간 1번타자로 뛰었던 이영우조차도 작은체구는 아니었다. 이영우가 군 입대 후 커리어가 꺽인 뒤 강동우가 이 자리를 메꾸다가 결국 2013년 시즌 이후 정근우, 이용규를 FA로 영입하면서 메꿧다. 이상할정도로 포수 지원을 수집하는 경향도 있다. 정범모, 한승택, 이준수, 이희근, 박노민, 엄태용 등이 있다. 그러나 지명 빈도와 투자에 비하면 육성능력 부조긍로 결과물은 그저 그랬고 결국 포수도 트레이드로 틈을 메꿧다.<ref name="나무"></ref>
  
 
===2004년~2009년===
 
===2004년~2009년===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