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도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번째 줄: 9번째 줄: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대치동·일원동·수서동을 통과하는 간선도로이다. 동부간선도로의 명칭은 서울 북동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데서 이름 지어졌으며 연장33km, 폭26m, 왕복6차선 도로이다. 동부간선도로는 상계동 택지개발에 대한 교통대책으로 1989년 개통되었다. 개통 이후 교통량과 병목 현상의 증가로 2009년 병목구간 확장사업에 착수하였다.<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동부간선도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2021-01-06</ref>  
 
동부간선도로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대치동·일원동·수서동을 통과하는 간선도로이다. 동부간선도로의 명칭은 서울 북동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데서 이름 지어졌으며 연장33km, 폭26m, 왕복6차선 도로이다. 동부간선도로는 상계동 택지개발에 대한 교통대책으로 1989년 개통되었다. 개통 이후 교통량과 병목 현상의 증가로 2009년 병목구간 확장사업에 착수하였다.<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동부간선도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2021-01-06</ref>  
상경초등학교에서 용비교까지의 18.1㎞ 구간은 왕복6∼8차로로 1994년 4월 30일 개통되었고, 강남구 수서인처체인지에서 송파구 장지인터체인지를 거쳐 성남시계에 이르는 3.9㎞ 구간은 왕복6차로로 1997년 5월 26일 개통되었으며, 올림픽대로에서 강남구 수서인터체인지까지의 4.7㎞ 구간은 왕복6차로로 1999년 6월 30일 개통되었다. 한천·중랑천을 따라 이어지다가 성수동1가 685번지에서 성수동2가 87-1번지에 이르는 3.5㎞ 구간은 강변북로와 겹친다. 청담대교를 건너 고가도로로 건설되어 청담교·봉은교·삼성교·탄천2교·탄천1교 위를 지나 탄천교 위에 이르면서 수서-장지간도시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상행선과 하행선은 광진구 성정동 지점에서 나뉘었다가 당현4교에서 다시 합쳐진다. 수락초등학교에서 동1로와 이어지며, 동1로·동2로와 나란히 달리고, 방학로·화계사길·월계로·화랑로·망우로·봉우재길·겸재길·사가정길·답십리길·천호대로·광나룻길·구의로·뚝섬길·남부순환로와 연결·교차된다. 북쪽으로 의정부시 장암동으로 이어지고, 노원교·상계대교·창동교·녹천교·월계1교·한천교·월릉교·이화교·중랑교·장안교·장평교·군자교·성동교를 통해 도봉구 도봉동·방학동·창동, 노원구 월계동, 성북구 석관동, 동대문구 이문동·휘경동·장안동, 성동구 송정동·용답동·응봉동·행당동으로 연결된다. 그밖의 주요 통과지역은 노원구 상계동·중계동·하계동·공릉동, 중랑구 묵동·중화동·상봉동·면목동, 광진구 중곡동·군자동·송정동, 성동구 성수동, 강남구 삼성동·대치동·일원동·수서동, 송파구 문정동이다. 수락산·도봉산 및 상계근린공원·길말근린공원·느티울근린공원·대진공원·일원공원 등이 있다.  지하철 4·6·7호선과 경춘선·중앙선이 지나며, 서울종합운동장과 서울가락동 농수산물 종합 도매시장을 지난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178 동부간선도로(東部幹線道路)]〉, 《두산백과》</ref>
+
상경초등학교에서 용비교까지의 18.1㎞ 구간은 왕복6∼8차로로 1994년 4월 30일 개통되었고, 강남구 수서인처체인지에서 송파구 장지인터체인지를 거쳐 성남시계에 이르는 3.9㎞ 구간은 왕복6차로로 1997년 5월 26일 개통되었으며, 올림픽대로에서 강남구 수서인터체인지까지의 4.7㎞ 구간은 왕복6차로로 1999년 6월 30일 개통되었다. 한천·중랑천을 따라 이어지다가 성수동1가 685번지에서 성수동2가 87-1번지에 이르는 3.5㎞ 구간은 강변북로와 겹친다. 청담대교를 건너 고가도로로 건설되어 청담교·봉은교·삼성교·탄천2교·탄천1교 위를 지나 탄천교 위에 이르면서 수서-장지간도시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상행선과 하행선은 광진구 성정동 지점에서 나뉘었다가 당현4교에서 다시 합쳐진다. 수락초등학교에서 동1로와 이어지며, 동1로·동2로와 나란히 달리고, 방학로·화계사길·월계로·화랑로·망우로·봉우재길·겸재길·사가정길·답십리길·천호대로·광나룻길·구의로·뚝섬길·남부순환로와 연결·교차된다. 북쪽으로 의정부시 장암동으로 이어지고, 노원교·상계대교·창동교·녹천교·월계1교·한천교·월릉교·이화교·중랑교·장안교·장평교·군자교·성동교를 통해 도봉구 도봉동·방학동·창동, 노원구 월계동, 성북구 석관동, 동대문구 이문동·휘경동·장안동, 성동구 송정동·용답동·응봉동·행당동으로 연결된다. 그밖의 주요 통과지역은 노원구 상계동·중계동·하계동·공릉동, 중랑구 묵동·중화동·상봉동·면목동, 광진구 중곡동·군자동·송정동, 성동구 성수동, 강남구 삼성동·대치동·일원동·수서동, 송파구 문정동이다. 수락산·도봉산 및 상계근린공원·길말근린공원·느티울근린공원·대진공원·일원공원 등이 있다.  지하철 4·6·7호선과 경춘선·중앙선이 지나며, 서울종합운동장과 서울가락동농수산물종합도매시장을 지난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178 동부간선도로(東部幹線道路)]〉, 《두산백과》</ref>
  
 
==서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