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거울'''이란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 뒤쪽에 아말감을 바르고 그 위에 습기를 막는 연단을 칠해서 만든다.<ref name="거울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A%B1%B0%EC%9A%B8 거울]〉, 《위키백과》</ref>
 
[[파일:거울.png|썸네일|300픽셀|'''거울''']]
 
[[파일:거울.png|썸네일|300픽셀|'''거울''']]
 
'''거울'''이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 뒤쪽에 [[아말감]]을 바르고 그 위에 습기를 막는 연단을 칠해서 만든다.<ref name="거울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A%B1%B0%EC%9A%B8 거울]〉, 《위키백과》</ref>
 
{{:자동차 배너|토막글}}
 
 
 
==개요==
 
==개요==
거울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물건]]이다. 옛날에는 [[구리]]나 [[돌]]을 매끄럽게 갈아서 만들었는데, 지금은 보통 유리 뒤쪽에 [[아말감]]을 발라 만든다.<ref name="거울사전">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462428d43be40fc936b085b2e473abb 거울]〉, 《네이버 국어사전》</ref>
+
거울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물건이다. 옛날에는 구리나 돌을 매끄럽게 갈아서 만들었는데, 지금은 보통 유리 뒤쪽에 아말감을 발라 만든다.<ref name="거울사전">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462428d43be40fc936b085b2e473abb 거울]〉, 《네이버 국어사전》</ref>
  
 
==역사==
 
==역사==
39번째 줄: 36번째 줄:
 
===매직미러===
 
===매직미러===
 
[[매직미러]](magic mirror)란 한쪽에서 보면 반대쪽의 물체를 볼 수 있으나, 반대쪽에서는 한쪽의 물체를 볼 수 없도록 제작된 거울이다. 유리의 한쪽 면에 금속을 진공증 착하여 [[반사율]]을 50% 정도로 하여 만드는 것으로, 증착면 쪽에서는 금속 표면에 빛이 반사하여 그 건너편을 보기가 어렵다.<ref name="네이버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6621&cid=40942&categoryId=32233 일반투명경]〉, 《네이버 지식백과》</ref> 매직미러는 거울에 붙이는 금속을 통상의 거울보다 얇게 붙인 것이다. 어느 상황에서나 한쪽에서만 보이는 것은 아니고, 어두운 쪽에서 볼 때는 잘 보이나, 밝은 쪽에서 보면 잘 안 보이는 유리이다. 일반적인 밤 시간대의 유리창을 생각하면 된다. 진짜 거울과 매직미러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유리창에 손가락 끝을 대보았을 때 비친 손가락과 진짜 손가락이 맞닿으면 진짜 거울, 둘 사이에 약간의 갭이 있으면 매직미러라는 속설이 있으나 이는 반만 맞는 말이다. 둘 다 만드는 원리는 똑같고 뒤에 칠한 금속 피막의 두께만 다를 뿐인데 다른 상이 나타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ref> 〈[https://namu.wiki/w/%EB%A7%A4%EC%A7%81%EB%AF%B8%EB%9F%AC 매직미러]〉, 《나무위키》 </ref>
 
[[매직미러]](magic mirror)란 한쪽에서 보면 반대쪽의 물체를 볼 수 있으나, 반대쪽에서는 한쪽의 물체를 볼 수 없도록 제작된 거울이다. 유리의 한쪽 면에 금속을 진공증 착하여 [[반사율]]을 50% 정도로 하여 만드는 것으로, 증착면 쪽에서는 금속 표면에 빛이 반사하여 그 건너편을 보기가 어렵다.<ref name="네이버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6621&cid=40942&categoryId=32233 일반투명경]〉, 《네이버 지식백과》</ref> 매직미러는 거울에 붙이는 금속을 통상의 거울보다 얇게 붙인 것이다. 어느 상황에서나 한쪽에서만 보이는 것은 아니고, 어두운 쪽에서 볼 때는 잘 보이나, 밝은 쪽에서 보면 잘 안 보이는 유리이다. 일반적인 밤 시간대의 유리창을 생각하면 된다. 진짜 거울과 매직미러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유리창에 손가락 끝을 대보았을 때 비친 손가락과 진짜 손가락이 맞닿으면 진짜 거울, 둘 사이에 약간의 갭이 있으면 매직미러라는 속설이 있으나 이는 반만 맞는 말이다. 둘 다 만드는 원리는 똑같고 뒤에 칠한 금속 피막의 두께만 다를 뿐인데 다른 상이 나타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ref> 〈[https://namu.wiki/w/%EB%A7%A4%EC%A7%81%EB%AF%B8%EB%9F%AC 매직미러]〉, 《나무위키》 </ref>
 +
 +
===룸미러===
 +
[[파일:리어미러.png|썸네일|300픽셀|'''[[룸미러]]'''(rear-view mirror)]]
 +
[[룸미러]](rear-view mirror)는 자동차의 후방을 확인하기 위한 거울로 흔히 [[백미러]]라고 하지만 [[리어뷰 미러]] 혹은 인사이드 미러라는 명칭이 정확한 명칭이다. 비스듬한 시야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볼록면 커브를 가진 사이드 미러와 달리, 룸미러는 후방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왜곡 없이 확인한다는 점에서 [[평면거울]]을 사용한다.<ref name="쌍용">〈[https://allways.smotor.com/%EC%9E%90%EB%8F%99%EC%B0%A8-%EC%95%88%EC%9D%98-%EC%88%A8%EC%9D%80-%EA%B1%B0%EC%9A%B8-%EC%B0%BE%EA%B8%B0-%EC%A2%85%EB%A5%98-%EB%B0%8F-%EC%97%AD%ED%95%A0-%EC%95%8C%EC%95%84%EB%B3%B4%EA%B8%B0/ 왜곡으로 더 멀리 봐요, 사이드 미러]〉, 《쌍용자동차 공식 블로그》, 2018-06-13 </ref>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데, 후방 차량의 [[전조등]]이 높게 설치된 경우, 전조등 불빛이 [[룸미러]]에 반사되어 운전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악용하여 앞차의 운전을 방해하여 자신의 앞에 서는 차가 없게 만든다.<ref name="백미러나무위키"> 〈[https://namu.wiki/w/%EB%B0%B1%EB%AF%B8%EB%9F%AC?from=%EB%A3%B8%EB%AF%B8%EB%9F%AC 백미러]〉, 《나무위키》 </ref>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프리즘 구조를 따르도록 하거나 편광 필터를 사용하여 그 문제를 막을 수 있다. 룸미러가 옆으로 긴 곡선으로 처리되어 있는 이유는 거울이 떨어지거나 실수로 거울에 부딪히는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이유이다. 일반 룸미러의 기능에서 나아가 하이패스 장착이나, [[후방카메라]] 모니터 기능, 나침판 장착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룸미러도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34832&cid=40942&categoryId=32359 룸미러]〉, 《네이버 지식백과》 </ref>
 +
 +
===사이드미러===
 +
[[파일:사이드미러1.png|썸네일|300픽셀|'''[[사이드미러]]'''(side-view mirror)]]
 +
[[사이드미러]](side-view mirror)는 운전 중 가장 많이 보는 거울로 운전석과 조수석 쪽 문에 달려 후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이드 미러]]의 거울 면은 볼록면으로 되어 있어 사각지대에 대한 사고를 줄여주지만 거리에 있어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사이드 미러는 후방을 완벽하게 보여주지는 못한다. 그래서 사이드미러만 보고 차선 변경을 안일하게 시도했다가 잘 보이지 않던 바로 옆 차선의 차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우측 차선의 경우. 그렇기 때문에 사이드미러와 함께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 쪽의 측면도 번갈아 보면서 차선 변경을 시도해야 한다. 도심에서는 접촉사고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고속도로에서 이랬다가는 그냥 목숨이 오갈 정도로 위험하다. 무엇보다 거울로 볼 수 없는 숨겨진 구간이 존재 하는데 이것을 사각지대(Dead zone)라고 한다. 예를 들어 [[룸미러]]는 후방 [[범퍼]] 아래에 있는 어린이를 비춰주지 못하며, 사이드미러는 바로 옆에 붙어있는 차가 보이지 않는다. 트럭이나 버스같이 덩치가 큰 차는 사각지대가 훨씬 넓어 후진이나 차선 변경 시 사고가 잦다. 이런 차량들은 룸미러가 사실상 쓸모없는 경우가 많아 더욱 위험하다. 그래서 대형 차량은 사이드미러가 한 면에 두세 개씩 달리는 경우가 많은 데 이래도 사고가 발생한다. 이런 사각지대 문제 때문에 룸미러가 담당하는 후방 중앙에는 후방 감지 센서와 후방 카메라로 보완하고 있고, 사이드 미러 사각은 사각지대에 물체가 있는 경우 경고해 주는 후측방 감지 센서가 보완책으로 나와 있다. 또한 시야각을 넓혀 사각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서드파티 사이드미러도 판매 중이다.<ref name="백미러나무위키"></ref>
 +
 +
===배니티미러===
 +
[[파일:배니티미러.png|썸네일|300픽셀|'''[[배니티미러]]'''(vanity mirror)]]
 +
룸미러와 사이드미러는 운전면허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라도 익숙한 용어다. 하지만 이 [[배니티미러]](vanity mirror)에 대해서는 이름만 들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배니티미러란,  말 그대로 화장을 체크한다는 의미의 'vanity'(화장 테이블)이라는 단어와 거울이라는 의미의 'mirror'를 합친 이름으로 불리는데, 안에 장착되어 있는 작은 거울을 의미한다.<ref name="쌍용"></ref> 여기서 [[선바이저]]는 1930년대 이전에는 [[윈드실드]] 바깥에 차양 형태로 적용되었으며 1930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내부 장착 형태로 변경되었다.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 여러 제조사들로 널리 퍼졌다. 비슷한 시기 [[시거드 톰슨]]이라는 인물이 거울 내장형 선바이저를 개발했으며 심지어 야간에도 볼 수 있도록 전구도 함께 내장되어 있는 형태였다.<ref name="뷰"> VEIW H,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1301390&memberNo=30619985 자동차 미러는 두 종류? 알고보면 더 많은 미러들이 있다]〉, 《네이버 포스트》, 2019-06-17 </ref>
 +
 +
===컨버세이션미러===
 +
[[컨버세이션미러]](conversation mirror)란 이름부터 알 수 있듯이 뒷자리 확인 거울이다. 뒷좌석 탑승객과 대화를 할 때나 아이의 안전을 확인할 때 등 사용하는 유용한 거울이다. 어린 자녀를 포함한 가족 모두가 이용하는 가족차에는 많이 장착되어 있으나, 기본 장착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 기본 장착이 안 되어있을 때에는 안경이나 선글라스 보관함이 대신 설치되어 있다.<ref name="신우철">신우철 기자, 〈[https://content.v.daum.net/v/5fb37577c6ad6347297ebd8d#:~:text=%EB%B0%B0%EB%8B%88%ED%8B%B0%20%EB%AF%B8%EB%9F%AC%EB%8A%94%20%EC%84%A0%EB%B0%94%EC%9D%B4%EC%A0%80%20%28%ED%96%87%EB%B9%9B%20%EA%B0%80%EB%A6%AC%EA%B0%9C%29%20%EC%95%88%EC%97%90%20%EC%9E%A5%EC%B0%A9%EB%90%9C%20%EA%B1%B0%EC%9A%B8%EB%A1%9C%2C,%EC%9D%B4%ED%9B%84%20%EB%AF%B8%EA%B5%AD%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20%EB%82%B4%EB%B6%80%20%EC%9E%A5%EC%B0%A9%20%ED%98%95%ED%83%9C%EB%A1%9C%20%EB%B3%80%EA%B2%BD%EB%90%9C%20%EA%B1%B0%EC%9A%B8%EC%9E%85%EB%8B%88%EB%8B%A4. 운전자의 제2의 눈 자동차 미러 종류 배우고 차 알 못 탈출하자]〉, 《국토교통부》, 2020-11-19</ref>
  
 
{{각주}}
 
{{각주}}
54번째 줄: 66번째 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6621&cid=40942&categoryId=32233 일반투명경]〉,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6621&cid=40942&categoryId=32233 일반투명경]〉,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namu.wiki/w/%EB%A7%A4%EC%A7%81%EB%AF%B8%EB%9F%AC 매직미러]〉,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A7%A4%EC%A7%81%EB%AF%B8%EB%9F%AC 매직미러]〉, 《나무위키》
 +
* 〈[https://allways.smotor.com/%EC%9E%90%EB%8F%99%EC%B0%A8-%EC%95%88%EC%9D%98-%EC%88%A8%EC%9D%80-%EA%B1%B0%EC%9A%B8-%EC%B0%BE%EA%B8%B0-%EC%A2%85%EB%A5%98-%EB%B0%8F-%EC%97%AD%ED%95%A0-%EC%95%8C%EC%95%84%EB%B3%B4%EA%B8%B0/ 왜곡으로 더 멀리 봐요, 사이드 미러]〉, 《쌍용자동차 공식 블로그》, 2018-06-13
 +
* 〈[https://namu.wiki/w/%EB%B0%B1%EB%AF%B8%EB%9F%AC?from=%EB%A3%B8%EB%AF%B8%EB%9F%AC 백미러]〉, 《나무위키》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34832&cid=40942&categoryId=32359 룸미러]〉, 《네이버 지식백과》
 +
* VEIW H,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1301390&memberNo=30619985 자동차 미러는 두 종류? 알고보면 더 많은 미러들이 있다]〉, 《네이버 포스트》, 2019-06-17
 +
* 신우철 기자, 〈[https://content.v.daum.net/v/5fb37577c6ad6347297ebd8d#:~:text=%EB%B0%B0%EB%8B%88%ED%8B%B0%20%EB%AF%B8%EB%9F%AC%EB%8A%94%20%EC%84%A0%EB%B0%94%EC%9D%B4%EC%A0%80%20%28%ED%96%87%EB%B9%9B%20%EA%B0%80%EB%A6%AC%EA%B0%9C%29%20%EC%95%88%EC%97%90%20%EC%9E%A5%EC%B0%A9%EB%90%9C%20%EA%B1%B0%EC%9A%B8%EB%A1%9C%2C,%EC%9D%B4%ED%9B%84%20%EB%AF%B8%EA%B5%AD%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20%EB%82%B4%EB%B6%80%20%EC%9E%A5%EC%B0%A9%20%ED%98%95%ED%83%9C%EB%A1%9C%20%EB%B3%80%EA%B2%BD%EB%90%9C%20%EA%B1%B0%EC%9A%B8%EC%9E%85%EB%8B%88%EB%8B%A4. 운전자의 제2의 눈 자동차 미러 종류 배우고 차 알 못 탈출하자]〉, 《국토교통부》, 2020-11-19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유리]]
 
* [[미러]]
 
* [[아말감]]
 
* [[거울세계]]
 
  
{{자동차 내장|검토 필요}}
+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