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량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교통량'''(交通量, traffic)이란 일정한 곳을 일정한 시간에 왕래하는 사람이나 차량 따위의 수량을 말한다. 보통 차량의 이동 정도를 말한다.<ref>〈[https://ko.dict.naver.com/#/entry/koko/413c3ae7728f434097effff56e9fce83 교통량]〉, 《매일경제》,  2021-01-06</ref> 영어로 '''트래픽'''(traffic)이라고 한다.
+
'''교통량'''(交通量)이란 일정한 곳을 일정한 시간에 왕래하는 사람이나 차량 따위의 수량을 말한다. 보통 차량의 이동정도를 말한다.<ref>〈[https://ko.dict.naver.com/#/entry/koko/413c3ae7728f434097effff56e9fce83 교통량]〉, 《매일경제》,  2021-01-06</ref>
  
 
==개요==
 
==개요==
교통량은 [[도로]]의 한 지점, 또는 단면을 단위 시간 동안 통과하는 차량의 수를 의미한다. 도로를 통과하는 단위 시간당의 교통량은 도로 시설물의 효용 척도로서 사용되며, 다른 지점과의 상대적 비교를 통하여 각 도로 구간의 역할을 추정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도 사용된다.
+
교통량은 도로의 한 지점, 또는 단면을 단위 시간 동안 통과하는 차량의 수를 의미한다. 도로를 통과하는 단위 시간당의 교통량은 도로 시설물의 효용 척도로서 사용되며, 다른 지점과의 상대적 비교를 통하여 각 도로 구간의 역할을 추정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도 사용된다.
  
 
==교통량 조사==
 
==교통량 조사==
15번째 줄: 15번째 줄:
  
 
===일반국도 수시조사===
 
===일반국도 수시조사===
[[일반국도]]의 수시조사는 지방도 이상 도로의 교차 구간에 대해 실시한다(단, 교통량이 많은 시군도 포함). 이 지점은 시가지의 확산이나 지방도의 국도승격, 일반국도 노선의 신설 등과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매년 점검한 후 결정하도록 한다.
+
일반국도의 수시조사는 지방도 이상 도로의 교차 구간에 대해 실시한다(단, 교통량이 많은 시군도 포함). 이 지점은 시가지의 확산이나 지방도의 국도승격, 일반국도 노선의 신설 등과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매년 점검한 후 결정하도록 한다.
  
 
;조사의 범위
 
;조사의 범위
30번째 줄: 30번째 줄:
 
*'''시간적 범위''' : 조사 지점의 통과 차량에 대하여 시간대별, 차종별, 일별 교통량을 관측하게 된다. 그 관측 일시는 당해 연도 10월 셋째 주 목요일이며 24시간 동안 조사를 수행한다.
 
*'''시간적 범위''' : 조사 지점의 통과 차량에 대하여 시간대별, 차종별, 일별 교통량을 관측하게 된다. 그 관측 일시는 당해 연도 10월 셋째 주 목요일이며 24시간 동안 조사를 수행한다.
  
*'''공간적 범위''' : [[고속국도]] 수시조사의 조사 지점은 기본적으로 고속국도의 램프와 램프 사이의 구간 내에 선정한다. 지방도의 경우에는, 지방도와 지방도가 만나는 교차로, 지방도와 일반국도가 만나는 교차로 사이의 구간 내에 선정한다.<ref name='국토해양부'></ref>  
+
*'''공간적 범위''' : 고속국도 수시조사의 조사 지점은 기본적으로 고속국도의 램프와 램프 사이의 구간 내에 선정한다. 지방도의 경우에는, 지방도와 지방도가 만나는 교차로, 지방도와 일반국도가 만나는 교차로 사이의 구간 내에 선정한다.<ref name='국토해양부'></ref>  
 
   
 
   
 
==상시조사==
 
==상시조사==
40번째 줄: 40번째 줄:
  
 
===상시조사의 범위===
 
===상시조사의 범위===
상시조사 장비에서 수집되는 자료는 교통량과 차종, [[속도]] 등이다. 이 자료들은 시간대별, 차로별로 통계 처리되어 통신 회선을 통하여 1일 1회 센터로 자동으로 전송되어 교통 분석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
상시조사 장비에서 수집되는 자료는 교통량과 차종, 속도 등이다. 이 자료들은 시간대별, 차로별로 통계 처리되어 통신 회선을 통하여 1일 1회 센터로 자동으로 전송되어 교통 분석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시간적 범위''' : 일반국도 상시조사는 당해 연도 1월에서 12월까지 각 지점에 설치된 고정식 조사 장비를 통해 365일 동안 시간대별 차종별 교통량 자료를 수집한다. 수집된 자료는 시간 단위로 통계 처리되며, 24시간 교통량 자료가 1일 1회에 걸쳐 모든 지점에서 센터로 자동으로 전송된다.
 
*'''시간적 범위''' : 일반국도 상시조사는 당해 연도 1월에서 12월까지 각 지점에 설치된 고정식 조사 장비를 통해 365일 동안 시간대별 차종별 교통량 자료를 수집한다. 수집된 자료는 시간 단위로 통계 처리되며, 24시간 교통량 자료가 1일 1회에 걸쳐 모든 지점에서 센터로 자동으로 전송된다.
  
*'''공간적 범위''' : 상시조사 지점은 일반국도 이상 도로의 교차구간인 대구간 1개당 상시조사 지점 1개 선정을 원칙으로 하며, 그 구간을 대표할 수 있는 지점에 장비를 설치한다. 교통패턴이 유사한 소구간들을 병합하여 설정한 대구간에 설정하며, 일반국도 이상 도로의 교차구간을 대상으로 1개의 대구간에 대하여 1개의 상시조사 지점을 선정한다. 지점을 선정할 때는 구간 내의 교통 특성을 감안해야 하며, 도로 선형, 포장 여건, 전기∙전화 설치 여건 등의 주변 환경도 고려해야 한다.<ref name='국토해양부'></ref>
+
*'''공간적 범위''' : 상시조사 지점은 일반국도 이상 도로의 교차구간인 대구간 1개당 상시조사 지점 1개 선정을 원칙으로 하며, 그 구간을 대표할 수 있는 지점에 장비를
 
+
설치한다. 교통패턴이 유사한 소구간들을 병합하여 설정한 대구간에 설정하며, 일반국도 이상 도로의 교차구간을 대상으로 1개의 대구간에 대하여 1개의 상시조사 지점을 선정한다. 지점을 선정할 때는 구간 내의 교통 특성을 감안해야 하며, 도로 선형, 포장 여건, 전기∙전화 설치 여건 등의 주변 환경도 고려해야 한다.<ref name='국토해양부'></ref>  
 +
 
==조사 장비==
 
==조사 장비==
 
===이동식 조사 장비===
 
===이동식 조사 장비===
53번째 줄: 54번째 줄:
 
고정식 조사 장비는 특정 지점에 고정․설치하여 조사를 수행하는 장비로서, 상시조사와 같이 특정 지점에서 장기간 조사를 위해 설치된 장비를 말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비로는 교통량, 속도, 차종 구분을 위한 AVC 장비와 중량 조사 기능을 추가한 WIM 장비가 있다.
 
고정식 조사 장비는 특정 지점에 고정․설치하여 조사를 수행하는 장비로서, 상시조사와 같이 특정 지점에서 장기간 조사를 위해 설치된 장비를 말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비로는 교통량, 속도, 차종 구분을 위한 AVC 장비와 중량 조사 기능을 추가한 WIM 장비가 있다.
  
===주행차량 자동인식장치 장비===
+
===AVC(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 장비===
주행차량 자동인식장치  장비는 주행 중인 차량의 교통량, 속도, 차종 등을 구분하는 장비이다. 이 장비는 매설형과 비 매설형으로 구분되며, 현재 교통량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는 루프-피에조 센서를 혼합한 매설형이다.
+
AVC 장비는 주행 중인 차량의 교통량, 속도, 차종 등을 구분하는 장비이다. 이 장비는 매설형과 비 매설형으로 구분되며, 현재 교통량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는 루프-피에조 센서를 혼합한 매설형이다.
 +
===WIM(Weigh-In-Motion) 장비===
 +
 
 +
WIM 장비는 도로면에 설치되어 주행 중인 차량의 중량, 속도, 차종 등의 교통 매개 변수를 관측하는 검지기이다. WIM 장비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로면에 매설시켜 중량이나 속도, 차종 등을 관측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서발생된 신호를 해석하여 통계 자료의 생성이나 분석을 위한 전산 처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료로는 차종별 축중 분포, 차종별 총중량 분포, 등가 단축 하중 계수 등이다.<ref name='국토해양부'></ref>
  
===웨이트 인 모션 장비===
 
웨이트 인 모션 장비는 도로면에 설치되어 주행 중인 차량의 중량, 속도, 차종 등의 교통 매개 변수를 관측하는 검지기이다. 웨이트 인 모션 장비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로면에 매설시켜 중량이나 속도, 차종 등을 관측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서발생된 신호를 해석하여 통계 자료의 생성이나 분석을 위한 전산 처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료로는 차종별 축중 분포, 차종별 총중량 분포, 등가 단축 하중 계수 등이다.<ref name='국토해양부'></ref>
 
  
 
==용어 정의==
 
==용어 정의==
93번째 줄: 95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13c3ae7728f434097effff56e9fce83 교통량]〉, 《매일경제》,  2021-01-06
 
*〈도로교통량 조사 지침〉, 《국토해양부 도로운영과》
 
*〈[https://www.law.go.kr/LSW/admRulSideInfoP.do?admRulSeq=2100000031321&langType=Ko&chrClsCd=010202&joNo=0003&joBrNo=00&docCls=jo&joChgYn=N&urlMode=admRulScJoRltInfoR 도로교통량 조사 지침]〉, 《국가법령정보센터》,  2016-01-01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고속도로]]
 
* [[고속도로]]
* [[도로]]
+
* [[진입로]]
* [[교통]]
 
* [[트래픽]]
 
  
{{교통|검토 필요}}
+
{{도로|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