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이저우성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www.guizhou.gov.cn/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www.guizhou.gov.cn/
 
구이저우성을 약칭하여 '첸(黔)' 또는 '구이(貴)'라고도 부르며, 성도(省都)은 구이양(贵阳)이다. 중국 남서부의 윈구이고원(雲貴高原) 동쪽에 있다. 전국시대에는 초(楚) 나라의 검중(黔中)과 차란(且兰), 야랑(夜郎)의 영토였고, 한(汉) 나라 때는 형주(荆州)와 익주(益州)에 속하였으며, 당(唐) 나라 때 검중도(黔中道)가 설치되었다. 송(宋) 나라 개보(开宝) 연간에 토착민 지도자가 구주(矩州)를 이끌고 귀순하자 '구(矩)'를 '귀(贵)'로 고쳐 '구이저우[贵州:귀주]'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명(明) 나라 때는 귀주포정사사(贵州布政使司)를 두었고, 청(清) 나라에 이르러 구이저우성(贵州省)이 되었다. 면적은 17만여㎢이며, 행정구역은 둥난먀오족둥족(东南苗族侗族)·첸난(黔南)·첸시난부이족먀오족(黔西南布依族苗族)의 3개 자치주와 비제(毕节)·퉁런(铜仁) 2개 지역, 귀이양·류판수이(六盘水)·쭌이(遵义)·안순(安顺) 등 4개 지급시(地級市), 9개 현급시(县級市), 56개 현, 11개 자치현, 2개 특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황궈수[黄果树] 풍경지역을 포함한 약 90%의 시현(市县)이 대외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50여개 국가 및 지역과 경제무역 교류를 하고 있다.
 
구이저우성을 약칭하여 '첸(黔)' 또는 '구이(貴)'라고도 부르며, 성도(省都)은 구이양(贵阳)이다. 중국 남서부의 윈구이고원(雲貴高原) 동쪽에 있다. 전국시대에는 초(楚) 나라의 검중(黔中)과 차란(且兰), 야랑(夜郎)의 영토였고, 한(汉) 나라 때는 형주(荆州)와 익주(益州)에 속하였으며, 당(唐) 나라 때 검중도(黔中道)가 설치되었다. 송(宋) 나라 개보(开宝) 연간에 토착민 지도자가 구주(矩州)를 이끌고 귀순하자 '구(矩)'를 '귀(贵)'로 고쳐 '구이저우[贵州:귀주]'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명(明) 나라 때는 귀주포정사사(贵州布政使司)를 두었고, 청(清) 나라에 이르러 구이저우성(贵州省)이 되었다. 면적은 17만여㎢이며, 행정구역은 둥난먀오족둥족(东南苗族侗族)·첸난(黔南)·첸시난부이족먀오족(黔西南布依族苗族)의 3개 자치주와 비제(毕节)·퉁런(铜仁) 2개 지역, 귀이양·류판수이(六盘水)·쭌이(遵义)·안순(安顺) 등 4개 지급시(地級市), 9개 현급시(县級市), 56개 현, 11개 자치현, 2개 특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황궈수[黄果树] 풍경지역을 포함한 약 90%의 시현(市县)이 대외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50여개 국가 및 지역과 경제무역 교류를 하고 있다.
 +
 +
구이저우(貴州)라는 이름은 성의 성도이자 중심도시인 구이양의 옛 이름인 귀주(貴州)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이름은 구주(矩州) 원나라 대에 '矩(곱자 구)'를 발음은 유사하면서 뜻은 더 좋은 '貴(귀할 귀)'로 표기를 바꾸었고 이후 명나라 대에 정식 행정구역인 귀주승선포정사사(贵州承宣布政使司)를 설치하고 청나라 대에 귀주성으로 개편하면서 귀주성이 되었다. 남서쪽의 윈난성과 같이 소수민족이 많은 곳으로, 인구의 약 40%가 소수민족이다. 구체적으로 한족이 62%, 묘족이 12%, 포의족이 8%, 동족이 5%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지역이 고원 지대이나, 윈난 성보다는 해발고도가 약간 낮아 1,000m 정도이며 카르스트 지형이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협곡과 석회동굴 등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카르스트 지형에서도 특히 옆동네 광시좡족자치구의 명성에 밀려 관광지로서 인지도는 훨씬 낮은 편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큰 폭포인 황궈수 폭포가 있다.
 +
 +
중국에서 1인당 GRDP가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이다. 2016년 기준 1인당 GRDP는 $4,988[6]로 31개 지역[7] 중 29위이다. 참고로 30위가 서쪽의 윈난 성($4,707)이고, 31위 꼴찌가 시베이(西北) 지역의 간쑤성($4,134)이다. 구이저우성은 2000년부터 시작된 서부대개발 등으로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2015년 10.7%, 2016년 10.5%의 성장을 기록해 2016년 중국 GDP 성장률 6.7%를 훨씬 뛰어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1인당 GRDP가 17,000 달러가 넘는 톈진시, 베이징시, 상하이시는 물론이고, 6 ~ 7천 달러 정도의 중위권과도 여전히 격차가 크다. 2016년 GRDP는 약 1,767억 달러로 31개 지역 중 25위이며, 중국 GDP의 약 1.5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라크 정도의 경제 규모이다. 그동안 국내 항공편이 전무했으나, 2016년 5월부터 이곳의 성도인 구이양(贵阳, 귀양)에 대한항공이 주 3회 취항을 확정지으면서 직항으로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인천국제공항은 매주 3회, 제주공항은 10월 말까지 주 3회에서 2회로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술로 유명한 마오타이 진이 속해있는 곳이기도 하다. 참고로 마오타이 진은 구이저우에서 성도인 구이양에 이어서 두번째로 잘사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그래서 술 수출 문제 때문에 운남성과 같이 미세먼지가 없는 구역이다.<ref name="밈">〈[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6386&cid=40942&categoryId=40001    구이저우성]〉, 《네이버 지식백과》</ref>
 +
<ref>〈[https://namu.wiki/w/%EA%B5%AC%EC%9D%B4%EC%A0%80%EC%9A%B0%EC%84%B1  구이저우성]〉, 《나무위키》</ref>구이저우성을 약칭하여 '첸(黔)' 또는 '구이(貴)'라고도 부르며, 성도(省都)은 구이양(贵阳)이다. 중국 남서부의 윈구이고원(雲貴高原) 동쪽에 있다. 전국시대에는 초(楚) 나라의 검중(黔中)과 차란(且兰), 야랑(夜郎)의 영토였고, 한(汉) 나라 때는 형주(荆州)와 익주(益州)에 속하였으며, 당(唐) 나라 때 검중도(黔中道)가 설치되었다. 송(宋) 나라 개보(开宝) 연간에 토착민 지도자가 구주(矩州)를 이끌고 귀순하자 '구(矩)'를 '귀(贵)'로 고쳐 '구이저우[贵州:귀주]'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명(明) 나라 때는 귀주포정사사(贵州布政使司)를 두었고, 청(清) 나라에 이르러 구이저우성(贵州省)이 되었다. 면적은 17만여㎢이며, 행정구역은 둥난먀오족둥족(东南苗族侗族)·첸난(黔南)·첸시난부이족먀오족(黔西南布依族苗族)의 3개 자치주와 비제(毕节)·퉁런(铜仁) 2개 지역, 귀이양·류판수이(六盘水)·쭌이(遵义)·안순(安顺) 등 4개 지급시(地級市), 9개 현급시(县級市), 56개 현, 11개 자치현, 2개 특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황궈수[黄果树] 풍경지역을 포함한 약 90%의 시현(市县)이 대외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50여개 국가 및 지역과 경제무역 교류를 하고 있다.
  
 
구이저우(貴州)라는 이름은 성의 성도이자 중심도시인 구이양의 옛 이름인 귀주(貴州)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이름은 구주(矩州) 원나라 대에 '矩(곱자 구)'를 발음은 유사하면서 뜻은 더 좋은 '貴(귀할 귀)'로 표기를 바꾸었고 이후 명나라 대에 정식 행정구역인 귀주승선포정사사(贵州承宣布政使司)를 설치하고 청나라 대에 귀주성으로 개편하면서 귀주성이 되었다. 남서쪽의 윈난성과 같이 소수민족이 많은 곳으로, 인구의 약 40%가 소수민족이다. 구체적으로 한족이 62%, 묘족이 12%, 포의족이 8%, 동족이 5%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지역이 고원 지대이나, 윈난 성보다는 해발고도가 약간 낮아 1,000m 정도이며 카르스트 지형이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협곡과 석회동굴 등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카르스트 지형에서도 특히 옆동네 광시좡족자치구의 명성에 밀려 관광지로서 인지도는 훨씬 낮은 편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큰 폭포인 황궈수 폭포가 있다.
 
구이저우(貴州)라는 이름은 성의 성도이자 중심도시인 구이양의 옛 이름인 귀주(貴州)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이름은 구주(矩州) 원나라 대에 '矩(곱자 구)'를 발음은 유사하면서 뜻은 더 좋은 '貴(귀할 귀)'로 표기를 바꾸었고 이후 명나라 대에 정식 행정구역인 귀주승선포정사사(贵州承宣布政使司)를 설치하고 청나라 대에 귀주성으로 개편하면서 귀주성이 되었다. 남서쪽의 윈난성과 같이 소수민족이 많은 곳으로, 인구의 약 40%가 소수민족이다. 구체적으로 한족이 62%, 묘족이 12%, 포의족이 8%, 동족이 5%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지역이 고원 지대이나, 윈난 성보다는 해발고도가 약간 낮아 1,000m 정도이며 카르스트 지형이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협곡과 석회동굴 등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카르스트 지형에서도 특히 옆동네 광시좡족자치구의 명성에 밀려 관광지로서 인지도는 훨씬 낮은 편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큰 폭포인 황궈수 폭포가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