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차량제작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시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시발]]'''(始發)]]
+
[[파일:시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시발'''(始發)]]
[[파일:최무성 3형제와 시발자동차.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최무성 3형제와 시발자동차]]
+
[[파일:시발자동차1.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시발자동차]]
 
[[파일:1955년 천막공장서 시발제작.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1955년 천막공장서 시발제작]]
 
[[파일:1955년 천막공장서 시발제작.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1955년 천막공장서 시발제작]]
 
[[파일:시발자동차 재현품.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시발자동차 재현품]]
 
[[파일:시발자동차 재현품.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시발자동차 재현품]]
 
+
'''국제차량제작소'''는 자동차 정비업을 하고 있던 '''[[최무성]]''', '''[[최순성]]''', '''[[최혜성]]''' 3형제가 1937년에 세운 개인 자동차 회사이다. 국제차량제작주식회사라고도 한다. 1955년에 '''[[시발]]'''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69년에 해체되었다. 현재 국제차량제작소의 생산 차량은 삼성화재교통박물관에 남아 있다.
'''국제차량제작소'''<!--국제 차량 제작소-->는 자동차 정비업을 하고 있던 '''[[최무성]]''', '''[[최순성]]''', '''[[최혜성]]''' 3형제가 1937년에 세운 개인 자동차 회사이다. 국제차량제작주식회사라고도 한다. 1955년에 '''[[시발]]'''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69년에 해체되었다. 현재 국제차량제작소의 생산 차량은 삼성화재 교통박물관에 남아 있다.
 
 
 
== 개요 ==
 
[[한국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된 1954년 [[최무성]], [[최혜성]], [[최순성]] 삼형제는 최초의 국산차를 만 들고자 기존의 '국제공업사'를 '국제차량주식회사'로 확대하여 개편한다. 해방 전후로 한국의 자동차산업은 폐차 상태의 미군 지프나 트럭의 부속품을 망치와 손 재주로만으로 대강 두드려 맞추어서 차체를 만들어 내던 수준이었다. 그나마 자동차산업이라 할 만한 외형을 갖춘 것은 1955년 '국제차량주식회사'가 만든 한국 최초의 승용차 '시발'이 탄생하면서 부터이다. '시발'의 의미는 '처음 시작한다'는 뜻의 '始發(시발)'이고, 이름 그대로 우리 자동차산업의 시발점이 된 차이다. 그리고 한국 고유의 자동차라는 뜻을 전하기 위해 표기는 한글로 하고 회사명도 '''시발자동차 주식회사'''로 바꾸었다.<ref> 〈[http://www.cybercarmuseum.or.kr/history/earlyCompany.php?mode=v&bbs_data=aWR4PTc3JnN0YXJ0UGFnZT0mbGlzdE5vPTEzJnRhYmxlPWlkX2Jic19kYXRhJmNvZGU9ZWFybHlDb21wYW55JnNlYXJjaF9pdGVtPSZzZWFyY2hfb3JkZXI9|| ‘국제차량주식회사’, 국내 최초의 자동차 시발자동차 개발]〉, 《사이버자동차산업관》, </ref>
 
  
 
== 역사 ==
 
== 역사 ==
29번째 줄: 25번째 줄:
 
최무성,  최혜성, 최순성 3형제의 후손들은 이후 삼성교통박물관에서 추진한 시발 재현 프로젝트에 조언자로서 참여, 차량의 재현도를 높이는 데 일조했다.
 
최무성,  최혜성, 최순성 3형제의 후손들은 이후 삼성교통박물관에서 추진한 시발 재현 프로젝트에 조언자로서 참여, 차량의 재현도를 높이는 데 일조했다.
  
== 시발 ==
+
== '''[[시발]]''' ==
[[시발]]1955년 8월부터 1963년 5월까지 국제차량제작 주식회사에서 제작한 자동차로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최초의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이자, 4륜구동 자동차이다. 대한민국 최초로 자동차 생산의 시작이라는 의미로 한자어 '시발(始發)'을 사용했으며, 상표는 한글로 'ㅅㅣ-ㅂㅏㄹ'표기했다. 시발은 1955년 10월 광복 10주년을 기념하여 [[국산장려회]]가 주최한 산업박람회 때 출품하여 최우수 상품과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일반인에게 알려졌다. 그때 출품한 시발 자동차는 4기통 지프형으로 6인승이었다. 부품 국산화에 노력을 기울였는데, 엔진, 타이어, 전조등, 바디, 그리고 프레임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다만 이로 인해 많은 품질문제를 유발하였다고 한다. 유리는 2중접합유리나 강화유리가 아닌 일반 유리를 사용하여 비포장 도로를 갈 때 깨지는 일도 있었다. 경향신문의 1955년 10월 1일자 기사에 따르면 당초 생산가격은 시발 자동차 가격은 90만 환대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8만 환대였고, 1년 뒤에 택시운송회사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자 30만 환대까지 오른 가격에 판매되었다. 그러나 급격한 자동차 증가로 석유 파동을 우려한 당시 이승만 정부는 1957년 5월 8일 자동차의 수를 제한하는 긴급조치인 5·8 라인을 발동하면서, 시발자동차는 판매에 타격을 입기도 했다. 일명 황색딱지라는 자동차 제작 허가서에 따라 시발 자동차를 제작하던 국제차량제작은 5·16 군사 정변 이후 정부 보조금 중단과 [[새나라자동차공업㈜]]가 1962년 일본 [[닛산]] [[블루버드]]를 [[반제품]]으로 수입해 [[새나라자동차]]라는 이름으로 판매하면서, 판매 급감으로 1963년 5월에 누적대수 2,235대를 생산한 후 시발 자동차는 단종됐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생산 당시의 차량은 존재하지 않으며 후일 남아 있는 자료 등을 바탕으로 똑같이 만든 차량(복각차량)만이 존재한다
+
1955년 8월부터 1963년 5월까지 국제차량제작 주식회사에서 제작한 자동차로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최초의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이자, 4륜구동 자동차이다. 대한민국 최초로 자동차 생산의 시작이라는 의미로 한자어 '시발(始發)'을 사용했으며, 상표는 한글로 'ㅅㅣ-ㅂㅏㄹ'으로 표기했다. 시발은 1955년 10월 광복 10주년을 기념하여 국산장려회가 주최한 산업박람회 때 출품하여 최우수 상품과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일반인에게 알려졌다. 그때 출품한 시발 자동차는 4기통 지프형으로 6인승이었다. 부품 국산화에 노력을 기울였는데, 엔진, 타이어, 전조등, 바디, 그리고 프레임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다만 이로 인해 많은 품질문제를 유발하였다고 한다. 유리는 2중접합유리나 강화유리가 아닌 일반 유리를 사용하여 비포장 도로를 갈 때 깨지는 일도 있었다. 경향신문의 1955년 10월 1일자 기사에 따르면 당초 생산가격은 시발 자동차 가격은 90만 환대였다고 한다.[1] 처음에는 8만 환대였고, 1년 뒤에 택시운송회사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자 30만 환대까지 오른 가격에 판매되었다. 그러나 급격한 자동차 증가로 석유 파동을 우려한 당시 이승만 정부는 1957년 5월 8일 자동차의 수를 제한하는 긴급조치인 5·8 라인을 발동하면서, 시발자동차는 판매에 타격을 입기도 했다. 일명 황색딱지라는 자동차 제작 허가서에 따라 시발 자동차를 제작하던 국제차량제작은 5·16 군사 정변 이후 정부 보조금 중단과 새나라자동차가 1962년 닛산 블루버드를 반제품으로 수입해 새나라 자동차라는 이름으로 판매하면서, 판매 급감으로 1963년 5월에 누적대수 2,235대를 생산한 후 시발 자동차는 단종됐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생산 당시의 차량은 존재하지 않으며 후일 남아 있는 자료 등을 바탕으로 똑같이 만든 차량(복각차량)만이 존재한다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C%A0%9C%EC%B0%A8%EB%9F%89%EC%A0%9C%EC%9E%91 국제차량제작]〉,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C%A0%9C%EC%B0%A8%EB%9F%89%EC%A0%9C%EC%9E%91 국제차량제작]〉,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C%A0%9C%EC%B0%A8%EB%9F%89%EC%A0%9C%EC%9E%91_%EC%8B%9C%EB%B0%9C 국제차량제작 시발]〉, 《위키백과》
 
* 〈[http://www.cybercarmuseum.or.kr/history/earlyCompany.php?mode=v&bbs_data=aWR4PTc3JnN0YXJ0UGFnZT0mbGlzdE5vPTEzJnRhYmxlPWlkX2Jic19kYXRhJmNvZGU9ZWFybHlDb21wYW55JnNlYXJjaF9pdGVtPSZzZWFyY2hfb3JkZXI9|| ‘국제차량주식회사’, 국내 최초의 자동차 시발자동차 개발]〉, 《사이버자동차산업관》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43번째 줄: 35번째 줄:
  
 
{{로고 없음}}
 
{{로고 없음}}
{{자동차 역사|검토 필요}}
+
{{자동차 역사|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