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텔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0번째 줄: 20번째 줄:
 
2000년 3월 그누텔라는 저스틴 프랭클(Justin Frankel)과 톰 페퍼(Tom Pepper)가 널소프트(Nullsoft)에서 개발했고, 3월 14일에 널소프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됐다. 그누텔라는 냅스터와 달리 중앙에서 개입하는 부분이 전혀 없었다. 아무도 사용자를 추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교환하는 파일의 목록을 만들 수도 없었다. 아무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었고 대부분이 오픈 소스 형태로 쓰였기 때문에 누구나 새로운 기능을 덧붙이거나 개선할 수 있었다. 그노텔라(Gnotella), 뉴텔라(Newtella), 그넛(Gnut), 라임와이어(LimeWire), 토드노드(ToadNode) 등 약 10여 종 이상의 그누텔라들이 무료로 배포됐다. 이 프로그램은 수천 명의 사람들이 다운받았다. 하지만 널소프트의 모회사인 아메리카 온라인(AOL)이 당시 타임 워너와 합병하려던 차였기 때문에 바로 중단됐다. [[타임워너]](Time Warner)는 음악/미디어 쪽의 거인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널소프트가 올렸다가 지운 그 코드를 이미 가져갔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들만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즉 유사품들을 만들었다. 호환되는 오픈소스 클론이 나타났고, '누텔라 연방'이 등장하게 되었다. 서로 다른 그룹에 의한 클라이언트와 유사한 개발은 오늘날 그누텔라 개발의 방법론으로 남아 있다.<ref name="이명헌">이명헌, 〈[https://web.archive.org/web/20040812002643/http://www.emh.co.kr/xhtml/p2p_and_liberalism.html P2P . 냅스터 . 누텔라 . 그리고 프리넷.]〉, 《이명헌경영스쿨》, 2001-03-13</ref>  
 
2000년 3월 그누텔라는 저스틴 프랭클(Justin Frankel)과 톰 페퍼(Tom Pepper)가 널소프트(Nullsoft)에서 개발했고, 3월 14일에 널소프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됐다. 그누텔라는 냅스터와 달리 중앙에서 개입하는 부분이 전혀 없었다. 아무도 사용자를 추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교환하는 파일의 목록을 만들 수도 없었다. 아무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었고 대부분이 오픈 소스 형태로 쓰였기 때문에 누구나 새로운 기능을 덧붙이거나 개선할 수 있었다. 그노텔라(Gnotella), 뉴텔라(Newtella), 그넛(Gnut), 라임와이어(LimeWire), 토드노드(ToadNode) 등 약 10여 종 이상의 그누텔라들이 무료로 배포됐다. 이 프로그램은 수천 명의 사람들이 다운받았다. 하지만 널소프트의 모회사인 아메리카 온라인(AOL)이 당시 타임 워너와 합병하려던 차였기 때문에 바로 중단됐다. [[타임워너]](Time Warner)는 음악/미디어 쪽의 거인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널소프트가 올렸다가 지운 그 코드를 이미 가져갔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들만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즉 유사품들을 만들었다. 호환되는 오픈소스 클론이 나타났고, '누텔라 연방'이 등장하게 되었다. 서로 다른 그룹에 의한 클라이언트와 유사한 개발은 오늘날 그누텔라 개발의 방법론으로 남아 있다.<ref name="이명헌">이명헌, 〈[https://web.archive.org/web/20040812002643/http://www.emh.co.kr/xhtml/p2p_and_liberalism.html P2P . 냅스터 . 누텔라 . 그리고 프리넷.]〉, 《이명헌경영스쿨》, 2001-03-13</ref>  
  
최초의 독립 그누텔라 개척자 중에는 [[진 칸]](Gene Kan)과 [[스펜서 킴볼]](Spencer Kimball)이 있었는데, 그들은 그누텔라를 작업하기 위해 오픈 소스 커뮤니티를 모으기 위한 첫 번째 포털을 시작했다. 그누텔라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최초의 오픈 소스 중 하나인 "Gnubile"을 개발했다. 그누텔라 네트워크는 패스트트랙(KaZaA)이나 원래의 냅스터와 같은 중앙화되지 않으며, 분산적이다. 이 네트워크의 초기 인기는 2001년 [[냅스터]]를 위협했던 법적 소멸에 의해 촉발되었다. 인기가 급증하면서 초기 프로토콜의 확장성의 한계를 드러냈다. 2001년 초, 프로토콜의 변화(독점적 및 폐쇄적 소스 클라이언트에서 처음 구현)는 확장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했다. 모든 사용자를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취급하는 대신, 일부 사용자는 초고속 사용자로 취급되어 그들과 연결된 사용자에 대한 검색 요청과 응답을 라우팅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는 인기를 끌 수 있었다. 2001년 말, 그누텔라 클라이언트 [[라임와이어]] 베이직(LimeWire Basic)은 무료 오픈 소스가 되었다. 2002년 2월, 상용 파일 공유 그룹인 Morpheus는 패스트트랙 기반의 피투피(P2P) 소프트웨어를 포기하고 무료 오픈 소스 그누텔라 클라이언트 Gnucleus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클라이언트를 출시했다.  
+
최초의 독립 그누텔라 개척자 중에는 [[진 칸]](Gene Kan)과 [[스펜서 킴볼]](Spencer Kimball)이 있었는데, 그들은 그누텔라를 작업하기 위해 오픈 소스 커뮤니티를 모으기 위한 첫 번째 포털을 시작했다. 그누텔라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최초의 오픈 소스 중 하나인 "Gnubile"을 개발했다. 그누텔라 네트워크는 패스트트랙(KaZaA)이나 원래의 냅스터와 같은 중앙화되지 않으며, 분산적이다. 이 네트워크의 초기 인기는 2001년 [[냅스터]]를 위협했던 법적 소멸에 의해 촉발되었다. 인기가 급증하면서 초기 프로토콜의 확장성의 한계를 드러냈다. 2001년 초, 프로토콜의 변화(독점적 및 폐쇄적 소스 클라이언트에서 처음 구현)는 확장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했다. 모든 사용자를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취급하는 대신, 일부 사용자는 초고속 사용자로 취급되어 그들과 연결된 사용자에 대한 검색 요청과 응답을 라우팅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는 인기를 끌 수 있었다. 2001년 말, 그누텔라 클라이언트 [[라임와이어]] 베이직(LimeWire Basic)은 무료 오픈 소스가 되었다. 2002년 2월, 상용 파일 공유 그룹인 Morpheus는 패스트트랙 기반의 P2P 소프트웨어를 포기하고 무료 오픈 소스 그누텔라 클라이언트 Gnucleus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클라이언트를 출시했다.  
  
 
2010년 10월 26일, 인기 있는 그누텔라 클라이언트 라임와이어는 음반 업계 원고가 동의한 동의 법령에 서명하면서 뉴욕 남부 지방 법원의 킴바 우드(Kimba Wood) 판사로부터 폐쇄 명령을 받았다. 이것은 네트워크 규모가 눈에 띄게 줄어든 원인일 가능성이 높았는데, 이는 가처분 협상을 하는 동안 라임와이어 직원이 소프트웨어에 원격 비활성화 코드를 삽입했기 때문이다. 가처분 신청이 발효되면서 해당 버전(5.5.10 이하)을 설치한 사용자들은 피투피(P2P)망에서 차단됐다. 라임와이어는 무료 소프트웨어였기 때문에, 라임와이어 상표권이 사용되지 않는 한 비활성화 코드를 생략한 포크(fork)의 생성을 막을 수 없었다. 2010년 11월 9일, 라임와이어는 비밀 개발팀에 의해 부활하여 라임와이어 해적판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라임와이어 5.6 베타(BETA)를 기반으로 했다. 이 버전은 서버 종속성을 제거했고 모든 PRO 기능을 무료로 가능하게 했다.<ref>그누텔라 위키백과 - https://en.wikipedia.org/wiki/Gnutella#General_specifications</ref>
 
2010년 10월 26일, 인기 있는 그누텔라 클라이언트 라임와이어는 음반 업계 원고가 동의한 동의 법령에 서명하면서 뉴욕 남부 지방 법원의 킴바 우드(Kimba Wood) 판사로부터 폐쇄 명령을 받았다. 이것은 네트워크 규모가 눈에 띄게 줄어든 원인일 가능성이 높았는데, 이는 가처분 협상을 하는 동안 라임와이어 직원이 소프트웨어에 원격 비활성화 코드를 삽입했기 때문이다. 가처분 신청이 발효되면서 해당 버전(5.5.10 이하)을 설치한 사용자들은 피투피(P2P)망에서 차단됐다. 라임와이어는 무료 소프트웨어였기 때문에, 라임와이어 상표권이 사용되지 않는 한 비활성화 코드를 생략한 포크(fork)의 생성을 막을 수 없었다. 2010년 11월 9일, 라임와이어는 비밀 개발팀에 의해 부활하여 라임와이어 해적판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라임와이어 5.6 베타(BETA)를 기반으로 했다. 이 버전은 서버 종속성을 제거했고 모든 PRO 기능을 무료로 가능하게 했다.<ref>그누텔라 위키백과 - https://en.wikipedia.org/wiki/Gnutella#General_specifications</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