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가공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금속가공.jpg|썸네일|300픽셀|'''금속가공''']]
 
[[파일:금속가공.jpg|썸네일|300픽셀|'''금속가공''']]
  
'''금속가공'''(金屬加工)은 [[금속]] [[재료]]를 가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금속가공은 [[소성가공]]과 [[절삭가공]]으로 분류된다. 금속가공은 유용한 물체, [[부품]], 조립품 및 대규모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금속을 성형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88%EC%86%8D%EA%B0%80%EA%B3%B5#%EC%97%AD%EC%82%AC 금속가공]〉, 《위키백과》</ref>
+
'''금속가공 '''(金屬加工)은 [[금속]] [[재료]]를 가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금속가공은 [[소성가공]]과 [[절삭가공]]으로 분류된다. 금속가공은 유용한 물체, [[부품]], 조립품 및 대규모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금속을 성형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88%EC%86%8D%EA%B0%80%EA%B3%B5#%EC%97%AD%EC%82%AC 금속가공]〉, 《위키백과》</ref>
  
 
==개요==
 
==개요==
10번째 줄: 10번째 줄:
  
 
==소성가공==
 
==소성가공==
[[소성가공]]은 [[소성]]을 이용하여 재료를 소정의 형상, 치수의 제품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비 절삭가공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고체 물질에 힘을 가해 변형시킬 경우 힘이 작은 동안은 그 힘을 제거하면 물체의 형상은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데 이 성질을 [[탄성]]이라 한다. 힘을 점차 크게 가하면 마침내 힘을 제거해도 물체의 형상은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는데 이것이 소성변형이다. 또 고체가 갖는 이 성질을 소성이라 한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금속 제품의 대부분이 소성가공의 공정을 거쳐 제품화되며 이 가공은 금속가공의 중요 분야를 차지한다. 소성가공에는 압연, 압출, 단조(鍛造), 전단(剪斷), 인발(引拔), 프레스가공, 교정(矯正) 등의 각종 가공법이 있으며 각각의 가공명을 붙인 기계장치에 의해 가공된다. 압연, 압출 및 단조는 고온으로 가열한 상태나 실온에서 가공되지만 나머지는 주로 실온에서 가공된다. 금속재료는 소성가공에 의해 강도나 그 밖의 성질이 개선된다. 가공열처리라 하여 가열 온도와 소성가공을 잘 조합함으로써 더욱 제품 강도를 높이는 방법도 개발되어 있다. 소성가공은 동일한 형상, 치수의 물건을 다량 생산하는 데 적합한 수단으로서 기계장치 및 사용 공구의 고정밀도화에 따라 고정밀도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으며 특히 압연 가공에서는 자동제어기술의 도입이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다. 제품의 형상에 따라서는 절삭가공으로 만드는 것도 있는데 소성가공은 찌꺼기가 나오지 않는 가공이므로 재료의 유효 이용면에서 절삭가공보다 유리하나 제품정밀도 면에서는 절삭에 미치지 못한다. 한편 판, 관, 선재와 같이 소성가공이 아니면 만들 수 없는 것도 있는데 예를 들면 관을 압연이나 압출로도 만들 수 있는 것과 같이 같은 물건을 다른 종류의 소성가공으로 만드는 경우도 많다. 최근 용도의 다양화로 다품종소량생산의 요구가 소성가공 분야에서도 높아지고 있어 이에 적응할 수 있게 [[컴퓨터]]를 도입하여 [[로봇]]을 활용하는 자동화기술이 압연 이외의 분야에도 도입되어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하고 있다. 한편, 소성가공은 금속만이 아닌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비금속의 복합재료에도 실시된다.<ref>쉰들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thegoldman&logNo=30020537372 금속가공의 종류]〉, 《네이버 블로그》, 2007-08-02</ref>
+
소성가공은 [[소성]]을 이용하여 재료를 소정의 형상, 치수의 제품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비 절삭가공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고체 물질에 힘을 가해 변형시킬 경우 힘이 작은 동안은 그 힘을 제거하면 물체의 형상은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데 이 성질을 [[탄성]]이라 한다. 힘을 점차 크게 가하면 마침내 힘을 제거해도 물체의 형상은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는데 이것이 소성변형이다. 또 고체가 갖는 이 성질을 소성이라 한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금속 제품의 대부분이 소성가공의 공정을 거쳐 제품화되며 이 가공은 금속가공의 중요 분야를 차지한다. 소성가공에는 압연, 압출, 단조(鍛造), 전단(剪斷), 인발(引拔), 프레스가공, 교정(矯正) 등의 각종 가공법이 있으며 각각의 가공명을 붙인 기계장치에 의해 가공된다. 압연, 압출 및 단조는 고온으로 가열한 상태나 실온에서 가공되지만 나머지는 주로 실온에서 가공된다. 금속재료는 소성가공에 의해 강도나 그 밖의 성질이 개선된다. 가공열처리라 하여 가열 온도와 소성가공을 잘 조합함으로써 더욱 제품 강도를 높이는 방법도 개발되어 있다. 소성가공은 동일한 형상, 치수의 물건을 다량 생산하는 데 적합한 수단으로서 기계장치 및 사용 공구의 고정밀도화에 따라 고정밀도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으며 특히 압연 가공에서는 자동제어기술의 도입이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다. 제품의 형상에 따라서는 절삭가공으로 만드는 것도 있는데 소성가공은 찌꺼기가 나오지 않는 가공이므로 재료의 유효 이용면에서 절삭가공보다 유리하나 제품정밀도 면에서는 절삭에 미치지 못한다. 한편 판, 관, 선재와 같이 소성가공이 아니면 만들 수 없는 것도 있는데 예를 들면 관을 압연이나 압출로도 만들 수 있는 것과 같이 같은 물건을 다른 종류의 소성가공으로 만드는 경우도 많다. 최근 용도의 다양화로 다품종소량생산의 요구가 소성가공 분야에서도 높아지고 있어 이에 적응할 수 있게 [[컴퓨터]]를 도입하여 [[로봇]]을 활용하는 자동화기술이 압연 이외의 분야에도 도입되어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하고 있다. 한편, 소성가공은 금속만이 아닌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비금속의 복합재료에도 실시된다.<ref>쉰들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thegoldman&logNo=30020537372 금속가공의 종류]〉, 《네이버 블로그》, 2007-08-02</ref>
 
+
* [[압연]](壓延, rolling): 회전하는 롤(원주형의 공구) 사이에 판상이나 봉상의 재료를 통과시켜 두께와 단면적을 감소시켜 판재, 형재, 관재, 봉재, 선재로 성형하는 가공법이다. 재료의 재결정온도(再結晶溫度,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이상에서의 압연을 열간압연(熱間壓延, hot rolling)이라 하고, 그 이하의 온도에서의 압연을 냉간압연(冷間壓延, cold rolling)이라고 한다.
* '''[[압연]]'''(壓延, rolling): 회전하는 롤(원주형의 공구) 사이에 판상이나 봉상의 재료를 통과시켜 두께와 단면적을 감소시켜 [[판재]], [[형재]], [[관재]], [[봉재]], [[선재]]로 성형하는 가공법이다. 재료의 재결정온도(再結晶溫度,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이상에서의 압연을 열간압연(熱間壓延, hot rolling)이라 하고, 그 이하의 온도에서의 압연을 냉간압연(冷間壓延, cold rolling)이라고 한다.
+
* [[압출]](押出, extruding): 컨테이너(container)에 빌릿(billet)을 넣어 압봉으로 빌릿에 압력을 가하면 다이(die) 구멍으로 유출되어 봉재, 형재, 관재 등의 일정한 단면을 가진 제품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 '''[[압출]]'''(押出, extruding): [[컨테이너]](container)에 빌릿(billet)을 넣어 압봉으로 빌릿에 압력을 가하면 다이(die) 구멍으로 유출되어 봉재, 형재, 관재 등의 일정한 단면을 가진 제품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
* [[인발]](引拔, drawing): 압출과 반대로 가는 구멍을 가진 다이(die)에 재료를 통과시켜 그 끝을 척으로 잡아당겨 다이 공형과 동일한 단면의 봉을 선 및 관재로 가공하는 가공법이다.
* '''[[인발]]'''(引拔, drawing): 압출과 반대로 가는 [[구멍]]을 가진 다이(die)에 재료를 통과시켜 그 끝을 척으로 잡아당겨 다이 공형과 동일한 단면의 봉을 선 및 관재로 가공하는 가공법이다.
+
* [[단조]](鍛造, forging): 강체공구를 이용하여 재료를 압축 변형시켜 결정립을 미세하게 하여 결정 조직을 균일하게 하는 동시에 재료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가공법이다. 쉽게 말해 해머로 재료를 두드리는 가공법이다.
* '''[[단조 (제조)|단조]]'''(鍛造, forging): 강체공구를 이용하여 재료를 압축 변형시켜 결정립을 미세하게 하여 결정 조직을 균일하게 하는 동시에 재료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가공법이다. 쉽게 말해 해머로 재료를 두드리는 가공법이다.
+
* [[드로잉]](drawing): 평판으로부터 이음매가 없는 중공 용기를 만드는 대표적인 성형법이다. 다이 표면 위에 있는 재료를 원주 방향으로 줄이면서 펀치와 다이 사이를 이동시켜 측벽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 '''[[드로잉]]'''(drawing): 평판으로부터 이음매가 없는 중공 용기를 만드는 대표적인 성형법이다. 다이 표면 위에 있는 재료를 원주 방향으로 줄이면서 펀치와 다이 사이를 이동시켜 측벽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
* [[전단 (제조)|전단]](剪斷, shearing): 목적에 맞는 형상의 공구를 이용하여 판재나 봉재를 전단 변형시켜 최종적으로 파괴가 될 때까지 목적으로 하는 형상과 치수로 재료를 절단, 분리하는 가공법이다. 이러한 가공은 [[프레스]] 기계를 이용한다.
* '''[[전단 (제조)|전단]]'''(剪斷, shearing): 목적에 맞는 형상의 [[공구]]를 이용하여 판재나 봉재를 전단 변형시켜 최종적으로 파괴가 될 때까지 목적으로 하는 형상과 치수로 재료를 절단, 분리하는 가공법이다. 이러한 가공은 [[프레스]] 기계를 이용한다.
 
  
 
==절삭가공==
 
==절삭가공==
 
절삭가공은 공작물보다 경도가 높은 [[공구]](tool)를 사용하여 칩을 깎아내어 소정의 모양과 치수로 맞추어 제품을 만드는 작업이다. 절삭가공은 기계로 재료를 가공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에는 밀링, 선반, 드릴링 등이 있다. 절삭의 특징은 재료를 깎을 때 필요 없는 부분을 칩(chip)으로서 잘라내는 것인데 가공할 때 칩, 즉 파쇄 조각이 생긴다. 절삭가공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톱으로 목재나 금속을 절단하는 것도 일종의 절삭이며 기계를 제작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공작기계에 의한 가공의 대부분도 절삭가공에 포함된다.  절삭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작물 재질, 공구의 재질, 절삭속도, 칩의 단면적(절삭깊이x이송), 공구의 모양, 냉각 및 윤활 등에 영향이 받는다.<ref>깜부, 〈[https://hunid64.tistory.com/439 절삭가공의 개요]〉, 《티스토리》, 2010-06-20</ref>
 
절삭가공은 공작물보다 경도가 높은 [[공구]](tool)를 사용하여 칩을 깎아내어 소정의 모양과 치수로 맞추어 제품을 만드는 작업이다. 절삭가공은 기계로 재료를 가공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에는 밀링, 선반, 드릴링 등이 있다. 절삭의 특징은 재료를 깎을 때 필요 없는 부분을 칩(chip)으로서 잘라내는 것인데 가공할 때 칩, 즉 파쇄 조각이 생긴다. 절삭가공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톱으로 목재나 금속을 절단하는 것도 일종의 절삭이며 기계를 제작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공작기계에 의한 가공의 대부분도 절삭가공에 포함된다.  절삭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작물 재질, 공구의 재질, 절삭속도, 칩의 단면적(절삭깊이x이송), 공구의 모양, 냉각 및 윤활 등에 영향이 받는다.<ref>깜부, 〈[https://hunid64.tistory.com/439 절삭가공의 개요]〉, 《티스토리》, 2010-06-20</ref>
 
+
* 선삭가공(旋削加工, turning operations): 가공할 재료를 척에 고정하여 회전시키고, 공구는 공구대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원하는 형상의 원통과 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층을 절삭하면서 봉의 축을 따라 일정한 비율로 움직이면서 깎아내는 가공법이다.
* '''[[선삭가공]]'''(旋削加工, turning operations): 가공할 재료를 척에 고정하여 회전시키고, 공구는 공구대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원하는 형상의 원통과 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층을 절삭하면서 봉의 축을 따라 일정한 비율로 움직이면서 깎아내는 가공법이다.<ref>바로발주, 〈[https://www.baro-order.com/magazine/%EC%84%A0%EB%B0%98%EA%B0%80%EA%B3%B5%EC%9D%98-%EC%A2%85%EB%A5%98-%EB%B0%8F-%ED%8A%B9%EC%A7%95/118/ 제조백과 | 선반 가공: 정의, 종류, 특징]〉, 《바로발주 매거진》, 2024-01-09</ref>
+
* 보링가공(boring): 재료를 테이블 위에 고정을 시키고 보링용 공구를 이용하여 구멍을 뚫는 가공법이다. 대형 또는 복잡한 형상의 재료에 구멍을 뚫는데 편리한 가공법이다.
* '''[[보링가공]]'''(boring): 재료를 테이블 위에 고정을 시키고 보링용 공구를 이용하여 구멍을 뚫는 가공법이다. 대형 또는 복잡한 형상의 재료에 구멍을 뚫는데 편리한 가공법이다.
+
* 드릴링가공(drilling fabricating): 선반, 드릴링 머신에서 수행되는 구멍 뚫기 작업에 흔히 사용되는 공구인 트위스트 드릴(twist drill)을 이용하여 제품에 구멍을 뚫는 가공법이다.
* '''[[드릴링가공]]'''(drilling fabricating): 선반, 드릴링 머신에서 수행되는 구멍 뚫기 작업에 흔히 사용되는 공구인 트위스트 드릴(twist drill)을 이용하여 제품에 구멍을 뚫는 가공법이다.
+
* 평삭가공(平削加工, facing operations): 선반에서 수행되며 표면에서 중심을 향하거나 중심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공구를 이송하면서 회전축에 수직인 편평한 표면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 '''[[평삭가공]]'''(平削加工, facing operations): 선반에서 수행되며 표면에서 중심을 향하거나 중심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공구를 이송하면서 회전축에 수직인 편평한 표면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
* 밀링가공(milling fabricating): 주축에 고정한 밀링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고정된 재료에 절삭 깊이와 이송을 주어 절삭하는 공작기계를 밀링이라 하며 이러한 공작기계로 [[자동차]] 실린더블록의 면과 같이 편평한 표면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 '''[[밀링가공]]'''(milling fabricating): 주축에 고정한 밀링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고정된 재료에 절삭 깊이와 이송을 주어 절삭하는 공작기계를 밀링이라 하며 이러한 공작기계로 [[자동차]] 실린더블록의 면과 같이 편평한 표면을 만드는 가공법이다.
 
  
 
==장점==
 
==장점==
63번째 줄: 61번째 줄:
 
* 〈[https://ko.wikipedia.org/wiki/%EA%B8%88%EC%86%8D%EA%B0%80%EA%B3%B5#%EC%97%AD%EC%82%AC 금속가공]〉,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A%B8%88%EC%86%8D%EA%B0%80%EA%B3%B5#%EC%97%AD%EC%82%AC 금속가공]〉, 《위키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83720&cid=44414&categoryId=44414 소성 및 절삭가공]〉,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83720&cid=44414&categoryId=44414 소성 및 절삭가공]〉, 《네이버 지식백과》
* 바로발주, 〈[https://www.baro-order.com/magazine/%EC%84%A0%EB%B0%98%EA%B0%80%EA%B3%B5%EC%9D%98-%EC%A2%85%EB%A5%98-%EB%B0%8F-%ED%8A%B9%EC%A7%95/118/ 제조백과 | 선반 가공: 정의, 종류, 특징]〉, 《바로발주 매거진》, 2024-01-09
 
 
* KaNonx카논, 〈[https://kanonxkanon.tistory.com/3706 (금속 가공)금속 가공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서 철저 해설]〉, 《티스토리》, 2020-04-06
 
* KaNonx카논, 〈[https://kanonxkanon.tistory.com/3706 (금속 가공)금속 가공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서 철저 해설]〉, 《티스토리》, 2020-04-06
 
* 쉰들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thegoldman&logNo=30020537372 금속가공의 종류]〉, 《네이버 블로그》, 2007-08-02
 
* 쉰들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thegoldman&logNo=30020537372 금속가공의 종류]〉, 《네이버 블로그》, 2007-08-02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