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씨드 PHEV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씨드 PHEV.jpg|썸네일|300픽셀|'''기아 씨드 PHEV'''(KIA CEED PHEV)]]
+
[[파일:씨드 PHEV.jpg|썸네일|300픽셀|'''씨드 PHEV'''(Kia CEED PHEV)]]
[[파일:기아㈜ 글자.png|썸네일|300픽셀|'''[[기아㈜]]'''(KIA)]]
+
[[파일:기아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기아자동차㈜]]'''(KIA Motors)]]
 
[[파일:현대자동차그룹 글자.png|썸네일|300픽셀|'''[[현대자동차그룹]]'''(Hyundai Motor Group)]]
 
[[파일:현대자동차그룹 글자.png|썸네일|300픽셀|'''[[현대자동차그룹]]'''(Hyundai Motor Group)]]
  
'''기아 씨드 PHEV'''(KIA Cee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는 '''[[기아㈜]]'''에서 유럽 시장을 겨냥해 생산한 스포츠왜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이다. [[기아 씨드]]의 하이브리드 전기차 버전이다.
+
'''씨드 PHEV'''(Cee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는 '''[[기아자동차㈜]]'''에서 유럽 시장을 겨냥해 생산한 스포츠왜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이다.
{{:자동차 배너|기아}}
 
  
 
==개요==
 
==개요==
유럽시장에서 기아차가 씨드 스포츠왜건과 엑씨드 크로스오버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였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1.6리터 배기량의 ‘카파’ 4기통 가솔린 GDI 엔진, 8.9kWh 리튬-폴리머 배터리 팩, 그리고 44.5kW(60ps) 출력의 전기 모터 한 기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가졌다. 최고출력은 141ps(139hp), 최대토크는 27kg.m(265Nm)에 이른다. 이러한 힘은 6단 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를 통해 최종적으로 앞바퀴로 전달되며, 씨드 스포츠왜건은 10.8초, 엑씨드 크로스오버는 11초에 제로백을 달성한다. 기아 씨드 PHEV는 완전 전기 모드에서 60km를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양쪽 모두 [[회생제동]] 기술이 적용되어, 타력 주행 또는 제동 중에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파워트레인]]의 효율성을 한층 높인다.<ref>아날로그, 〈[https://blog.naver.com/offerkiss/221658229805 씨드 첫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2020 Kia Ceed Sportswagon & XCeed PHEV]〉, 《네이버 블로그》, 2019-09-24</ref>
+
유럽시장에서 기아차가 씨드 스포츠왜건과 엑씨드 크로스오버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였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1.6리터 배기량의 ‘카파’ 4기통 가솔린 GDI 엔진, 8.9kWh 리튬-폴리머 배터리 팩, 그리고 44.5kW(60ps) 출력의 전기 모터 한 기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가졌다. 최고출력은 141ps(139hp), 최대토크는 27kg.m(265Nm)에 이른다. 이러한 힘은 6단 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를 통해 최종적으로 앞바퀴로 전달되며, 씨드 스포츠왜건은 10.8초, 엑씨드 크로스오버는 11초에 제로백을 달성한다. 씨드 PHEV는 완전 전기 모드에서 60km를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양쪽 모두 회생 제동 기술이 적용되어, 타력 주행 또는 제동 중에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파워트레인의 효율성을 한층 높인다.<ref>아날로그, 〈[https://blog.naver.com/offerkiss/221658229805 씨드 첫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2020 Kia Ceed Sportswagon & XCeed PHEV]〉, 《네이버 블로그》, 2019-09-24</ref>
  
 
==특징==
 
==특징==
26번째 줄: 25번째 줄:
 
:{|class=wikitable width=400
 
:{|class=wikitable width=400
 
!align=center|모델명
 
!align=center|모델명
!align=center|2019 기아 씨드 PHEV
+
!align=center|2019 씨드 PHEV
 
|-
 
|-
 
!align=center|가격정보
 
!align=center|가격정보
63번째 줄: 62번째 줄:
  
 
==비교==
 
==비교==
===기아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일: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jpg|썸네일|300픽셀|'''기아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KIA Niro Plug-In Hybrid)]]
+
[[파일: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jpg|썸네일|300픽셀|'''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Niro Plug-In Hybrid)]]
  
[[기아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의 장점을 모든 친환경차이다. 최대 항속거리가 840km에 달하며, 8.9kWh의 고용량 배터리로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성을 자랑하고, EV모드로 무려 40km를 기름 한 방울 쓰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배터리를 다 쓰고 나면 하이브리드와 같이 엔진과 전기모터를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HEV모드에서는 가속하거나 오르막길을 오를 때 엔진으로 출력을 낸다. 반대로 감속 상황 혹은 내리막길에선 회생제동 기능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한다. 또 충전된 배터리는 다시 전기모터로 상황에 맞춰서 차가 앞으로 나아간다. 배터리 없이 800km의 항속거리를 자랑할 수 있는 이유이다.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혁신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SUV 스타일을 자랑한다. 공력 성능을 위한 에어로 다이내믹 디자인을 갖추면서도 개성을 잃지 않았다. LED헤드램프로 고급스러움은 물론 야간의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한다. 또 라디에이터 그릴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만의 전면과 후면의 컬러 포인트가 보는 이로 하여금 차별성을 느끼게 한다. 실내 역시 모든 부분이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디자인 돼 차별화된 개성을 선사한다. 일반적으로 기아자동차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배터리 용량은 하이브리드의 배터리 용량보다 큰데, 이는 실내와 트렁크의 공간을 좁아지게 한다. 하지만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차체 설계부터 최적화된 패키지를 구현해 넉넉한 실내 공간을 자랑한다. 동급모델과 비교해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한다. 트렁크 공간 역시 충분하여 메인 배터리와 서브 배터리의 위치를 나눠 배치해 공간 효율성을 높여 골프백과 보스턴백을 각 2개씩 실을 수 있을 대용량 트렁크 공간을 갖췄다.<ref>현대자동차그룹, 〈[https://blog.naver.com/hyundai_blog/221160316521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네 가지 매력]〉, 《네이버 블로그》, 2017-12-11</ref>
+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의 장점을 모든 친환경차이다. 최대 항속거리가 840km에 달하며, 8.9kWh의 고용량 배터리로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성을 자랑하고, EV모드로 무려 40km를 기름 한 방울 쓰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배터리를 다 쓰고 나면 하이브리드와 같이 엔진과 전기모터를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HEV모드에서는 가속하거나 오르막길을 오를 때 엔진으로 출력을 낸다. 반대로 감속 상황 혹은 내리막길에선 회생제동 기능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한다. 또 충전된 배터리는 다시 전기모터로 상황에 맞춰서 차가 앞으로 나아간다. 배터리 없이 800km의 항속거리를 자랑할 수 있는 이유이다.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혁신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SUV 스타일을 자랑한다. 공력 성능을 위한 에어로 다이내믹 디자인을 갖추면서도 개성을 잃지 않았다. LED헤드램프로 고급스러움은 물론 야간의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한다. 또 라디에이터 그릴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만의 전면과 후면의 컬러 포인트가 보는 이로 하여금 차별성을 느끼게 한다. 실내 역시 모든 부분이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디자인 돼 차별화된 개성을 선사한다. 일반적으로 기아자동차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배터리 용량은 하이브리드의 배터리 용량보다 큰데, 이는 실내와 트렁크의 공간을 좁아지게 한다. 하지만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차체 설계부터 최적화된 패키지를 구현해 넉넉한 실내 공간을 자랑한다. 동급모델과 비교해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한다. 트렁크 공간 역시 충분하여 메인 배터리와 서브 배터리의 위치를 나눠 배치해 공간 효율성을 높여 골프백과 보스턴백을 각 2개씩 실을 수 있을 대용량 트렁크 공간을 갖췄다.<ref>현대자동차그룹, 〈[https://blog.naver.com/hyundai_blog/221160316521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네 가지 매력]〉, 《네이버 블로그》, 2017-12-11</ref>
  
===기아 엑씨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엑씨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일:엑씨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jpg|썸네일|300픽셀|'''기아 엑씨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KIA Xceed Plug-in Hybrid)]]
+
[[파일:엑씨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jpg|썸네일|300픽셀|'''엑씨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Xceed Plug-in Hybrid)]]
  
기아차 영국법인은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 적용된 [[기아 엑씨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KIA Xceed PHEV)를 공개했다. 엑씨드 PHEV는 1.6리터 가솔린엔진, 6단 하이브리드 듀얼클러치 변속기, 전기모터와 배터리팩으로 순수 전기모드 주행거리 60km를 목표로 한다. 기아차는 차세대 전동화 전략의 일환으로 신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유닛을 공개했다. 기아차의 유럽 전략모델 엑씨드와 씨드 스포츠왜건에 우선 적용되는 신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020년 유럽시장에서의 출고가 시작되었으며, 컴팩트 라인업에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신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기존 가솔린과 디젤 등 내연기관을 대체한다. 8.9kWh 리튬 폴리머 배터리팩과 44.5kW 전기모터와 1.6리터 4기통 카파 GDI 가솔린엔진은 합산출력 141마력, 합산토크 27.0kgm를 발휘한다. 엑씨드의 100km/h 가속은 10.8초다. 기아차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e-CVT 변속기의 경쟁차와 달리 6단 DCT 변속기 적용으로 가속시 직결감을 높여 감성적인 만족을 제공한다. e-CVT 변속기는 단점으로 엔진 출력의 일부를 에너지로 변환해 전력 손실을 초래하는 반면 DCT는 병렬식으로 손실이 적다. 엑씨드와 씨드 스포츠왜건의 1회 충전 전기모드 주행거리는 유럽 기준 60km로 일일 드라이브와 짧은 통근의 경우 전기만으로 소화할 수 있다. PHEV 모델에는 버추얼 엔진 사운드 시스템 적용을 통해 저속 또는 전기모드 주행 시 59dBA의 가상 사운드를 나타낸다.<ref>이한승 기자,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4455197&memberNo=32022697&searchKeyword=%EC%94%A8%EB%93%9C&searchRank=144 기아차 엑씨드 PHEV 공개, 전기모드 60km 주행]〉, 《탑라이더》, 2019-09-03</ref>
+
기아차 영국법인은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 적용된 엑씨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공개했다. 엑씨드 PHEV는 1.6리터 가솔린엔진, 6단 하이브리드 듀얼클러치 변속기, 전기모터와 배터리팩으로 순수 전기모드 주행거리 60km를 목표로 한다. 기아차는 차세대 전동화 전략의 일환으로 신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유닛을 공개했다. 기아차의 유럽 전략모델 엑씨드와 씨드 스포츠왜건에 우선 적용되는 신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020년 유럽시장에서의 출고가 시작되었으며, 컴팩트 라인업에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신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기존 가솔린과 디젤 등 내연기관을 대체한다. 8.9kWh 리튬 폴리머 배터리팩과 44.5kW 전기모터와 1.6리터 4기통 카파 GDI 가솔린엔진은 합산출력 141마력, 합산토크 27.0kgm를 발휘한다. 엑씨드의 100km/h 가속은 10.8초다. 기아차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e-CVT 변속기의 경쟁차와 달리 6단 DCT 변속기 적용으로 가속시 직결감을 높여 감성적인 만족을 제공한다. e-CVT 변속기는 단점으로 엔진 출력의 일부를 에너지로 변환해 전력 손실을 초래하는 반면 DCT는 병렬식으로 손실이 적다. 엑씨드와 씨드 스포츠왜건의 1회 충전 전기모드 주행거리는 유럽 기준 60km로 일일 드라이브와 짧은 통근의 경우 전기만으로 소화할 수 있다. PHEV 모델에는 버추얼 엔진 사운드 시스템 적용을 통해 저속 또는 전기모드 주행 시 59dBA의 가상 사운드를 나타낸다.<ref>이한승 기자,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4455197&memberNo=32022697&searchKeyword=%EC%94%A8%EB%93%9C&searchRank=144 기아차 엑씨드 PHEV 공개, 전기모드 60km 주행]〉, 《탑라이더》, 2019-09-03</ref>
  
 
{{각주}}
 
{{각주}}
83번째 줄: 82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기아㈜]]
+
* [[기아자동차㈜]]
* [[기아 씨드]]
+
* [[씨드]]
  
 
{{전기자동차|검토 필요}}
 
{{전기자동차|검토 필요}}
{{기아자동차}}
+
{{자동차 종류}}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