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압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기압]]'''(Atmospheric Pressure, 氣壓)은 지구상에서 [[대기 (자연)|대기]]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압력을 뜻하며 '''대기압'''(大氣壓)이라고도 한다. 지구 이외의 다른 행성이 공기층을 가지고 있을 때 그 공기층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압력을 그 행성의 기압이라고도 한다. 기압은 해발고도에 따라 약해진다. 대기권에 존재하는 공기의 99%는 해발고도 30km 이하에 몰려 있으며 5,550m마다 기압이 반으로 줄어든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5%95 기압]〉, 《위키백과》</ref><ref>〈[https://namu.wiki/w/%EA%B8%B0%EC%95%95 기압]〉, 《나무위키》</ref><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89872&cid=60217&categoryId=60217 기압]〉, 《네이버 지식백과》</ref><ref>"[https://en.wikipedia.org/wiki/Atmospheric_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Wikipedia''</ref>
+
'''[[기압]]'''(Atmospheric Pressure, 氣壓)은 지구상에서 [[대기]]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압력을 뜻하며 '''대기압'''(大氣壓)이라고도 한다. 지구 이외의 다른 행성이 공기층을 가지고 있을 때 그 공기층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압력을 그 행성의 기압이라고도 한다. 기압은 해발고도에 따라 약해진다. 대기권에 존재하는 공기의 99%는 해발고도 30km 이하에 몰려 있으며 5,550m마다 기압이 반으로 줄어든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5%95 기압]〉, 《위키백과》</ref><ref>〈[https://namu.wiki/w/%EA%B8%B0%EC%95%95 기압]〉, 《나무위키》</ref><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89872&cid=60217&categoryId=60217 기압]〉, 《네이버 지식백과》</ref><ref>"[https://en.wikipedia.org/wiki/Atmospheric_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Wikipedia''</ref>
  
 
==개요==
 
==개요==
11번째 줄: 11번째 줄:
 
[[파일:토리첼리의 실험.jpg|썸네일|300픽셀||토리첼리의 실험]]
 
[[파일:토리첼리의 실험.jpg|썸네일|300픽셀||토리첼리의 실험]]
 
[[파일:수은, 물, 공기 기압높이.jpg|썸네일|300픽셀||수은, 물, 공기 기압높이]]
 
[[파일:수은, 물, 공기 기압높이.jpg|썸네일|300픽셀||수은, 물, 공기 기압높이]]
기압 측정은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토리첼리(Evangelista Torricelli, 1608–1647)가 고안한 기압계로 1643년 다음과 같이 최초로 행해졌다.  수은조에 약 1 cm²의 단면적을 가진 1.2 m의 유리관을 세웠다. 그리고 그 높이를 매일 관측하였는데 관측할 때마다 수은주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수은주의 높이가 약 760 mm까지 상승하였을 때의 공기가 누르는 힘(압력)을 1 기압이라고 한다. 이후 이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760 mm의 [[수은]](Hg) 기둥의 높이를 1 기압의 표준으로 삼았다. 참고로 수은의 비중은 13.6 정도이므로 1의 비중을 가진 물과 비교한다면 760 mm 수은의 무게가 주는 압력은 10여 미터 정도의 물기둥의 무게가 주는 압력과 동일하다. 이것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받는 1 기압의 압력은 10 m 정도의 물기둥을 어깨에 이고 있는 상태에서 받는 압력과 매우 비슷하다는 뜻이다. 1제곱 센티 면적의 10m 기둥 높이이다. 만약 우리가 해수면 기준으로 수중 10 m의 물속에 들어간다면 [[대기 (자연)|대기]] 중의 1 기압과 10 m 물 속의 1 기압 가량의 수중 압력이 합쳐져서 약 2 기압의 압력을 받게 된다. 기압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당연히 이 유리관 속의 수은주는 높이 밀려 올라갈 것이고 기압이 낮아지면 수은주는 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인하여 즉 수은주의 높이를 측정한 것이 바로 기압이다.
+
기압 측정은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토리첼리(Evangelista Torricelli, 1608–1647)가 고안한 기압계로 1643년 다음과 같이 최초로 행해졌다.  수은조에 약 1 cm²의 단면적을 가진 1.2 m의 유리관을 세웠다. 그리고 그 높이를 매일 관측하였는데 관측할 때마다 수은주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수은주의 높이가 약 760 mm까지 상승하였을 때의 공기가 누르는 힘(압력)을 1 기압이라고 한다. 이후 이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760 mm의 [[수은]](Hg) 기둥의 높이를 1 기압의 표준으로 삼았다. 참고로 수은의 비중은 13.6 정도이므로 1의 비중을 가진 물과 비교한다면 760 mm 수은의 무게가 주는 압력은 10여 미터 정도의 물기둥의 무게가 주는 압력과 동일하다. 이것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받는 1 기압의 압력은 10 m 정도의 물기둥을 어깨에 이고 있는 상태에서 받는 압력과 매우 비슷하다는 뜻이다. 1제곱 센티 면적의 10m 기둥 높이이다. 만약 우리가 해수면 기준으로 수중 10 m의 물속에 들어간다면 대기 중의 1 기압과 10 m 물 속의 1 기압 가량의 수중 압력이 합쳐져서 약 2 기압의 압력을 받게 된다. 기압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당연히 이 유리관 속의 수은주는 높이 밀려 올라갈 것이고 기압이 낮아지면 수은주는 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인하여 즉 수은주의 높이를 측정한 것이 바로 기압이다.
  
 
1 기압 = 1 atm = 760 mmHg
 
1 기압 = 1 atm = 760 mmHg
63번째 줄: 63번째 줄:
 
* "[https://en.wikipedia.org/wiki/Atmospheric_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Atmospheric_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Wikipedia''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대기 (자연)|대기]]
+
* [[대기]]
 
* [[무게]]
 
* [[무게]]
 
* [[수은]]
 
* [[수은]]
  
{{자연|검토 필요}}
+
{{에너지|검토 필요}}
{{에너지}}
 
{{날씨}}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