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연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기체연료.jpg|썸네일|300픽셀|기체연료 [[천연가스]]인 LNG 수송선]]
+
'''기체연료'''(氣體燃料, gaseous fuel)는 기체 상태로 사용되는 [[연료]]로서 [[액체연료]]처럼 파이프에 의한 연속수송이 가능하고, 착화성(着火性)이 좋아 연소의 조절이 편리하며, 연소 뒤에 회분(灰分)이 남지 않아 청결해서 공업용이나 가정용으로 사용된다.
  
'''기체연료'''<!--기체 연료-->(氣體燃料, gaseous fuel)는 [[기체]] 상태로 사용되는 [[연료]]이다. '''연료가스'''<!--연료 가스-->라고도 한다. 기체연료는 [[액체연료]]처럼 파이프에 의한 연속수송이 가능하고, 착화성(着火性)이 좋아 연소의 조절이 편리하며, [[연소]] 뒤에 회분(灰分)이 남지 않아 청결해서 공업용이나 가정용으로 사용된다.
+
기체 상태로 사용되는 연료로 [[고체연료]] · [[액체연료]]에 대비(對比)한 말이다.  
  
기체연료는 기체 상태로 사용되는 연료로 [[고체연료]] 및 [[액체연료]]에 대비(對比)한 말이다. 기체연료는 같은 [[열량]](熱量)을 수송할 때 액체연료보다 굵은 파이프가 필요하며, 저장에도 대용량(大容量)의 탱크 설비가 필요하지만, 도시나 공장 등에 집단 공급할 때의 경제성과 연소기구(燃燒器具)의 간이성(簡易性)이 높아 도시가스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었다.
+
기체연료는 같은 [[열량]](熱量)을 수송할 때 액체연료보다 굵은 파이프가 필요하며, 저장에도 대용량(大容量)의 탱크 설비가 필요하지만, 도시나 공장 등에 집단 공급할 때의 경제성과 연소기구(燃燒器具)의 간이성(簡易性)이 높아 도시가스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었다.
  
널리 사용되는 기체연료는 [[천연가스]], [[석탄가스]], [[오일가스]], [[유정가스]](油井), [[탄갱가스]](炭坑), 제유소(製油所) 가스, [[LP가스]]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또 고온의 불꽃을 만들어 내는 특수 기체연료로는 [[아세틸렌]]이나 [[수소]]와 [[산소]]의 혼합가스가 사용된다.
+
널리 사용되는 기체연료는 [[천연가스]] · [[석탄가스]] · [[오일가스]] · [[유정가스]]((油井)) · 탄갱가스((炭坑)) · 제유소(製油所)가스 · [[LP가스]]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또 고온의 불꽃을 만들어 내는 특수 기체연료로는 [[아세틸렌]]이나 수소와 산소의 혼합가스가 사용된다.
  
 
== 개요 ==
 
== 개요 ==
기체연료는 주로 [[가연성]] 가스로 이루어진 기체로서, 상온에서 [[기체]]인 [[연료]]를 말한다. 기체 연료의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가연성 가스는 표와 같으며, 그 외에 불연성 성분으로서 [[탄산가스]], [[질소]], [[산소]], [[수증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체 연료를 함유하는 성분에 따라 대별하면 일산화탄소, 수소, 메탄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탄 가스계와 프로판, 부탄 등의 포화 탄화수소 및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를 주체로 하는 석유 가스계와 자연에 존재하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 도시 가스나 [[LPG]]와 같은 가공 가스로 나누는 경우도 있다. 기체 연료는 그 특성상 액체 연료에 비해 연소 방법이나 조절이 매우 용이하며, 회분(灰分)이나 유황분의 함유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연소 가스가 청정하며 전열면이나 노벽의 오손이 극히 적고 NOx(질소 산화물)의 제어 연소법도 간단히 적용될 수 있는 무공해 연료라는 장점이 있다.
+
기체연료는 주로 [[가연성]] 가스로 이루어진 기체로서, 상온에서 기체인 연료를 말한다. 기체 연료의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가연성 가스는 표와 같으며, 그 외에 불연성 성분으로서 [[탄산가스]], [[질소]], [[산소]], [[수증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체 연료를 함유하는 성분에 따라 대별하면 일산화탄소, 수소, 메탄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탄 가스계와 프로판, 부탄 등의 포화 탄화수소 및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를 주체로 하는 석유 가스계와 자연에 존재하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 도시 가스나 [[LPG]]와 같은 가공 가스로 나누는 경우도 있다. 기체 연료는 그 특성상 액체 연료에 비해 연소 방법이나 조절이 매우 용이하며, 회분(灰分)이나 유황분의 함유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연소 가스가 청정하며 전열면이나 노벽의 오손이 극히 적고 NOx(질소 산화물)의 제어 연소법도 간단히 적용될 수 있는 무공해 연료라는 장점이 있다.
  
 
;기체연료의 주성분
 
;기체연료의 주성분
67번째 줄: 67번째 줄:
 
* 회분이나 매연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황함량이 낮다.
 
* 회분이나 매연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황함량이 낮다.
  
=== 장치적 측면 ===
+
=== 장치적 측면 ===
 
* 저장 및 수송에 어려움이 있고 시설비가 많이 소요된다.
 
* 저장 및 수송에 어려움이 있고 시설비가 많이 소요된다.
 
* 누출되기 쉽고 폭발 위험성이 크다.
 
* 누출되기 쉽고 폭발 위험성이 크다.
92번째 줄: 92번째 줄:
  
 
== 종류 ==
 
== 종류 ==
:{|class=wikitable width=1000
+
:{|class=wikitable width=800
 
!align=center|기체연료
 
!align=center|기체연료
 
!align=center|생성조건
 
!align=center|생성조건
123번째 줄: 123번째 줄:
 
|align=center|- 용광로가스라고도 하며 발열량이 1000kcal/Sm³으로 매우 낮음
 
|align=center|- 용광로가스라고도 하며 발열량이 1000kcal/Sm³으로 매우 낮음
 
|-
 
|-
|align=center|코크스가스
+
|align=centerr|코크스가스
 
|align=center|석탄의 건류
 
|align=center|석탄의 건류
 
|align=center|CH₄, H2
 
|align=center|CH₄, H2
166번째 줄: 166번째 줄:
 
셰일 안에 갇혀 있는 가스로 메탄이 주성분이 천연가스의 일종으로 셰일이란 입자의 크기가 62㎛ 이하의 작은 실트와 점토가 고화되어 형성된 세립질 쇄설성 퇴적암이다. 셰일가스는 제2의 석유라고 부르며 탄화수소의 생성, 이동, 저장이 모두 근원암층인 셰일 층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새로운 개념의 비전통 에너지 자원이다.
 
셰일 안에 갇혀 있는 가스로 메탄이 주성분이 천연가스의 일종으로 셰일이란 입자의 크기가 62㎛ 이하의 작은 실트와 점토가 고화되어 형성된 세립질 쇄설성 퇴적암이다. 셰일가스는 제2의 석유라고 부르며 탄화수소의 생성, 이동, 저장이 모두 근원암층인 셰일 층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새로운 개념의 비전통 에너지 자원이다.
  
:{|class=wikitable width=800
+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탄화수소류
 
!align=center|탄화수소류
 
!align=center|분자식
 
!align=center|분자식
202번째 줄: 202번째 줄:
 
|align=center|C₄H₈
 
|align=center|C₄H₈
 
|align=center|- 사슬모양의 불포화탄화수소<br>- 특유의 냄새가 무색기체로 원유에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음.
 
|align=center|- 사슬모양의 불포화탄화수소<br>- 특유의 냄새가 무색기체로 원유에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음.
|}
+
|}<ref name="오아시스"></ref>
<ref name="오아시스"></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www.scienceall.com/%EA%B8%B0%EC%B2%B4%EC%97%B0%EB%A3%8Cgaseous-fuel-%E6%B0%A3%E9%AB%94%E7%87%83%E6%96%99/ 기체연료]〉, 《사이언스올》
 
* 〈[https://www.scienceall.com/%EA%B8%B0%EC%B2%B4%EC%97%B0%EB%A3%8Cgaseous-fuel-%E6%B0%A3%E9%AB%94%E7%87%83%E6%96%99/ 기체연료]〉, 《사이언스올》
212번째 줄: 210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기체]]
 
* [[연료]]
 
* [[가스 (연료)]]
 
 
* [[LPG]]
 
* [[LPG]]
 
* [[LNG]]
 
* [[LNG]]
 
{{에너지|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