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김성아.jpg|썸네일|300픽셀|'''김성아''']]
+
[[파일:한빗코 거래소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한빗코]]'''(hanbitco) 거래소]]
[[파일:한빗코 거래소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한빗코]]'''(Hanbitco) 거래소]]
 
  
'''김성아'''는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한빗코]]'''(Hanbitco) 대표이사이다. 한빗코의 상무로 일하다가 2019년 1월부터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김성아 대표는 파생상품 트레이더 출신이다. 그녀는 한국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빗]](Korbit)에서 PM(Project Manager)으로 활동하며 본격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후 암호화폐 트레이딩 투자회사인 [[엘조비]](ELJOVI) 파트너, 한빗코 상무 등을 역임했다.<ref>문정은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68812 (인터뷰) 김성아 한빗코 대표 “크립토 ‘대중화’ 전략으로 신규 회원 잡을 것”]〉, 《블록미디어》, 2019-03-05</ref>
+
'''김성아'''는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한빗코]]'''(Hanbitco) 대표이사이다. 한빗코의 상무로 일하다가 2019년 초부터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김성아 대표는 파생상품 트레이더 출신이다. 그녀는 국내 최초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빗]]에서 PM(Product Manager)으로 활동하며 본격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후 암호화폐 트레이딩 투자회사인 [[엘조비]](ELJOVI) 파트너, 한빗코 상무 등을 역임했다.<ref>문정은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68812 (인터뷰) 김성아 한빗코 대표 “크립토 ‘대중화’ 전략으로 신규 회원 잡을 것”]〉, 《블록미디어》, 2019-03-05</ref>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배너|김성아 대표가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행사에서 발표합니다.}}
 
<center>
 
{|border=0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제3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가로 배너.jpg|500픽셀
 
default [[제3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imagemap>'''김성아''' 대표이사가 '''[[제3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에서 발표했습니다.
 
|}</center>
 
 
 
== 생애 ==
 
김성아는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인 [[한빗코]]의 대표이사로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 첫 여성 대표이다. 그녀는 [[한국블록체인협회]]에 가입한 21개 암호화폐 거래소 대표 중 유일한 여성이다. 그녀는 투자로 [[암호화폐]]에 발을 들였다가 [[블록체인]]에 빠져 블록체인에서의 경력을 시작하게 되었다.
 
 
 
김성아는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자격증 공부에 매달리는 친구들과는 달리 그녀는 [[주식]] 시장에 관심이 많았다. 재학 중 그녀는 한 증권사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투자 포트폴리오 대회에 참가해 우승을 했다. 이를 계기로 김성아는 [[선물]] [[옵션]] [[트레이더]]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게 되었다.
 
 
 
2014년 김성아는 [[벤 버냉키]](Ben Bernanke)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청문회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뉴스를 보고 비트코인을 처음 접했다. 금융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이 비트코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걸 보고 비트코인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암호화폐를 단순히 하나의 거래 상품으로 봤지만, 점점 거래 상품 이상의 확장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2015년 한국 첫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에 프로젝트 매니저(PM)로 합류하게 되었다.<ref name="인터뷰">꽃게,〈[https://blog.naver.com/hellohyery/221483568537 (인터뷰) 김성아 한빗코 대표 "다양성으로 암호화폐 저변 확장해야"]〉, 《네이버 블로그》, 2019-03-08</ref> 김성아는 2018년 유엔(UN) 컨퍼런스 블록체인 세션 '체인액션 무브먼트'를 만들어내 유엔과 블록체인 업계 간 만남의 자리를 만들기도 했다. 블록체인 기반 공급망 관리(SCM) 플랫폼인 [[텐코]] 등 37개의 블록체인 기업들이 참여했다.<ref>문정은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68812 (인터뷰) 김성아 한빗코 대표 “크립토 ‘대중화’ 전략으로 신규 회원 잡을 것”]〉, 《블록미디어》, 2019-03-05</ref>
 
==학력==
 
* 성균관대학교 영문학과 학사학위<ref>〈[https://www.rocketpunch.com/@sungakimfb6643c5338044a2 김성아]〉, 《로켓펀치》</ref>
 
 
 
== 약력 ==
 
* 2015년 07월 ~ 2016년 03월 : [[코빗]] 프로젝트 매니저(PM)
 
* 2016년 03월 : [[엘조비]](ELJOVI) 파트너 겸 글로벌 펀드 디렉터
 
* [[한빗코]] 거래소 상무
 
* 2019년 01월 ~ 현재 : [[한빗코]] 거래소 대표이사
 
 
 
== 주요 활동 ==
 
=== 코빗 ===
 
[[코빗]](Korbit)은 한국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이자 세계 최초의 원화 입출금 지원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코빗은 고객 중심 서비스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암호화폐 트레이딩 마켓을 만들었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주요 암호화폐를 원화로 거래할 수 있다. 코빗의 미션은 블록체인 자산 모두를 거래시키는 것으로서, 비트코인, 이더리움뿐 아니라 다양한 코인을 지속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코빗은 안전한 자산 관리도 가능하다. 코빗은 외부 [[해킹]] 공격으로부터 안전한 방법으로 고객의 자산을 보호하고 있고, 사용자가 예치한 암호화폐 자산의 대부분은 오프라인 저장소인 [[콜드월렛]](cold wallet)에 보관하고 있다. 한국 최초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빗은 안정적인 서버와 뛰어난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ref>코빗 공식 홈페이지 -https://www.korbit.co.kr/</ref>
 
 
 
=== 한빗코 ===
 
[[한빗코]](Hanbitco)는 2017년 3월에 설립된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설립자 겸 초대 대표이사는 [[김지한]]이었다. 한빗코는 세계 최대 GPU 마이닝 회사, 크립토 트레이딩 최대 LP, 글로벌 크립토 페이먼트사, 실리콘밸리 투자사가 협력하여 설립했다. 2018년 7월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의 자율규제 조사가 끝났고, 자율규제 기준을 충족시키는 거래소 중 하나이다.
 
 
 
김성아는 한빗코에서 상무로 근무하다가 2019년 1월부터 대표이사를 맡았다. 한빗코는 2018년 8월 한국 최초로 스테이블코인 [[USDC]]를 상장했다. 이후 USDC 페어 마켓에 주요 암호화폐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이오스]]를 상장했다. 2018년 11월에는 한국 최초로 사물인터넷 코인인 [[에이치닥]](HADC)을 상장했다.
 
 
 
한빗코 거래소는 사용자 안전을 위해 [[빗고]](BitGo) 다중서명 및 [[콜드월렛]] 저장 기능을 제공해 검증된 소수의 한빗코 직원만이 콜드월렛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보안 수준 점검 및 정보보호 전문업체에 의한 내부감사를 완료해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한빗코는 가격 변동이 심하고 주문량이 많아지는 경우 [[서버]]가 자동으로 확장되어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제공한다. 정보보안 관리 시스템을 위한 엄격한 글로벌 보안 기준인 ISO/IEC 27001을 인증을 받았다. 한빗코는 한국 최대 유동성 공급자와 함께 하고 있으며, 유동성 공급자 프로그램을 통해 거래량을 유지하고 있다.<ref>〈[https://namu.wiki/w/%ED%95%9C%EB%B9%97%EC%BD%94 한빗코]〉, 《나무위키》</ref>
 
 
 
===우먼 인 블록체인===
 
김성아 대표와 UN미래포럼의 박영숙 교수는 글로벌 여성 블록체인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우먼 인 블록체인(Women in Blockchain)'을 준비했다. 우먼 인 블록체인은 전 세계에서 뽑힌 여성 리더 지망생들이 한국에서 6개월에서 1년간 문화와 언어를 배우며, 블록체인 업계에서 인턴십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다.<ref>김가현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6862 (김가현의 499人터뷰) 국내 첫 여성 거래소 대표, 김성아…”내가 바꾼 두 가지의 판은”]〉, 《블록인프레스》, 2019-05-09</ref>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행사에서 8가지 세션 중 하나로 다룰 예정이다.
 
 
 
===체인액션 무브먼트===
 
김성아 대표는 UN 콘퍼런스 블록체인 세션 '체연액션 무브먼트'를 만들었다. '체인액션 무브먼트'는 UN OPS가 제시한 지속가능한 17가지 개발목표에 부합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한빗코(대표: 김성아)가 2년째 진행중인 캠페인이다.<ref>김소라 기자, 〈[https://blockpost.com/tech/50416/ 한국블록체인협회 거래소 운영위원장에 김성아 한빗코 대표 선출]〉, 《더 블록 포스트》, 2019-09-17</ref><ref>우진영 기자,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74446 쿼크체인,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스마트기술 및 조달 전시회 및 컨퍼런스’ 참가]〉, 《데일리시큐》, 2019-10-17</ref>
 
 
 
== 향후 계획 ==
 
한빗코는 현재 [[디앱]]이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개발하고 있다. 김성아는 모든 디앱이 [[월렛]]을 필요로 하고, 이 월렛 안에 환전 기능이 있다면 더 좋다고 말하였다. 김성아는 환전 기능을 가진 월렛을 디앱 개발사에 제공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기반 월렛을 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녀는 디앱이 유치해야 할 사용자는 크립토 사용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라고 말하며 한빗코가 제공하는 월렛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빗코는 [[STO]](증권형 토큰 제공) 사업도 진행 중이다. 한빗코는 유럽에 있는 [[리히텐슈타인]](Liechtenstein)에서 STO 라이선스를 받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STO 관련 라이선스는 자산을 증권화할 수 있는 라이선스와 증권화된 것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라이선스의 두 가지가 있는데, 한빗코는 전자인 자산을 증권화하기 위한 라이선스를 얻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ref name="인터뷰"></ref>
 
 
 
== 동영상 ==
 
<youtube>LrUQ72HfNE8</youtube>
 
<youtube>-oxHcKiUR7Q</youtube>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한빗코 거래소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hanbitco.com/
+
* 한빗코 거래소 홈페이지 https://www.hanbitco.com/
* 한빗코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hanbitco_kr
+
* 한빗코 공식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nbitco_kr
* 한빗코 미디움 - https://medium.com/@eosseyofficial
+
* 한빗코 공식 미디움 https://medium.com/@eosseyofficial
* 〈[https://namu.wiki/w/%ED%95%9C%EB%B9%97%EC%BD%94 한빗코]〉, 《나무위키》
 
* 코빗 거래소 공식 홈페이지 -h ttps://www.korbit.co.kr/
 
 
* 문정은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68812 (인터뷰) 김성아 한빗코 대표 “크립토 ‘대중화’ 전략으로 신규 회원 잡을 것”]〉, 《블록미디어》, 2019-03-05
 
* 문정은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68812 (인터뷰) 김성아 한빗코 대표 “크립토 ‘대중화’ 전략으로 신규 회원 잡을 것”]〉, 《블록미디어》, 2019-03-05
* 꽃게, 〈[https://blog.naver.com/hellohyery/221483568537 (인터뷰) 김성아 한빗코 대표 "다양성으로 암호화폐 저변 확장해야"]〉, 《네이버 블로그》, 2019-03-08\
 
* 김가현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6862 (김가현의 499人터뷰) 국내 첫 여성 거래소 대표, 김성아…”내가 바꾼 두 가지의 판은”]〉, 《블록인프레스》, 2019-05-09
 
* 이흥근 기자, 〈[http://www.tgnews.co.kr/news/article.html?no=20865 코리아씨이오서밋, 서울서 '제7회 블록체인서밋 마블스 2019' 개최]〉, 《땡큐 굿 뉴스》, 2019-11-07
 
* 〈[https://www.rocketpunch.com/@sungakimfb6643c5338044a2 김성아]〉, 《로켓펀치》
 
* 김소라 기자, 〈[https://blockpost.com/tech/50416/ 한국블록체인협회 거래소 운영위원장에 김성아 한빗코 대표 선출]〉, 《더 블록 포스트》, 2019-09-17
 
* 우진영 기자,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74446 쿼크체인,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스마트기술 및 조달 전시회 및 컨퍼런스’ 참가]〉, 《데일리시큐》, 2019-10-17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한빗코]]
 
* [[한빗코]]
 
* [[김지한]]
 
* [[김지한]]
* [[허원호]]
 
* [[코빗]]
 
* [[엘조비]]
 
* [[제3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자|검토 필요}}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자|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