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김영섭.jpg|썸네일|300픽셀|'''김영섭''' [[㈜엘지씨엔에스]] 대표이사]]
+
[[파일:김영섭.jpg|썸네일|300픽셀|'''김영섭''' ㈜엘지씨엔에스 대표이사]]
[[파일:㈜엘지씨앤에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엘지씨앤에스]]'''(LG CNS)]]
 
  
'''김영섭'''은 [[엘지그룹]](LG Group)속하는 IT 서비스 회사인 '''[[㈜엘지씨엔에스]]'''<!--엘지씨엔에스-->(LG CNS)의 대표이사이다.
+
'''김영섭'''은 [[㈜엘지씨엔에스]](LG CNS)는 한국의 엘지(LG) 그룹에 속하는 IT 서비스 회사의 대표이사이다.
  
 
== 개요 ==
 
== 개요 ==
김영섭은 1959년 경상북도 문경에서 태어났다. 경북사대부고와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LG상사의 전신인 럭키금성상사에 입사하였다. 럭키금성상사에서 감사팀과 총무과에서 시작해서 LG 구조조정본부와 재무개선팀으로 부서이동을 하였다. 이후 LG에 속하는 LG CNS로 옮겨 경영관리부문장, 부사장 등을 지낸 뒤 LG유플러스의 최고재무책임자를 맡은 뒤 다시 LG CNS로 돌아와 현재 대표이사로 지내고 있다. LG CNS에서 실용주의 내세우며 조직개편을 단행했으며, 재무분야 전문가 뿐만 아니라 IT기술 이해도가 높아 2016년 세계 최대 전자전시회 CES에 참석하는 등 IT분야에 관심을 보였다. 이에 더불어 전자정부 시스템 수출로 2억 달러 이상의 성과를 올렸다. 4차산업혁명의 성장동력인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신사업을 진행했다. 또한 2018년에 국내 대기업 최초로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인증을 획득하였다.<ref>윤휘종 기자,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num=89044#cb (Who Is ?) 김영섭 LGCNS 대표이사 사장]〉, 《바즈니스포스트》, 2018-07-16</ref>
+
김영섭은 1959년 경상북도 문경에서 태어났다. 경북사대부고와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LG상사의 전신인 럭키금성상사에 입사하였다. 럭키금성상사에서 감사팀과 총무과에서 시작해서 LG 구조조정본부와 재무개선팀으로 부서이동을 하였다. 이후 LG에 속하는 LG CNS로 옮겨 경영관리부문장, 부사장 등을 지낸 뒤 LG유플러스의 최고재무책임자를 맡은 뒤 다시 LG CNS로 돌아와 현재 대표이사로 지내고 있다. LG CNS에서 실용주의 내세우며 조직개편을 단행했으며, 4차산업혁명의 성장동력인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신사업을 진행했다. 또한 2018년에 국내 대기업 최초로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인증을 획득하였다.<ref>윤휘종 기자,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num=89044#cb (Who Is ?) 김영섭 LGCNS 대표이사 사장]〉, 《바즈니스포스트》, 2018-07-16</ref>
  
 
== 주요활동 ==
 
== 주요활동 ==
 
*'''㈜엘지씨엔에스'''
 
*'''㈜엘지씨엔에스'''
:디지털 IT 신기술로 고객의 디지털 혁신을 이끌어가는 글로벌 IT[[서비스]] 전문 [[기업]]인 [[㈜엘지씨엔에스]]<!--엘지씨엔에스-->(LG CNS)는 1987년 1월 설립되었다. 현 대표이사는 '''김영섭'''이며 해외법인을 포함한 총인원은 (2018년 3월 기준)약 6,000여명 정도이다. 매출액은 (2017년, IFRS 연결기준)약 3조 22억 원이다. 본사는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업 분야는 컨설팅, 시스템 종합, 아웃소싱, ERP/BI, IT[[인프라]]솔루션, IT컨버전스이다. 해외법인은 중국, 유럽, 미주,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브라질, 콜롬비아, 말레이시아, 우즈베키스탄, 베트남에 있으며 해외지점은 폴란드, 그리스, 말레이시아, 카타르, 인도네시아, 콜롬비아에 있다. 자회사로는 비즈테크파트너스(Total BPO 서비스, HR 서비스, 중소기업 ERP 및 BI 전문 컨설팅과 솔루션), 코리아일레콤(전장 시뮬레이션 솔루션), 행복마루(사내 카페 운영, 환경미화)가 있다.<ref>㈜엘지씨엔에스(LG CNS) 공식 홈페이지 - http://www.lgcns.co.kr</ref>
+
[[파일:㈜엘지씨앤에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엘지씨앤에스'''(LG CNS) 로고]]
 +
:디지털 IT 신기술로 고객의 디지털 혁신을 이끌어가는 글로벌 IT[[서비스]] 전문 [[기업]]인 LG CNS는 1987년 1월 설립되었다. 현 대표이사는 '''김영섭'''이며 해외법인을 포함한 총인원은 (2018년 3월 기준)약 6,000여명 정도이다. 매출액은 (2017년, IFRS 연결기준)약 3조 22억 원이다. 본사는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업 분야는 컨설팅, 시스템 종합, 아웃소싱, ERP/BI, IT[[인프라]]솔루션, IT컨버전스이다. 해외법인은 중국, 유럽, 미주,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브라질, 콜롬비아, 말레이시아, 우즈베키스탄, 베트남에 있으며 해외지점은 폴란드, 그리스, 말레이시아, 카타르, 인도네시아, 콜롬비아에 있다. 자회사로는 비즈테크파트너스(Total BPO 서비스, HR 서비스, 중소기업 ERP 및 BI 전문 컨설팅과 솔루션), 코리아일레콤(전장 시뮬레이션 솔루션), 행복마루(사내 카페 운영, 환경미화)가 있다.<ref>㈜엘지씨엔에스(LG CNS) 공식 홈페이지 - http://www.lgcns.co.kr</ref>
 +
 
  
 
*'''블록체인 신기술·신사업 추진을 위한 우리은행 업무협약(MOU) 체결'''
 
*'''블록체인 신기술·신사업 추진을 위한 우리은행 업무협약(MOU) 체결'''
38번째 줄: 39번째 줄: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엘지씨엔에스(LG CNS) 공식 홈페이지 - http://www.lgcns.co.kr
 
* ㈜엘지씨엔에스(LG CNS) 공식 홈페이지 - http://www.lgcns.co.kr
47번째 줄: 47번째 줄:
 
* 염지은 기자, 〈[http://www.4th.kr/View.aspx?No=289077 LG CNS, 농산물 유통이력에 블록체인 기술 접목]〉, 《포쓰저널》, 2019-07-09
 
* 염지은 기자, 〈[http://www.4th.kr/View.aspx?No=289077 LG CNS, 농산물 유통이력에 블록체인 기술 접목]〉, 《포쓰저널》, 2019-07-09
 
* 양철승 기자, 〈[http://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264 블록체인 기술로 농산물 먹거리 안전 지킨다]〉, 《인더스트리뉴스》, 2019-07-11
 
* 양철승 기자, 〈[http://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264 블록체인 기술로 농산물 먹거리 안전 지킨다]〉, 《인더스트리뉴스》, 2019-07-1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엘지씨엔에스]]
 
* [[㈜엘지씨엔에스]]
53번째 줄: 52번째 줄:
 
* [[고려대학교]]
 
* [[고려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북대학교]]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