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김재호.jpg|썸네일|300픽셀|'''김재호''' ]]
 
[[파일:김재호.jpg|썸네일|300픽셀|'''김재호''' ]]
 +
 
[[파일:비트베리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트베리]]'''(BitBerry)]]
 
[[파일:비트베리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트베리]]'''(BitBerry)]]
[[파일:㈜루트원소프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루트원소프트]]''']]
 
  
'''김재호'''는 암호화폐 지갑인 '''[[비트베리]]'''(Bitberry)를 만든 [[㈜루트원소프트]]의 소프트웨어 개발 엔지니어이다. 영어 이름은 '''벤자민 김'''(Benjamin Kim)이다.
+
'''김재호'''는 '''[[비트베리]]'''(Bitberry)[[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다. 영어 이름은 '''벤자민 김'''(Benjamin Kim)이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김재호가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가했습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김재호가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가했습니다.}}
  
 
==약력==
 
==약력==
* 2006년 08월 ~ 2011년 02월 : [[이스트소프트]](Est Soft)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 2006년 8월 ~ 2011년 2월 : 이스트소프트(Est Soft)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2011년 04월 ~ 2012년 04월 : [[네이버]](Naver)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 2011년 4월 ~ 2012년 4월 : 네이버(Naver)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2012년 05월 ~ 2016년 07월 : [[카카오]](Kakao)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 2012년 5월 ~ 2016년 7월 : 카카오(Kakao)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2016년 08월 ~ 2017년 04월 : [[왓챠]](WATCHA)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 2016년 8월 ~ 2017년 4월 : 왓챠(WATCHA)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2017년 04월 ~ 현재 : 커피한잔(Withcoffee) 창업자
+
* 2017년 4월 ~ 현재 : 커피한잔 창업자
* 현재 : [[비트베리]](Bitberry)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 현재 : 비트베리(Bitberry)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주요 활동==
+
==주요활동==
 
===비트베리===
 
===비트베리===
 
[[비트베리]](Bitberry)는 [[업비트]]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는 [[두나무㈜]]<!--두나무-->의 자회사인 [[㈜루트원소프트]]<!--루트원소프트, 루트원 소프트-->가 만든 암호화폐 지갑이다. 비트베리는 카카오/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전화번호 기반으로 송금할 수 있는 멀티 [[암호화폐 지갑]]이다. 다른 암호화폐 지갑들과 비트베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비트베리가 모회사인 [[업비트]](Upbit) 수준의 강력한 보안 시스템으로 직접 키를 관리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종종 발생하는 프라이빗 키 분실 혹은 해킹 문제에서 벗어나 안전하게 자산을 관리할 수 있으며, 60자리 되는 [[퍼블릭 키]]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전화번호 기반으로 쉽게 송입금이 가능하다. 심지어 [[수수료]]도 무료이다. 이처럼 블록체인을 모르는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UX]]가 비트베리의 큰 장점이다. 2019년 6월 기준으로, 비트베리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메인넷을 지원하고 있으며 향후 [[테라]], [[클레이튼]], [[리플]], [[이오스]], [[아이콘]] 등의 메인넷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안드로이드]], [[아이오에스]](iOS) 모바일 앱을 모두 지원하고 있다.
 
[[비트베리]](Bitberry)는 [[업비트]]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는 [[두나무㈜]]<!--두나무-->의 자회사인 [[㈜루트원소프트]]<!--루트원소프트, 루트원 소프트-->가 만든 암호화폐 지갑이다. 비트베리는 카카오/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전화번호 기반으로 송금할 수 있는 멀티 [[암호화폐 지갑]]이다. 다른 암호화폐 지갑들과 비트베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비트베리가 모회사인 [[업비트]](Upbit) 수준의 강력한 보안 시스템으로 직접 키를 관리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종종 발생하는 프라이빗 키 분실 혹은 해킹 문제에서 벗어나 안전하게 자산을 관리할 수 있으며, 60자리 되는 [[퍼블릭 키]]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전화번호 기반으로 쉽게 송입금이 가능하다. 심지어 [[수수료]]도 무료이다. 이처럼 블록체인을 모르는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UX]]가 비트베리의 큰 장점이다. 2019년 6월 기준으로, 비트베리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메인넷을 지원하고 있으며 향후 [[테라]], [[클레이튼]], [[리플]], [[이오스]], [[아이콘]] 등의 메인넷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안드로이드]], [[아이오에스]](iOS) 모바일 앱을 모두 지원하고 있다.
  
 
비트베리는 지갑 서비스 이외에도 블록체인 비즈니스 회사들을 위한 기업용 [[API]]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회사들은 지갑 개발의 어려움 없이 비트베리 솔루션을 통해 지갑을 구현하고, 암호화폐 결제, 실시간 보상 시스템 등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2019년 2월 말 출시 이후로, 비트베리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 및 파트너사들은 6월 기준, [[콘텐츠프로토콜]], [[뤼이드]], [[아하]], [[모스랜드]] 등 20군데 이상이다. 향후 법인용 계좌와 유사한 시스템을 지닌 기업 전용 지갑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비트베리는 지갑 서비스 이외에도 블록체인 비즈니스 회사들을 위한 기업용 [[API]]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회사들은 지갑 개발의 어려움 없이 비트베리 솔루션을 통해 지갑을 구현하고, 암호화폐 결제, 실시간 보상 시스템 등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2019년 2월 말 출시 이후로, 비트베리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 및 파트너사들은 6월 기준, [[콘텐츠프로토콜]], [[뤼이드]], [[아하]], [[모스랜드]] 등 20군데 이상이다. 향후 법인용 계좌와 유사한 시스템을 지닌 기업 전용 지갑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
 +
 +
===커피한잔===
  
 
==참고자료==
 
==참고자료==
26번째 줄: 29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비트베리]]
 
* [[비트베리]]
* [[㈜루트원소프트]]
 
 
* [[카카오]]
 
* [[카카오]]
 
* [[네이버]]
 
* [[네이버]]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