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파일:포블게이트 거래소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포블게이트]]'''(Foblgate) 거래소]]
 
[[파일:포블게이트 거래소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포블게이트]]'''(Foblgate) 거래소]]
  
'''김태원'''은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암호화폐인 '''[[하이콘]]'''(Hycon)을 만든 [[㈜글로스퍼]]<!--글로스퍼-->의 대표이사(CEO)이다. 한국의 블록체인 1세대 인물이다. 2020년 6월 12일 사망했다.<ref>김병철 기자,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040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사망]〉,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06-13</ref>
+
'''김태원'''은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암호화폐인 '''[[하이콘]]'''(Hycon)을 만든 [[㈜글로스퍼]]<!--글로스퍼-->의 대표이사(CEO)이다. 한국의 블록체인 1세대 인물이다. 2020년 6월 12일 사망했다.<ref>양성길, 〈[https://blog.naver.com/intel007/221999435515 ▶◀부음 .. 김태원대표 (글로스퍼) 별세]〉, 《네이버 블로그》, 2020-06-13</ref>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9 배너|김태원 대표가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9 행사에서 발표합니다.}}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9 배너|김태원 대표가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9 행사에서 발표합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개요==
 
==개요==
  
㈜글로스퍼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사업과 [[핀테크]] 사업 두 가지 비즈니스를 함께 진행하는 회사이다. 김태원은 유년시절부터 프로그래밍과 해킹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동국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며 졸업한 후 한국신용평가정보에 입사하였다. 그는 이때부터 블록체인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2012년 대학후배 5명과 글로스퍼를 설립하였다. 김태원은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필두로 '인피니티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 맞춤형 블록체인 솔루션을 위한 인피니티 플랫폼을 만들고 탈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를 구축함으로써 블록체인 기술의 실생활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방은주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906090740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ICO 겨울 아니다... 오라클과 같은 회사 될 것"]〉, 《지디넷코리아》, 2018-09-06</ref>
+
㈜글로스퍼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사업과 [[핀테크]] 사업 두 가지 비즈니스를 함께 진행하는 회사이다. 김태원은 유년시절부터 프로그래밍과 해킹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동국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며 졸업한 후 한국신용평가정보에 입사하였다. 그는 이때부터 블록체인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2012년 대학후배 5명과 글로스퍼를 설립하였다. 김태원은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필두로 '인피니티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 맞춤형 블록체인 솔루션을 위한 인피니티 플랫폼을 만들고 탈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를 구축함으로써 블록체인 기술의 실생활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방은주 기자,〈[http://www.zdnet.co.kr/view/?no=20180906090740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ICO 겨울 아니다... 오라클과 같은 회사 될 것"]〉,《지디넷코리아》, 2018-09-06</ref>
  
 
==약력==
 
==약력==
* 2008년 ~ 2009년 :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학생회장
+
 
 +
* 2008년 ~ 2009년 : 동국대학교 공과 대학 학생회장
 
* 2010년 ~ 2012년 : 한국신용평가정보 기업 정보 개발실 근무
 
* 2010년 ~ 2012년 : 한국신용평가정보 기업 정보 개발실 근무
 
* 2012년 ~ 2014년 : NKT네트워크 대표
 
* 2012년 ~ 2014년 : NKT네트워크 대표
34번째 줄: 35번째 줄:
  
 
===한국신용평가정보 기업 정보 개발===
 
===한국신용평가정보 기업 정보 개발===
김태원은 동국대학교를 졸업한 후에 첫 직장으로 [[한국신용평가정보]]에 입사했다. 한국신용평가정보는 대한민국 개인 및 기업의 신용평가기관으로, 그는 한국신용평가정보의 기업 정보 개발실에서 근무하였다. 김태원은 그 곳에서 근무를 하며 100개가 넘는 대기업에 관한 일을 하면서 데이터를 다루었고 이 때 데이터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이후 그는 블록체인에 관심을 갖고 대학후배들과 함께 [[글로스퍼]]를 설립하였다.
+
김태원은 동국대학교를 졸업한 후에 첫 직장으로 한국신용평가정보에 입사했다. 한국신용평가정보는 대한민국 개인 및 기업의 신용평가기관으로, 그는 한국신용평가정보의 기업 정보 개발실에서 근무하였다. 김태원은 그 곳에서 근무를 하며 100개가 넘는 대기업에 관한 일을 하면서 데이터를 다루었고 이 때 데이터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이후 그는 블록체인에 관심을 갖고 대학후배들과 함께 [[글로스퍼]]를 설립하게 된다.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부회장===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부회장===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는 블록체인 산업이 우리사회 전반의 혁신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마련해주며 관련 산업 구성원 간에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창립된 협회이다.<ref name="협회 공홈">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공식 홈페이지 - http://www.kbipa.org/about.php</ref> 김태원은 이 협회에서 현재 부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협회 부회장으로 ‘2019 마블스어워즈 베스트 10’ 블록체인 플랫폼 부문에서 수상하기도 했다.<ref>윤현기 기자,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750 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마블스어워즈’ 블록체인 단체상 수상]〉, 《데이터넷》, 2019-01-30</ref>
+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는 블록체인 산업이 우리사회 전반의 혁신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마련해주며 관련 산업 구성원 간에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창립된 협회이다.<ref name="협회 공홈">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공식 홈페이지 - http://www.kbipa.org/about.php</ref> 김태원은 이 협회에서 현재 부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협회 부회장으로 ‘2019 마블스어워즈 베스트 10’ 블록체인 플랫폼 부문에서 수상하기도 했다.<ref>윤현기 기자,〈[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750 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마블스어워즈’ 블록체인 단체상 수상]〉,《데이터넷》, 2019-01-30</ref>
  
 
===하이콘===
 
===하이콘===
43번째 줄: 44번째 줄:
 
하이콘(Hycon)은 "하이퍼커넥티드 코인"의 줄임말로 기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코인이 아닌 독자적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암호화폐이며 김태원이 계획한 인피니티 프로젝트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기존 코인보다 확장성이 좋고 빠르며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이콘의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DAG 시스템을 적용하여 트랜잭션의 속도를 높이고 이중지불 위험을 줄여준다는 점이다. 또한 SPECTRE를 적용한 증명방식으로 포크에 대한 위험성을 줄인다.<ref>팩트살인, 〈[https://blog.naver.com/bit_killing/221412089658 하이콘 코인 집중분석]〉, 《네이버 블로그》, 2018-12-04</ref> 김태원은 하이콘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플랫폼을 제공하고 거래소 플랫폼 인터페이스를 도입하여 진입장벽을 낮추며 많은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을 목표로 한다.<ref>코인제스트, 〈[https://blog.naver.com/coinzest/221406622186 코인제스트 상장 암호화폐 하이콘]〉, 《네이버 블로그》, 2018-11-27</ref>
 
하이콘(Hycon)은 "하이퍼커넥티드 코인"의 줄임말로 기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코인이 아닌 독자적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암호화폐이며 김태원이 계획한 인피니티 프로젝트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기존 코인보다 확장성이 좋고 빠르며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이콘의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DAG 시스템을 적용하여 트랜잭션의 속도를 높이고 이중지불 위험을 줄여준다는 점이다. 또한 SPECTRE를 적용한 증명방식으로 포크에 대한 위험성을 줄인다.<ref>팩트살인, 〈[https://blog.naver.com/bit_killing/221412089658 하이콘 코인 집중분석]〉, 《네이버 블로그》, 2018-12-04</ref> 김태원은 하이콘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플랫폼을 제공하고 거래소 플랫폼 인터페이스를 도입하여 진입장벽을 낮추며 많은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을 목표로 한다.<ref>코인제스트, 〈[https://blog.naver.com/coinzest/221406622186 코인제스트 상장 암호화폐 하이콘]〉, 《네이버 블로그》, 2018-11-27</ref>
  
실제로 하이콘 출시 이후 하이콘 메인넷을 바탕으로 한 암호화폐 지불, 결제 플랫폼인 '하이콘페이'를 연달아 출시하여 경기도 가평의 오버더마운틴 호텔을 첫 사용처로 삼았다. 이를 통해 글로스퍼는 일상생활에서의 하이콘 지급 결제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여 전국적인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태원은 암호화페 오프라인 결제의 실제 활용도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유원지나 축제 등 한정적인 공간에 도입한다면 실물 화폐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ref>이재운 기자, 〈[https://blog.naver.com/ktxguy/221428611471 글로스퍼,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하이콘페이’ 출시]〉,《이데일리》, 2018-12-27</ref> 또한 하이콘은 서울 노원구 암호화폐를 비롯해 대구·경산지역에 블록체인 기반 정신건강 상담서비스를 구축하였고 세계 최초로 DAG·스펙터 합의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하는 등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ref name="뭣이 중헌디"></ref>  
+
실제로 하이콘 출시 이후 하이콘 메인넷을 바탕으로 한 암호화폐 지불, 결제 플랫폼인 '하이콘페이'를 연달아 출시하여 경기도 가평의 오버더마운틴 호텔을 첫 사용처로 삼았다. 이를 통해 글로스퍼는 일상생활에서의 하이콘 지급 결제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여 전국적인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태원은 암호화페 오프라인 결제의 실제 활용도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유원지나 축제 등 한정적인 공간에 도입한다면 실물 화폐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ref>이재운 기자, 〈[https://blog.naver.com/ktxguy/221428611471 글로스퍼,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하이콘페이’ 출시]〉,《이데일리》,2018-12-27</ref> 또한 하이콘은 서울 노원구 암호화폐를 비롯해 대구·경산지역에 블록체인 기반 정신건강 상담서비스를 구축하였고 세계 최초로 DAG·스펙터 합의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하는 등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ref name="뭣이 중헌디"></ref>  
  
 
{{자세히|하이콘}}
 
{{자세히|하이콘}}
  
 
===공공사업===
 
===공공사업===
인피니티 프로젝트는 특정 권한이 있는 사람만 참여 가능한 폐쇄형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달리 누구에게나 열린 [[퍼블릭 블록체인]]이다. 인피니티 프로젝트는 [[하이콘]] 코인의 성공적인 개발, 기업 맞춤형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피니티 플랫폼 구축, 탈중앙화 거래소 플랫폼 구축 이렇게 3단계로 구분되어있다. 김태원은 인피니티 프로젝트를 통해 블록체인을 모르는 개발자도 당장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미들웨어 플랫폼을 지향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노원구에서 [[글로스퍼]]의 인피니티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최초의 지역 화폐인 '노원'이 발행되었고, 한달만에 봉사활동을 통해 '노원'을 받기위한 사람들이 10배 이상 증가하는 등 예상보다 높은 효용성을 보였다.<ref>함지현 기자, 〈[http://www.etnews.com/20180411000305 오늘의 CEO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솔루션 중심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선보이겠다"]〉, 《전자신문》, 2018-04-12</ref>
+
 
 +
인피니티 프로젝트는 특정 권한이 있는 사람만 참여 가능한 폐쇄형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달리 누구에게나 열린 [[퍼블릭 블록체인]]이다. 인피니티 프로젝트는 [[하이콘]] 코인의 성공적인 개발, 기업 맞춤형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피니티 플랫폼 구축, 탈중앙화 거래소 플랫폼 구축 이렇게 3단계로 구분되어있다. 김태원은 인피니티 프로젝트를 통해 블록체인을 모르는 개발자도 당장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미들웨어 플랫폼을 지향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노원구에서 [[글로스퍼]]의 인피니티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최초의 지역 화폐인 '노원'이 발행되었고, 한달만에 봉사활동을 통해 '노원'을 받기위한 사람들이 10배 이상 증가하는 등 예상보다 높은 효용성을 보였다.<ref>함지현 기자,〈[http://www.etnews.com/20180411000305 오늘의 CEO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솔루션 중심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선보이겠다"]〉, 《전자신문》, 2018-04-12</ref>
  
 
노원의 지역화폐인 노원화폐는 세계 최초로 지방정부에 [[암호화폐]]를 공급한 사례로 뽑히며 기존의 상품권 기반인 지역화폐와 달리 보유자와 사용처, 사용업종 등을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화폐이다.<ref name="뭣이 중헌디">유진상 기자,〈[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6/2019011600885.html 인터뷰 [블록체人]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TPS 속도? 뭣이 중헌디”]〉,《IT조선》,2019-01-16</ref> 노원화폐의 큰 특징으로는 철저하게 지역 플랫폼으로 접근한다는 점인데 특히 헬스케어 분야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 [[메디블록]], [[휴먼스케이프]] 등과 협력해 주민들이 자신의 건강 정보를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봉사활동과 기부활동을 통해서도 노원화폐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노원화폐의 가맹점은 300개가 넘어가는 추세이며 사회적 가치를 경제적 가치로 환원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암호화폐로 인정받고 있다.<ref name="뭣이 중헌디"></ref>
 
노원의 지역화폐인 노원화폐는 세계 최초로 지방정부에 [[암호화폐]]를 공급한 사례로 뽑히며 기존의 상품권 기반인 지역화폐와 달리 보유자와 사용처, 사용업종 등을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화폐이다.<ref name="뭣이 중헌디">유진상 기자,〈[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6/2019011600885.html 인터뷰 [블록체人]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TPS 속도? 뭣이 중헌디”]〉,《IT조선》,2019-01-16</ref> 노원화폐의 큰 특징으로는 철저하게 지역 플랫폼으로 접근한다는 점인데 특히 헬스케어 분야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 [[메디블록]], [[휴먼스케이프]] 등과 협력해 주민들이 자신의 건강 정보를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봉사활동과 기부활동을 통해서도 노원화폐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노원화폐의 가맹점은 300개가 넘어가는 추세이며 사회적 가치를 경제적 가치로 환원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암호화폐로 인정받고 있다.<ref name="뭣이 중헌디"></ref>
  
글로스퍼는 [[해양수산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블록체인확산팀에서 전담한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 간 반출입증 통합발급 서비스'를 구축한 컨소시엄 참여 기업이다. 앞으로 부두 간 컨테이너 이동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돼 데이터 오류·누락 없이 편리하고 신속한 물류 운송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 간 반출입증 통합발급 서비스'는 타 부두 환적 시 필요한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공유함으로써 현행 컨테이너 환적 업무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시스템 구축은 [[ITT]] 반출입 정보공유 및 [[E-Slip]] 통합발급을 통해 환적운송 프로세스를 효율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한 파급효과는 컨테이너 반·출입 정보 공유를 통한 시간 및 비용효율 증대, 블록체인 특성에 기반을 두 항만물류 협력 생태계 조성, 제공·이용 구조의 변화를 통한 정보민주화 구현 등이다. 또한 종이문서가 아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반출입증을 발급받아 운송기사들이 실시간으로 배차 사실을 인지하고 반출입 컨테이너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운송 업무의 편의성이 높아지게 된다.<ref>정명근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32110084032222 블록체인으로 항만물류 혁신 이끄는, 글로스퍼 김태원 대표]〉, 《머니투데이》, 2019-03-22</ref>
+
글로스퍼는 [[해양수산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블록체인확산팀에서 전담한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 간 반출입증 통합발급 서비스'를 구축한 컨소시엄 참여 기업이다. 앞으로 부두 간 컨테이너 이동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돼 데이터 오류·누락 없이 편리하고 신속한 물류 운송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 간 반출입증 통합발급 서비스'는 타 부두 환적 시 필요한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공유함으로써 현행 컨테이너 환적 업무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시스템 구축은 [[ITT]] 반출입 정보공유 및 [[E-Slip]] 통합발급을 통해 환적운송 프로세스를 효율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한 파급효과는 컨테이너 반·출입 정보 공유를 통한 시간 및 비용효율 증대, 블록체인 특성에 기반을 두 항만물류 협력 생태계 조성, 제공·이용 구조의 변화를 통한 정보민주화 구현 등이다. 또한 종이문서가 아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반출입증을 발급받아 운송기사들이 실시간으로 배차 사실을 인지하고 반출입 컨테이너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운송 업무의 편의성이 높아지게 된다.<ref>정명근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32110084032222 블록체인으로 항만물류 혁신 이끄는, 글로스퍼 김태원 대표]〉,《머니투데이》, 2019-03-22</ref>
  
 
===암호화폐 거래소===
 
===암호화폐 거래소===
김태원은 가상화폐 하이콘 개발 후 글로스퍼 자체 암호화 화폐 거래소 [[더빗온]](THEBITon)을 개발 및 오픈했다. 더빗온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물론 알트코인으로 불려지는 암호화 화폐 등 유동성이 뒷받침되는 화페들을 우선적으로 배타 오픈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적용하였다. 실제로 김태원은 2015년 비트코인 거래소인 [[비트웨어]]를 개발 및 오픈한 적이 있다. 김태원은 과거의 거래소 설립 및 국제 송금 서비스 경험을 토대로 다져진 거래소 구축 운영 노하우가 있다고 말했고, 또한 [[ICO]]를 성공적으로 진행한 경험이 거래소 운영에 있어 고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시해 준다고 밝혔다.<ref>김우람 기자,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96414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내년 1월 가상화폐 거래소 오픈"]〉, 《이투데이》, 2018-12-06</ref> 김태원은 비알피(BRP)(공동대표 [[한충호]], [[조현진]])의 콜라보레이션으로 [[포블게이트]](FOBLGATE)라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만들었다.
+
김태원은 가상화폐 하이콘 개발 후 글로스퍼 자체 암호화 화폐 거래소 [[더빗온]](THEBITon)을 개발 및 오픈했다. 더빗온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물론 알트코인으로 불려지는 암호화 화폐 등 유동성이 뒷받침되는 화페들을 우선적으로 배타 오픈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적용하였다. 실제로 김태원은 2015년 비트코인 거래소인 [[비트웨어]]를 개발 및 오픈한 적이 있다. 김태원은 과거의 거래소 설립 및 국제 송금 서비스 경험을 토대로 다져진 거래소 구축 운영 노하우가 있다고 말했고, 또한 [[ICO]]를 성공적으로 진행한 경험이 거래소 운영에 있어 고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시해 준다고 밝혔다.<ref>김우람 기자,〈[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96414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내년 1월 가상화폐 거래소 오픈"]〉,《이투데이
 +
, 2018-12-06</ref> 김태원은 비알피(BRP)(공동대표 [[한충호]], [[조현진]])의 콜라보레이션으로 [[포블게이트]](FOBLGATE)라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만들었다.
 +
===블록체인 뮤직 플랫폼===
  
===블록체인 뮤직 플랫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2018년도 까지 공공 영역 사업에 몰두했던 김태원은 2019년도를 기점으로 킬러콘텐츠를 들고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기반 뮤직 플랫폼 '[[하이뮤직]]'이 그 킬러콘텐츠의 중심이다. 창작자, 제작자, 소비자가 체인으로 연결되고 블록체인 기술로 저작권 보호와 관리 및 정산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사용자간의 피투피(P2P) 거래가 가능해지고 기여도에 따라 보상도 지급된다. 위와 같이 기존의 음원수익 구조를 뒤엎어 창작자의 수익지분을 크게 올려 창작자의 플랫폼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f>killpass,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206000291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딥러닝게임, 블록체인 뮤직플랫폼으로 승부"]〉, 《해럴드경제》, 2018-12-06</ref>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2018년도 까지 공공 영역 사업에 몰두했던 김태원은 2019년도를 기점으로 킬러콘텐츠를 들고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기반 뮤직 플랫폼 '[[하이뮤직]]'이 그 킬러콘텐츠의 중심이다. 창작자, 제작자, 소비자가 체인으로 연결되고 블록체인 기술로 저작권 보호와 관리 및 정산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사용자간의 피투피(P2P) 거래가 가능해지고 기여도에 따라 보상도 지급된다. 위와 같이 기존의 음원수익 구조를 뒤엎어 창작자의 수익지분을 크게 올려 창작자의 플랫폼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f>killpass,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206000291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딥러닝게임, 블록체인 뮤직플랫폼으로 승부"]〉, 《해럴드경제》, 2018-12-06</ref>
  
 
=== MS 인스파이어 ===
 
=== MS 인스파이어 ===
 
2019년 7월 17일 글로스퍼가 전세계 [[마이크로소프트]] 주요 파트너가 참여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인스파이어(Microsoft Inspire) 행사에서 전세계 블록체인 솔루션 업체 중 유일하게 참여해 글로스퍼 엔터프라이즈 플랫폼(GEP, Glosfer Enterprise Platform)과 지역화폐 솔루션, 블록체인 기반 평가 시스템 저스티아(Justia), 항만 물류 솔류션 등 자체 블록체인 솔루션을 선보였다.
 
2019년 7월 17일 글로스퍼가 전세계 [[마이크로소프트]] 주요 파트너가 참여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인스파이어(Microsoft Inspire) 행사에서 전세계 블록체인 솔루션 업체 중 유일하게 참여해 글로스퍼 엔터프라이즈 플랫폼(GEP, Glosfer Enterprise Platform)과 지역화폐 솔루션, 블록체인 기반 평가 시스템 저스티아(Justia), 항만 물류 솔류션 등 자체 블록체인 솔루션을 선보였다.
김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파트너십을 구축한 작년에 이어 앞으로 본격적인 양사의 협업 성과를 내고자 하며, 이를 계기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클라우드 파트너들과 함께 글로스퍼 블록체인 플랙폼 및 기반 솔루션을 전세계로 확산시키는 것을 논의 중이다"라고 밝혔다.<ref>안종열 기자, 〈[http://cnews.getnews.co.kr/view.php?ud=2019071715160089777f7a2feaf6_16 글로스퍼, MS '인스파이어'서 블록체인 솔루션 선봬]〉, 《글로벌경제신문》, 2019-07-17</ref>
+
김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파트너십을 구축한 작년에 이어 앞으로 본격적인 양사의 협업 성과를 내고자 하며, 이를 계기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클라우드 파트너들과 함께 글로스퍼 블록체인 플랙폼 및 기반 솔루션을 전세계로 확산시키는 것을 논의 중이다"라고 밝혔다.<ref>안종열 기자, 〈[http://cnews.getnews.co.kr/view.php?ud=2019071715160089777f7a2feaf6_16 글로스퍼, MS '인스파이어'서 블록체인 솔루션 선봬]〉,《글로벌경제신문》, 2019-07-17</ref>
  
 
=== 코리아씨이오서밋 ===
 
=== 코리아씨이오서밋 ===
2018년 6월 '마블스 서울'행사를 시작해 지속적으로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행사를 개최해 온 [[코리아씨이오서밋]]이 2019년 11월 20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을 주제로 <제7회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2019>가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4차산업혁명]]의 원동력, IT 및 블록체인', '우먼 인 블록체인(Woman in Blockchain)',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 '블록체인혁명 2030', '블록체인 적용의 다양화', '블록체인과 [[e스포츠]]/게임 콜라보레이션',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부산, 디지털 월스트리트', '마블스 블록체인 배틀' 등 다채로운 주제로 열띤 발표 및 토론의 장이 펼쳐질 예정이다.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는 발표자 및 토론자로 참가 예정이다.<ref>서해 기자,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644 코리아씨이오서밋, 서울에서 '제7회 블록체인서밋 마블스 2019' 개최]〉, 《파이낸스 투데이》, 2019-10-28</ref>
+
2018년 6월 '마블스 서울'행사를 시작해 지속적으로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행사를 개최해 온 [[코리아씨이오서밋]]이 2019년 11월 20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을 주제로 <제7회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2019>가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4차산업혁명]]의 원동력, IT 및 블록체인', '우먼 인 블록체인(Woman in Blockchain)',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 '블록체인혁명 2030', '블록체인 적용의 다양화', '블록체인과 [[e스포츠]]/게임 콜라보레이션',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부산, 디지털 월스트리트', '마블스 블록체인 배틀' 등 다채로운 주제로 열띤 발표 및 토론의 장이 펼쳐질 예정이다.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는 발표자 및 토론자로 참가 예정이다.<ref>서해 기자,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644 코리아씨이오서밋, 서울에서 '제7회 블록체인서밋 마블스 2019' 개최]〉,《파이낸스 투데이》, 2019-10-28</ref>
  
 
==향후 계획==
 
==향후 계획==
글로스퍼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피니티 프로젝트와 암호화페 하이콘의 개발 등과 같은 기술 개발을 통해 세계적인 IT기업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공공영역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와 협력해 블록체인 관련 사업 50%를 수주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ref name="뭣이 중헌디"></ref> 이밖에도 김태원은 블록체인 기반 음악 플랫폼 '하이뮤직' 베타 테스트, 하이콘 참여형 허브 플랫폼 '하이콘 고' 출시 등을 통해 하이콘 플랫폼 활성화 또한 지속적으로 꾀할 계획이다. 또한 김태원은 글로스퍼를 블록체인 기업을 넘어서 [[인공지능]] 기반의 딥러닝과 게임 산업계로 확장해 나갈 것으로 밝혔다. 현재 구동되고 있는 하이콘 안에 다양한 게임 [[디앱]]들을 추가하거나 게임 디앱 자체를 딥러닝 기반으로 만드는 것이다. 또한 [[피투피]](P2P)로 대결하는 방식의 게임이 아닌 인간의 집단지성을 이용해 컴퓨터를 이기는 방식의 킬러콘텐츠를 만들 예정이다.<ref>민서연 기자,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S8CZ6OOIK/GZ03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블록체인 넘어 AI와 게임으로 사업 확장"]〉, 《서울경제》, 2018-12-06</ref> 그는 대한민국이 블록체인 산업을 육성하지 않으면 경제회생을 위한 방법이 없고 스위스 주크가 블록체인 산업으로 11만 일자리를 창출했던 것을 예로 들면서 블록체인 사업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
 
 +
글로스퍼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피니티 프로젝트와 암호화페 하이콘의 개발 등과 같은 기술 개발을 통해 세계적인 IT기업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공공영역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와 협력해 블록체인 관련 사업 50%를 수주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ref name="뭣이 중헌디"></ref> 이밖에도 김태원은 블록체인 기반 음악 플랫폼 '하이뮤직' 베타 테스트, 하이콘 참여형 허브 플랫폼 '하이콘 고' 출시 등을 통해 하이콘 플랫폼 활성화 또한 지속적으로 꾀할 계획이다. 또한 김태원은 글로스퍼를 블록체인 기업을 넘어서 [[인공지능]] 기반의 딥러닝과 게임 산업계로 확장해 나갈 것으로 밝혔다. 현재 구동되고 있는 하이콘 안에 다양한 게임 [[디앱]]들을 추가하거나 게임 디앱 자체를 딥러닝 기반으로 만드는 것이다. 또한 [[피투피]](P2P)로 대결하는 방식의 게임이 아닌 인간의 집단지성을 이용해 컴퓨터를 이기는 방식의 킬러콘텐츠를 만들 예정이다.<ref>민서연 기자,〈[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S8CZ6OOIK/GZ03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블록체인 넘어 AI와 게임으로 사업 확장"]〉,《서울경제》, 2018-12-06</ref> 그는 대한민국이 블록체인 산업을 육성하지 않으면 경제회생을 위한 방법이 없고 스위스 주크가 블록체인 산업으로 11만 일자리를 창출했던 것을 예로 들면서 블록체인 사업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 인터뷰 ==
 
== 인터뷰 ==
88번째 줄: 92번째 줄:
 
* killpass,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206000291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딥러닝게임, 블록체인 뮤직플랫폼으로 승부"]〉, 《해럴드경제》, 2018-12-06
 
* killpass,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206000291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딥러닝게임, 블록체인 뮤직플랫폼으로 승부"]〉, 《해럴드경제》, 2018-12-06
 
* 이재운 기자, 〈[https://blog.naver.com/ktxguy/221428611471 글로스퍼 '하이콘페이' 출시]〉, 《이데일리》, 2018-12-27
 
* 이재운 기자, 〈[https://blog.naver.com/ktxguy/221428611471 글로스퍼 '하이콘페이' 출시]〉, 《이데일리》, 2018-12-27
* 유진상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6/2019011600885.html 인터뷰 (블록체人)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TPS 속도? 뭣이 중헌디”]〉, 《IT조선》, 2019-01-16
+
* 유진상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6/2019011600885.html 인터뷰 [블록체人]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TPS 속도? 뭣이 중헌디”]〉, 《IT조선》, 2019-01-16
 
* 윤현기 기자,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750 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마블스어워즈’ 블록체인 단체상 수상]〉, 《데이터넷》, 2019-01-30
 
* 윤현기 기자,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750 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마블스어워즈’ 블록체인 단체상 수상]〉, 《데이터넷》, 2019-01-30
 
* 정명근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32110084032222 블록체인으로 항만물류 혁신 이끄는, 글로스퍼 김태원 대표]〉, 《머니투데이》, 2019-03-22
 
* 정명근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32110084032222 블록체인으로 항만물류 혁신 이끄는, 글로스퍼 김태원 대표]〉, 《머니투데이》, 2019-03-22
94번째 줄: 98번째 줄:
 
* 서해 기자,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644 코리아씨이오서밋, 서울에서 '제7회 블록체인서밋 마블스 2019' 개최]〉, 《파이낸스 투데이》, 2019-10-28
 
* 서해 기자,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644 코리아씨이오서밋, 서울에서 '제7회 블록체인서밋 마블스 2019' 개최]〉, 《파이낸스 투데이》, 2019-10-28
 
* 양성길, 〈[https://blog.naver.com/intel007/221999435515 ▶◀부음 .. 김태원대표 (글로스퍼) 별세]〉, 《네이버 블로그》, 2020-06-13
 
* 양성길, 〈[https://blog.naver.com/intel007/221999435515 ▶◀부음 .. 김태원대표 (글로스퍼) 별세]〉, 《네이버 블로그》, 2020-06-13
* 김병철 기자,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040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사망]〉,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06-13
 
* 김태환 기자, 〈[https://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20061316360128169 '블록체인 전도사'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사망]〉, 《머니투데이방송》, 2020-06-13
 
* 강일용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00613214906826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지난 12일 사망... 업계 애도 목소리]〉, 《아주경제》, 2020-06-13
 
* 오동현 기자,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614_0001058740 (블록체인 오딧세이)국내 1세대 기업인 김태원 대표 사망]〉, 《뉴시스》, 2020-06-14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