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저강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나이저강 지리.jpg|썸네일|300픽셀|'''나이저강''']]
 
[[파일:나이저강 지리.jpg|썸네일|300픽셀|'''나이저강''']]
  
'''나이저강'''<!--나이저 강-->(Niger River, ˈnaɪdʒɚ)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길이는 4,180km이다. '''니제르강'''<!--니제르 강-->이라고도 부른다. 나이저강은 [[기니]] 동남부의 [[기니고원]]에서 발원하여 [[말리]]와 [[니제르]]를 지나 [[베냉]]의 [[국경]]을 거쳐 [[나이지리아]]까지 흐른 후, [[나이저 삼각주]]를 지나 [[기니만]]으로 흘러든다. 나이저강은 [[아프리카]]에서 [[나일강]]과 [[콩고강]]에 이어 세 번째로 긴 강이다. 주요 지류로는 [[베누에강]]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82%98%EC%9D%B4%EC%A0%80%EA%B0%95 나이저강]〉, 《위키백과》</ref>
+
'''나이저강'''(Niger River, ˈnaɪdʒɚ)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길이는 4,180km이다. [[기니]] 동남부의 기니고원에서 발원하여 [[말리]]와 [[니제르]]를 지나 [[베냉]]의 [[국경]]을 거쳐 [[나이지리아]]까지 흐른다. 나이저 삼각주를 지나 기니만으로 흘러든다. [[아프리카]]에서 [[나일강]]과 [[콩고강]]에 이어 세 번째로 긴 강이며 주요 지류로는 베누에강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82%98%EC%9D%B4%EC%A0%80%EA%B0%95 나이저강]〉, 《위키백과》</ref>
  
== 개요 ==
+
==개요==
 
나이저강은 아프리카 대륙 서부를 흐르는 강으로 길이 4,180km. 유역면적 189만 600km². 아프리카의 서쪽 끝에 가까운 기니의 산지에서 발원하므로 발원지점은 해안에서 불과 240km밖에 되지 않으나, 태반을 내륙부에 호상유로(弧狀流路)를 이루면서 흐르다가 기니만(灣) 안쪽의 나이지리아에 거대한 삼각주를 형성하고 기니만으로 흘러든다.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나일]], [[콩고]]에 이은 대하천으로 유역면적은 기니,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베냉, 나이지리아 등의 나라에 걸치며, 하류에서 합류하는 베누에강 상류는 카메룬을 유역으로 한다. [[사하라사막]]의 남단부를 흘러 중세에는 통북투 등 상업, 문화가 번영한 도시와 가나, 말리 등 풍요한 제국(帝國)이 이 유역에서 일어났다. 1963년에는 유역 9개국(위의 여러 나라와 코트디부아르, 차드를 포함)이 이 강의 개발을 위한 협정을 체결하여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나이지리아에서는 하구로부터 약 1,000km의 지점에 카인지 다목적댐을 건설하였다(1968년 완공). 이 하천의 내륙수로는 몇 개 지점의 급류 때문에 단절되고 있지만, 니제르의 수도 니아메로부터 상류인 기니의 쿠루사까지의 구간은 중요한 [[내륙]] 수로로서의 구실을 하고 있다. 중류로부터 서쪽의 상류부는 아랍인들 사이에서 '검은 나일'이라고 불리면서, 19세기 초반까지는 나일강의 상류로 여겨져 왔고 따라서 오일 리버(Oil River)라고 불린 하류부와는 별개의 하천으로 여겨져 왔다. 1830년 R.랜더가 처음으로 하류까지 탐험하여 하천유역의 전모가 밝혀졌다. 니제르, 나이지리아 두 나라의 국명은 이 하천 이름에서 유래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8653&cid=40942&categoryId=33216 나이저강]〉, 《네이버 지식백과》</ref>
 
나이저강은 아프리카 대륙 서부를 흐르는 강으로 길이 4,180km. 유역면적 189만 600km². 아프리카의 서쪽 끝에 가까운 기니의 산지에서 발원하므로 발원지점은 해안에서 불과 240km밖에 되지 않으나, 태반을 내륙부에 호상유로(弧狀流路)를 이루면서 흐르다가 기니만(灣) 안쪽의 나이지리아에 거대한 삼각주를 형성하고 기니만으로 흘러든다.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나일]], [[콩고]]에 이은 대하천으로 유역면적은 기니,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베냉, 나이지리아 등의 나라에 걸치며, 하류에서 합류하는 베누에강 상류는 카메룬을 유역으로 한다. [[사하라사막]]의 남단부를 흘러 중세에는 통북투 등 상업, 문화가 번영한 도시와 가나, 말리 등 풍요한 제국(帝國)이 이 유역에서 일어났다. 1963년에는 유역 9개국(위의 여러 나라와 코트디부아르, 차드를 포함)이 이 강의 개발을 위한 협정을 체결하여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나이지리아에서는 하구로부터 약 1,000km의 지점에 카인지 다목적댐을 건설하였다(1968년 완공). 이 하천의 내륙수로는 몇 개 지점의 급류 때문에 단절되고 있지만, 니제르의 수도 니아메로부터 상류인 기니의 쿠루사까지의 구간은 중요한 [[내륙]] 수로로서의 구실을 하고 있다. 중류로부터 서쪽의 상류부는 아랍인들 사이에서 '검은 나일'이라고 불리면서, 19세기 초반까지는 나일강의 상류로 여겨져 왔고 따라서 오일 리버(Oil River)라고 불린 하류부와는 별개의 하천으로 여겨져 왔다. 1830년 R.랜더가 처음으로 하류까지 탐험하여 하천유역의 전모가 밝혀졌다. 니제르, 나이지리아 두 나라의 국명은 이 하천 이름에서 유래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8653&cid=40942&categoryId=33216 나이저강]〉, 《네이버 지식백과》</ref>
  
== 언어별 명칭 ==
+
==언어별 명칭==
서아프리카 여러 민족들에게 중요한 생활 터전이다 보니 다양하고 특별한 이름으로 많이 불린다. 밤바라어로는 위대한 강이라는 뜻의 [[젤리바]]라고 불리며, 이보어는 위대한 물이라는 뜻의 [[오리미리]]라고 불린다. 송가이어로는 강의 대명사에 해당하는 [[이사 (강)|이사]](Isa)로 불린다. 이들에게 있어서 나이저강은 [[이집트]]의 [[나일강]], [[중국]]의 [[황하]]나 [[장강]]에 해당하는 위상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투아레그족은 나이저강을 "강 중의 강"이라는 뜻의 Egerew n-Igerewen라고 부른다. 나이저강이라는 이름은 무슬림 출신 기독교도 지리학자 [[레오 아프리카누스]]가 1550년대 [[이탈리아]]에서 저술한 지리서 <아프리카의 보고>에 처음 등장한다. 강 이름은 "검다"는 뜻의 Negro가 아닌 [[베르베르어]]로 나이저강을 의미하는 ger-n-ger에서 따왔다. 당시 나이저강을 끼고 있던 [[말리제국]]이 이슬람권 외에도 [[유럽]]에도 유명했기 때문에 레오 아프리카누스 이후의 [[유럽]] 지리학자들도 이 강을 [[세계지도]]에 자주 표시하기 시작했다.<ref>〈[https://namu.wiki/w/%EB%82%98%EC%9D%B4%EC%A0%80%EA%B0%95 나이저강]〉, 《나무위키》</ref>
+
서아프리카 여러 민족들에게 중요한 생활 터전이다 보니 다양하고 특별한 이름으로 많이 불린다. 밤바라어로는 위대한 강이라는 뜻의 젤리바라고 불리며, 이보어는 위대한 물이라는 뜻의 오리미리라고 불린다. 송가이어로는 강의 대명사에 해당하는 이사(Isa)로 불린다. 이들에게 있어서 나이저강은 [[이집트]]의 [[나일강]], [[중국]]의 황하나 장강에 해당하는 위상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투아레그족은 나이저 강을 강 중의 강이라는 뜻의 Egerew n-Igerewen라고 부른다. 나이저강이라는 이름은 무슬림 출신 기독교도 지리학자 레오 아프리카누스가 1550년대 이탈리아에서 저술한 지리서 <아프리카의 보고>에 처음 등장한다. 강 이름은 검다는 뜻의 Negro가 아닌 베르베르어로 나이저강을 의미하는 ger-n-ger에서 따왔다. 당시 나이저 강을 끼고 있던 말리 제국이 이슬람권 외에도 유럽에도 유명했기 때문에 레오 아프리카누스 이후의 [[유럽]] 지리학자들도 이 강을 [[세계]] [[지도]]에 자주 표시하기 시작했다.<ref>〈[https://namu.wiki/w/%EB%82%98%EC%9D%B4%EC%A0%80%EA%B0%95 나이저강]〉, 《나무위키》</ref>
  
 
==지형==
 
==지형==
27번째 줄: 27번째 줄:
 
* 2022년 10월 16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인도주의부는 기자회견을 통해 이날까지 홍수로 603명이 사망했으며 1546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전체 36개 주 중 27개 주가 [[홍수]] 피해를 입었으며 이재민은 130만 명으로 집계됐다. 가옥 20만여 채가 부서졌으며 이 중 4만5000여 채는 완전히 파손됐다. 7만㏊가 넘는 [[농경지]]도 물에 잠겼다. [[식량]]과 [[연료]] 공급이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수인성 질병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이번 홍수 피해 규모는 2012년 대홍수 때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당시에는 36개 주 중 30개 주가 영향을 받았으며, 431명이 숨지고 130만 명이 실향민이 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위성사진을 보면 나이지리아 남부 나이저강과 베누에강 물이 크게 불어났다. 특히 두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중남부 코기주 주도 로코자에서는 불어난 물이 가옥 지붕까지 들어찼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이번 사태를 기후변화 탓으로 돌렸다. 2020년 발간된 나이지리아의 기후변화에 관한 국가정책 문서를 보면 최근 몇년 간 홍수가 증가했으며 기후변화가 심각한 기상 사건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쓰여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열악한 인프라와 소홀한 재난 대비도 피해를 키웠다고 본다. 나이지리아 경제에도 큰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이지리아 경제는 최근 1년 동안 사상 최고의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지난달 세계적으로 기아 위기가 가장 심한 6개국 중 하나로 나이지리아를 꼽았다. 이번 홍수로 농경지가 대거 침수되면서 식량 가격이 오르고 수급이 불안정해질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나이지리아 인도주의부는 당장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지난주부터 식량을 비롯한 생필품 1만2000t을 홍수 피해지역 주민들에게 전달했다.<ref>박효재 기자,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10171442001 나이지리아, 10년 새 최악 홍수…최소 600명 사망]〉, 《경향신문》, 2022-10-17</ref>
 
* 2022년 10월 16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인도주의부는 기자회견을 통해 이날까지 홍수로 603명이 사망했으며 1546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전체 36개 주 중 27개 주가 [[홍수]] 피해를 입었으며 이재민은 130만 명으로 집계됐다. 가옥 20만여 채가 부서졌으며 이 중 4만5000여 채는 완전히 파손됐다. 7만㏊가 넘는 [[농경지]]도 물에 잠겼다. [[식량]]과 [[연료]] 공급이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수인성 질병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이번 홍수 피해 규모는 2012년 대홍수 때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당시에는 36개 주 중 30개 주가 영향을 받았으며, 431명이 숨지고 130만 명이 실향민이 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위성사진을 보면 나이지리아 남부 나이저강과 베누에강 물이 크게 불어났다. 특히 두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중남부 코기주 주도 로코자에서는 불어난 물이 가옥 지붕까지 들어찼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이번 사태를 기후변화 탓으로 돌렸다. 2020년 발간된 나이지리아의 기후변화에 관한 국가정책 문서를 보면 최근 몇년 간 홍수가 증가했으며 기후변화가 심각한 기상 사건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쓰여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열악한 인프라와 소홀한 재난 대비도 피해를 키웠다고 본다. 나이지리아 경제에도 큰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이지리아 경제는 최근 1년 동안 사상 최고의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지난달 세계적으로 기아 위기가 가장 심한 6개국 중 하나로 나이지리아를 꼽았다. 이번 홍수로 농경지가 대거 침수되면서 식량 가격이 오르고 수급이 불안정해질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나이지리아 인도주의부는 당장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지난주부터 식량을 비롯한 생필품 1만2000t을 홍수 피해지역 주민들에게 전달했다.<ref>박효재 기자,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10171442001 나이지리아, 10년 새 최악 홍수…최소 600명 사망]〉, 《경향신문》, 2022-10-17</ref>
  
== 지도 ==
+
==지도==
{{나이저강 국가 지도|800}}
 
 
{{지도|나이저강}}
 
{{지도|나이저강}}
{{다단2
 
|{{서아프리카 강 지도}}
 
|{{기니만 국가 지도}}
 
}}
 
  
 
==동영상==
 
==동영상==
52번째 줄: 47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아프리카]]
 
* [[아프리카]]
 +
* [[대륙]]
 
* [[기니]]
 
* [[기니]]
 
* [[말리]]
 
* [[말리]]
 
* [[니제르]]
 
* [[니제르]]
 
* [[베냉]]
 
* [[베냉]]
 +
* [[국경]]
 
* [[나이지리아]]
 
* [[나이지리아]]
 
* [[나일강]]
 
* [[나일강]]
61번째 줄: 58번째 줄:
 
* [[부르키나파소]]
 
* [[부르키나파소]]
 
* [[사하라사막]]
 
* [[사하라사막]]
 +
* [[내륙]]
 +
* [[이집트]]
 +
* [[중국]]
 +
* [[유럽]]
 +
* [[세계]]
 +
* [[지도]]
 +
* [[고원]]
 +
* [[절벽]]
 +
* [[강물]]
  
{{:서아프리카 같이 보기}}
+
{{세계지리|검토 필요}}
 
 
{{세계의 강|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