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낙동강의 사진.jpg|썸네일|400픽셀|낙동강]]
 
[[파일:낙동강의 사진.jpg|썸네일|400픽셀|낙동강]]
 
 
''' 낙동강'''(洛東江)은 한반도 남동쪽에 위치한 [[강]]으로 한반도에서 [[압록강]]과 [[두만강]] 다음으로 길고 남한에서는 가장 긴 강이다.  
 
''' 낙동강'''(洛東江)은 한반도 남동쪽에 위치한 [[강]]으로 한반도에서 [[압록강]]과 [[두만강]] 다음으로 길고 남한에서는 가장 긴 강이다.  
  
51번째 줄: 50번째 줄:
 
* [[경남평야]](慶南平野)는 [[낙동강]](洛東江) 하류와 그 지류에 의하여 이루어진 [[충적평야]]이다. 낙동강 하류 일대의 [[김해평야]], [[남강]](南江) 유역의 [[진주평야]], [[밀양강]](密陽江) 유역의 [[밀양평야]]로 크게 구분된다. 영남지방 최대의 벼농사지대를 이루어 진주미(米) ·김해미 등 품질이 우수한 쌀을 생산하며, 그 밖에 목화·보리·채소류 등을 산출한다.
 
* [[경남평야]](慶南平野)는 [[낙동강]](洛東江) 하류와 그 지류에 의하여 이루어진 [[충적평야]]이다. 낙동강 하류 일대의 [[김해평야]], [[남강]](南江) 유역의 [[진주평야]], [[밀양강]](密陽江) 유역의 [[밀양평야]]로 크게 구분된다. 영남지방 최대의 벼농사지대를 이루어 진주미(米) ·김해미 등 품질이 우수한 쌀을 생산하며, 그 밖에 목화·보리·채소류 등을 산출한다.
  
==진영평야==
+
==진영평야[進永平野]==
* [[진영평야]](進永平野)는 경남의 낙동강 및 그 지류 유역에 전개된 [[평야]]이다. '대산들' 또는 '하남들'이라고도 한다. 낙동강 어귀에서 약 50 km 상류에 있으며, 밀양시 하남읍 ·상남면(上南面), 김해시 진영읍, 창원시 동면(東面) ·대산면(大山面)에 걸쳐 있다. 낙동강과 그 지류인 밀양강 ·봉황천(鳳凰川) ·청도천(淸道川) ·주천강(注川江) 등의 충적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낮은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성 저지이다. 해발고도가 5~10 m로 매우 낮기 때문에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자연제방과 배후습지가 발달하였다. 과거에는 [[습지]]와 갈밭이 대부분이었으나, 현재는 농경지로 개발되어 쌀 ·채소 ·과수 재배가 성하다. [[평야]] 내의 구릉지는 진영단감의 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중심지인 진영읍은 경전선 철도와 남해고속도로가 가로지르고, 밀양~진양 간 국도가 분기하는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
* 경남의 낙동강 및 그 지류 유역에 전개된 평야이다. 대산들 또는 하남들이라고도 한다. 낙동강 어귀에서 약 50 km 상류에 있으며, 밀양시 하남읍 ·상남면(上南面), 김해시 진영읍, 창원시 동면(東面) ·대산면(大山面)에 걸쳐 있다. 낙동강과 그 지류인 밀양강 ·봉황천(鳳凰川) ·청도천(淸道川) ·주천강(注川江) 등의 충적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낮은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성 저지이다. 해발고도가 5~10 m로 매우 낮기 때문에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자연제방과 배후습지가 발달하였다. 과거에는 [[습지]]와 갈밭이 대부분이었으나, 현재는 농경지로 개발되어 쌀 ·채소 ·과수 재배가 성하다. [[평야]] 내의 구릉지는 진영단감의 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중심지인 진영읍은 경전선 철도와 남해고속도로가 가로지르고, 밀양~진양 간 국도가 분기하는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 지도 ==
+
==동영상==  
{{낙동강 행정 지도|800}}
 
{{지도|낙동강}}
 
{{다단2
 
|{{낙동강 삼각주 행정 지도}}
 
|{{대저도 행정 지도}}
 
}}
 
{{다단2
 
|{{부산광역시 행정 지도}}
 
|{{영남지방 행정 지도}}
 
}}
 
 
 
== 동영상 ==  
 
 
<youtube>YeWTvYqAIUI</youtube>  
 
<youtube>YeWTvYqAIUI</youtube>  
 
<youtube>xOivffGfgYo</youtube>  
 
<youtube>xOivffGfgYo</youtube>  
74번째 줄: 61번째 줄: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https://namu.wiki/w/%EA%B0%95  강]〉,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A%B0%95  강]〉,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82%99%EB%8F%99%EA%B0%95  낙동강]〉,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82%99%EB%8F%99%EA%B0%95  낙동강]〉, 《나무위키》
87번째 줄: 74번째 줄:
 
* 서정호,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6710  강이란 무엇인가?]〉, 《경상일보》, 2009-06-25
 
* 서정호,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6710  강이란 무엇인가?]〉, 《경상일보》, 2009-06-2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강 (자연)|강]]
+
* [[강]]
* [[부산광역시]]
+
* [[]]
* [[남해]]
+
* [[물]]
 +
* [[하천]]
 +
* [[호수]]
 +
* [[바다]]
 
* [[한강]]
 
* [[한강]]
 
* [[남강]]
 
* [[남강]]
99번째 줄: 89번째 줄:
 
* [[양산천]]
 
* [[양산천]]
 
* [[황지연못]]
 
* [[황지연못]]
 
{{:동아시아 같이 보기}}
 
  
 
{{한국지리|검토 필요}}
 
{{한국지리|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