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세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납세자란 조세채권에 있어서의 부과징수권자인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직접 [[조세]]를 [[납부]]하는 자를 총칭한다. 즉 조세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해 조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는 자(납세의무자) 및 원천징수 등에 의해 조세를 징수납부하여야 하는 자(원천징수의무자)를 말한다. 국세기본법상 제2차납세의무자 및 국세의 [[보증인]]도 납세자의 범위에 포함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6574&cid=42095&categoryId=42095 납세자]〉, 《조세통람》</ref>
 
납세자란 조세채권에 있어서의 부과징수권자인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직접 [[조세]]를 [[납부]]하는 자를 총칭한다. 즉 조세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해 조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는 자(납세의무자) 및 원천징수 등에 의해 조세를 징수납부하여야 하는 자(원천징수의무자)를 말한다. 국세기본법상 제2차납세의무자 및 국세의 [[보증인]]도 납세자의 범위에 포함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6574&cid=42095&categoryId=42095 납세자]〉, 《조세통람》</ref>
  
[[납세]](納稅)는 세금을 내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법률]]에 따라 부과한 세금을 내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는 국민이 낸 세금으로 나라 살림을 하므로 세금을 성실하게 내야 한다. 그래서 [[헌법]]에는 납세의 의무를 국민의 의무로 정해놓고 있다. 즉, 대한민국 헌법에 따라 납세는 국민의 4대 의무 중 하나로 되어 있으며, 당연히 이를 어기면 국민의 의무를 어기는 셈이라 [[과태료]]를 물게 된다. 매년 3월 3일은 납세자의 날이며 [[국세청]] 설립 기념과 국민의 납세 정신 계몽을 목적으로 생긴 법정 기념일이다. 기념일에는 성실하게 납세를 해온 사람과 세무 행정에 협조한 사람들에게 [[훈장]]이나 [[표창]] 등을 수여한다. 또 이날을 전후해 '세금을 아는 주간'을 설정해 학생 세금 문예 작품전 공모 및 작품 전시, 국세청 명예 홍보 위원 위촉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상습적으로 납세하지 않는 사람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납세는 우리가 하고 싶지 않아도 숨을 쉬고 있다면 어디 선간 꼭 해야 한다. 심지어는 200원짜리 사탕을 사고 8천 원짜리 국밥을 먹어도, 자동차를 가지고만 있어도 나도 몰래 납세는 이루어지는 셈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50120&cid=58584&categoryId=58624 납세]〉, 《어린이백과》</ref><ref>〈[https://namu.wiki/w/%EB%82%A9%EC%84%B8 납세]〉, 《나무위키》</ref>
+
[[납세]](納稅)는 세금을 내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법률]]에 따라 부과한 세금을 내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는 국민이 낸 세금으로 나라 살림을 하므로 세금을 성실하게 내야 한다. 그래서 [[헌법]]에는 납세의 의무를 국민의 의무로 정해놓고 있다. 즉, 대한민국 헌법에 따라 납세는 국민의 4대 의무 중 하나로 되어 있으며, 당연히 이를 어기면 국민의 의무를 어기는 셈이라 [[과태료]]를 물게 된다. 매년 3월 3일은 [[납세자]]의 날이며 [[국세청]] 설립 기념과 국민의 납세 정신 계몽을 목적으로 생긴 법정 기념일이다. 기념일에는 성실하게 납세를 해온 사람과 세무 행정에 협조한 사람들에게 [[훈장]]이나 [[표창]] 등을 수여한다. 또 이날을 전후해 '세금을 아는 주간'을 설정해 학생 세금 문예 작품전 공모 및 작품 전시, 국세청 명예 홍보 위원 위촉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상습적으로 납세하지 않는 사람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납세는 우리가 하고 싶지 않아도 숨을 쉬고 있다면 어디 선간 꼭 해야 한다. 심지어는 200원짜리 사탕을 사고 8천 원짜리 국밥을 먹어도, 자동차를 가지고만 있어도 나도 몰래 납세는 이루어지는 셈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50120&cid=58584&categoryId=58624 납세]〉, 《어린이백과》</ref><ref>〈[https://namu.wiki/w/%EB%82%A9%EC%84%B8 납세]〉, 《나무위키》</ref>  
  
 
== 납세자의 날 ==
 
== 납세자의 날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