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스크립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네오스크립트'''(NeoScrypt)는 2014년 6월에 발표된 [[스크립트]]를 대체하도록 설계된 [[에이식]](ASIC) 내성 [[작업증명]] 알고리즘이다. 기존 [[스크립트 알고리즘]]의 후속 알고리즘이다.
+
'''네오스크립트'''(NeoScrypt)는 2014년 6월에 발표된 [[스크립트]] 를 대체하도록 설계된 ASIC 내성 작업 증명 알고리즘으로 기존[[스크립트 알고리즘]]의 후속 제품이다.
  
 
== 개요 ==
 
== 개요 ==
6번째 줄: 6번째 줄:
 
== 특징 ==
 
== 특징 ==
 
네오스크립트 알고리즘의 기능 중 하나는 트랜잭션 속도이다. 부하가 많은 기간 동안에도 네트워크는 신속하게 전환을 처리하는데, 이것은 네트워크의 모든 구성원이 진행하는 인증에 의해 가능해졌다. 사용자에게 직접 연결되지 않는 고유 해시를 생성하지만 사용자가 시스템 내에서 식별 할 수 있도록 한다.
 
네오스크립트 알고리즘의 기능 중 하나는 트랜잭션 속도이다. 부하가 많은 기간 동안에도 네트워크는 신속하게 전환을 처리하는데, 이것은 네트워크의 모든 구성원이 진행하는 인증에 의해 가능해졌다. 사용자에게 직접 연결되지 않는 고유 해시를 생성하지만 사용자가 시스템 내에서 식별 할 수 있도록 한다.
 +
 +
* '''페더코인(FTC)'''
 +
: 비트코인과 라이트코인의 우수한 점만을 고려한 결제 통화로, 2013년 4월 16일 최초 발행 되었고,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은 1분으로 현재 유통량은 2억 1천만 개이고 총 발행량은 3억 3천6백만 개다. ACP(Automatic Checkpointing)로 5분 마다(5블록 마다) 체크 포인트를 생성하여 51% 공격을 예방하고, 페더코인은 전송 수수료가 거의 0원에 가까우며, 빠르다. 거래의 최종 완결성, 즉, 이중 지불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블록 수는 거래가 일어나고 나서 5블록이 지나야 한다. 즉, 페더코인을 받고나서 5블록이 지나면 거래의 완결성, 즉, 이중 지불이 발생하지 않아 자신의 지갑에 온전히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f>토큰포스트, 〈[https://www.tokenpost.kr/terms/15106 페더코인(FTC)]〉,《TokenPost》 </ref>
  
 
== 암호화폐 ==
 
== 암호화폐 ==
15번째 줄: 18번째 줄:
  
 
* [[이노바]](Innova) : 익명성이 높고 트랜잭션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노바가 기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가격은 80센트에서 1달러정도이다.
 
* [[이노바]](Innova) : 익명성이 높고 트랜잭션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노바가 기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가격은 80센트에서 1달러정도이다.
 
[[파일:패더코인.PNG|썸네일|'''[[페더코인]]'''(FTC)]]
 
 
* [[페더코인]](FTC)
 
: 비트코인과 라이트코인의 우수한 점만을 고려한 결제 통화로, 2013년 4월 16일 최초 발행 되었고,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은 1분으로 현재 유통량은 2억 1천만 개이고 총 발행량은 3억 3천6백만 개다. ACP(Automatic Checkpointing)로 5분 마다(5블록 마다) 체크 포인트를 생성하여 51% 공격을 예방하고, 페더코인은 전송 수수료가 거의 0원에 가까우며, 빠르다. 거래의 최종 완결성, 즉, 이중 지불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블록 수는 거래가 일어나고 나서 5블록이 지나야 한다. 즉, 페더코인을 받고나서 5블록이 지나면 거래의 완결성, 즉, 이중 지불이 발생하지 않아 자신의 지갑에 온전히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f>토큰포스트, 〈[https://www.tokenpost.kr/terms/15106 페더코인(FTC)]〉,《TokenPost》 </ref> 페더코인은 2013년에 출시된 상당히 오래된 코인으로, NeoScrypt로 채굴이 가능한 코인의 대표주자이다. 페더코인은 만들어졌을 당시 비트코인과 라이트코인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만들어졌고, 라이트코인의 Scrypt 알고리즘에 ASIC에 출현함에 따라 이를 극복한 NeoScrypt를 도입하여 시작된 코인이다. 그래서, Leading NeoScrypt Alt coin 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고, 특징이라고 하면, 빠른 전송속도 정도라고 할 수 있다. 페더코인은 자주 사용하는 마이닝풀 허브를 보거나, 나이스해시 채굴과정을 보면, 가끔 NeoScrypt로 채굴할 때에 채산성이 올라가는 것을 목격하게 되는데, 네오스크립트로 채굴 가능한 코인으로는 오빗코인(Orbitcoin)이 있으며, 오빗코인 CPU 채굴, 오빗코인 GPU 채굴을 정리한 결과,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채굴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채굴이 가능하다.<ref>STIMA, 〈[http://a.to/19gttvN 가끔 채산성 좋은 네오스크립트]〉,《개인블로그》, 2018-02-19 </ref>
 
 
* [[에스노드코인]](Snodecoin)
 
: 2018년 10월 31일 마켓 캡 등록 되었고 시가 총액은 미정이며, 총발행량 6천만 개로, POW & POS Hybrid 이고, Neoscrypt 알고리즘을 사용한 10000 SND 의 블록체인 기반 다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마스터 노드 솔루션이다. 에스노드의 고급 플랫폼은 신생 기업에 비즈니스 창업을 위한 다양한 도구를 제공하고, 토큰 생성, 프리세일 등 또한 마스터 노드를 운영하여 안정적인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ref>영보스, 〈[http://a.to/19SMkdd 에스노드코인(Snodecoin)에 대해 알아보자]〉,《네이버》, 2018-11-01 </ref>
 
  
 
이외에도 네오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는 [[디자이어]](DESIRE), [[트레저코인]](TrezarCoin) 등이 있다.<ref name="neoscrypt_wiki"></ref>
 
이외에도 네오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는 [[디자이어]](DESIRE), [[트레저코인]](TrezarCoin) 등이 있다.<ref name="neoscrypt_wiki"></ref>
30번째 줄: 25번째 줄:
  
 
* 클레이모어(Claymore)의 네오스크립트 AMD GPU 채굴자 : 64비트 윈도우에서만 작동하며 AMD 카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 클레이모어(Claymore)의 네오스크립트 AMD GPU 채굴자 : 64비트 윈도우에서만 작동하며 AMD 카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
 
* ccMiner 네오스크립트 : [[엔비디아]](Nvidia) 카드 작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성능을 15~30% 향상시킬 수가 있다.
 
* ccMiner 네오스크립트 : [[엔비디아]](Nvidia) 카드 작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성능을 15~30% 향상시킬 수가 있다.
 +
 
* 네오스크립트 OpenCl GPU Miner : 프로세서에서의 채굴을 지원하며, [[해시레이트]] 증가에 최적화되기 시작한 최초의 채굴자 중 하나이다.<ref name="neoscrypt_wiki"></ref>
 
* 네오스크립트 OpenCl GPU Miner : 프로세서에서의 채굴을 지원하며, [[해시레이트]] 증가에 최적화되기 시작한 최초의 채굴자 중 하나이다.<ref name="neoscrypt_wiki"></ref>
  
==알고리즘용 채굴기 출시==
+
 
BITTECH가 NeoScrypt 알고리즘용 Bittech NS 채굴기를 출시됬다. NeoScrypt는 원래 ASIC 저항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 제품은 제약을 극복했고, Ethash와 Equihash 알고리즘 역시 BITMAIN과 Innosilicon이 각각 내놓은 ASIC를 통해 저항성을 극복하게 됐었으며, Bittech NS 채굴기는 55 Nvidia GTX1080 GPU와 맞먹는 63.2MH/s의 해시레이트를 기록하며 전력 소비량 역시 1250W에 불과하다. 제품 가격은 1890달러로, 29일 기준 수익력은 30달러이고, BITTECH 제품처럼 지속적으로 홍보하며 1600W Murata/Artesun 전원 어댑터와 호환된다.<ref>이한아 기자, 〈[http://www.ecofocus.co.kr/news/article.html?no=6426 BITTECH, NeoScrypt 알고리즘용 채굴기 출시]〉,《환경포커스》, 2018-08-31 </ref>
+
 
  
 
{{각주}}
 
{{각주}}
44번째 줄: 41번째 줄:
 
* 〈[http://a.to/19WmGd0 Phoenixcoin (PXC)]〉, 《코인닌자》
 
* 〈[http://a.to/19WmGd0 Phoenixcoin (PXC)]〉, 《코인닌자》
 
* 토큰포스트, 〈[https://www.tokenpost.kr/terms/15106 페더코인(FTC)]〉,《TokenPost》
 
* 토큰포스트, 〈[https://www.tokenpost.kr/terms/15106 페더코인(FTC)]〉,《TokenPost》
 
== 같이 보기 ==
 
* [[스크립트 알고리즘]]
 
* [[페더코인]]
 
  
 
{{알고리즘|검토 필요}}
 
{{알고리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