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다이브㈜ 글자.png|썸네일|300픽셀|'''다이브㈜'''(DAIB)]]
 
[[파일:다이브㈜ 글자.png|썸네일|300픽셀|'''다이브㈜'''(DAIB)]]
  
'''다이브㈜'''<!--다이브-->(DAIB)는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을 결합한 블록체인 플랫폼인 '''[[다이오스]]'''(DAIOS)를 개발한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블록체인을 통하여 더욱 향상된 핀테크를 선보이고, 인공지능(AI) 을 통해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인간의 삶을 보다 윤택하고 풍성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표는 '''[[안토니오 김]]'''<!--안토니오 킴-->(Antonio Kim)이다.
+
'''다이브㈜'''<!--다이브-->(DAIB)는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을 결합한 블록체인 플랫폼인 '''[[다이오스]]'''(DAIOS)를 개발한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현재 중앙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으로 부의 편중을 방지하고 인공지능이 학습을 통해 블록 결정권과 부의 분배를 결정하게 된다. 대표는 '''[[안토니오 김]]'''<!--안토니오 킴-->(Antonio Kim)이다.
  
 
== 개요 ==
 
== 개요 ==
8번째 줄: 8번째 줄: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파일:안토니오 김.JPG|썸네일|200픽셀|'''[[안토니오 김]]'''(Antonio Kim)<br>다이브㈜ 설립자]]
+
{{이미지|정렬=가운데
 
+
|안토니오 김.JPG|'''[[안토니오 김]]'''(Antonio Kim)<br>다이브㈜ 설립자
* '''[[안토니오 김]]'''(Antonio Kim): 다이브㈜의 설립자이다. 실리콘 밸리 인공지능 스타트업 프로젝트 마하 인크(Project MAHA.Inc)의 설립자 겸 테크마루앤코(Techmaru&Co)의 대표이사이기도 하다. 최고기술경영자 계명대학교에서 경영 정보학 전공했으며 드레이퍼 대학(Draper University)에서 기업가 정신 및 창업코스를 수료, [[서강대학교]]에서 기술 경영학 코스를 수료했다. ㈜인터페이스정보기술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재직했으며 ㈜윈포넷, 소프트베이스, 다우데이터에서 사전 판매 컨설턴트(Pre-Sales Consultant)로 재직한 등 다수 이력이 있다. 과거 [[한양대학교]] 겸임 교수를 엮임하기도 하였다.
+
|박흥식.jpg|'''[[박흥식]]'''<br>다이브㈜ 공동 설립자
 
+
|황병대.JPG|'''[[황병대]]'''<br>다이브㈜ 공동 설립자
 +
}}
 +
* '''[[안토니오 김]]'''(Antonio Kim): 다이브㈜의 설립자이다. 프로젝트 마하 인크(Project MAHA.Inc)의 설립자 겸 테크마루앤코(Techmaru&Co)의 대표이사이기도 하다. 최고기술경영자 계명대학교에서 경영 정보학 전공했으며 드레이퍼 대학(Draper University)에서 기업가 정신 및 창업코스를 수료, [[서강대학교]]에서 기술 경영학 코스를 수료했다. ㈜인터페이스정보기술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재직했으며 ㈜윈포넷, 소프트베이스, 다우데이터에서 사전 판매 컨설턴트(Pre-Sales Consultant)로 재직한 등 다수 이력이 있다. 현재 [[한양대학교]] 겸임 교수이기도 하다.
 
* '''[[박흥식]]''': 다이브㈜의 공동 설립자이다. 프랫 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에서 문학 석사학위가 있으며 파슨스 디자인 스쿨(Parsons School of Design)을 재학했다. 퍼블리크와 카운티마켓의 대표이사로 근무한 이력이 있다.
 
* '''[[박흥식]]''': 다이브㈜의 공동 설립자이다. 프랫 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에서 문학 석사학위가 있으며 파슨스 디자인 스쿨(Parsons School of Design)을 재학했다. 퍼블리크와 카운티마켓의 대표이사로 근무한 이력이 있다.
 
+
* '''[[황병대]]''': 다이브㈜의 공동 설립자이다. 해시브랜드(Hash Brand)의 대표이사이기도 하다. 플라밍고(Flamingodatamingo)에서 개발 총괄로 근무하였으며 에이치엠비 에코시스(HMB Ecosys)에서 최고 기술 경영자, 블록체인 타임즈(Blockchain Times)에서 지도사(Technical Advisor)로 근무하기도 했다.  
* '''[[황병대]]''': 다이브㈜의 공동 설립자이다. 2019년초 CTO를 사임하여 현재는 해시브랜드라는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다. 플라밍고(Flamingodatamingo)에서 개발 총괄로 근무하였으며 에이치엠비 에코시스(HMB Ecosys)에서 최고 기술 경영자, 블록체인 타임즈(Blockchain Times)에서 지도사(Technical Advisor)로 근무하기도 했다.
 
  
 
== 주요 사업 ==
 
== 주요 사업 ==
 
=== 다이오스 ===
 
=== 다이오스 ===
 
[[파일:다이오스.png|썸네일|400픽셀|'''다이오스'''(Decentralized AI Perating System, DAIOS)]]
 
[[파일:다이오스.png|썸네일|400픽셀|'''다이오스'''(Decentralized AI Perating System, DAIOS)]]
다이오스(Decentralized AI Perating System, DAIOS)란 블록체인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동시에 블록체인 기술을 대중화시키고 나아가서는 인공지능의 기반이 되는 [[빅데이터]]의 수집, 처리, 저장을 블록체인을 통해 탈중앙화시켜 분산처리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인공지능 운영체제이다. 다이오스는 타 플랫폼과 달리 블록체인의 경제적 보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수집과 공유를 투명하게 제공한다. 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빅데이터의 제작소 및 직거래소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많은 인공지능의 모태로 작용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이다. 다이오스 플랫폼은 유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분산 저장 처리자, 인공지능용 빅데이터 사용자인 4개의 핵심 요인으로 이루어진 생태계에 의해 운영된다. 첫 번째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들은 어플을 개발 및 배포하고 사용자들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 기업들은 초기에 [[ICO]]를 이용하거나 직접 자사의 사용자 데이터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저장하는 분산 저장 처리자가 되어 데이터를 공유하는 대가로 [[디오스 코인]]을 받아 수익을 창출한다. 즉 다이오스 플랫폼에 개발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데이터 수집을 위한 창구가 되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은 이렇게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고유 [[토큰]]이나 다이오스 코인을 이용하여 구매하고 사용한다.
+
다이오스(Decentralized AI Perating System, DAIOS)란 블록체인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빅데이터]]의 수집, 처리, 저장을 블록체인을 통해 [[탈중앙화]] 시켜 분산처리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 운영체제인 것이다. 다이오스는 타 플랫폼과 달리 블록체인의 경제적 보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수집과 공유를 투명하게 제공한다. 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빅데이터의 제작소 및 직거래소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많은 인공지능의 모태로 작용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이다.
 +
 
 +
다이오스 플랫폼은 유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분산 저장 처리자, 인공지능용 빅데이터 사용자인 4개의 핵심 요인으로 이루어진 생태계에 의해 운영된다. 첫 번째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들은 어플을 개발 및 배포하고 사용자들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 기업들은 초기에 [[ICO]]를 이용하거나 직접 자사의 사용자 데이터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저장하는 분산 저장 처리자가 되어 데이터를 공유하는 대가로 [[디오스 코인]]을 받아 수익을 창출한다. 즉 다이오스 플랫폼에 개발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데이터 수집을 위한 창구가 되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은 이렇게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고유 [[토큰]]이나 다이오스 코인을 이용하여 구매하고 사용한다.
 +
 
 +
분산 저장 처리자들은 애플리케이션 회사가 맡긴 데이터를 저장해주는 대가로 그들로부터 토큰 저장료를 받는다. 후에 인공지능 개발을 원하는 개인 및 회사가 저장한 데이터를 사용할 때 마다 컴퓨팅에 대한 보상으로 다이오스 메인 코인을 받는다. 현재 블록체인 시스템의 저장 서비스 제공자들은 [[마이너]]로서의 역할을 맡아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다이오스 플랫폼의 저장 서비스 제공자들은 한정된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가장 수익성 있는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
  
분산 저장 처리자들은 애플리케이션 회사가 맡긴 데이터를 저장해주는 대가로 그들로부터 토큰 저장료를 받는다. 후에 인공지능 개발을 원하는 개인 및 회사가 저장한 데이터를 사용할 때 마다 컴퓨팅에 대한 보상으로 다이오스 메인 코인을 받는다. 현재 블록체인 시스템의 저장 서비스 제공자들은 [[마이너]]로서의 역할을 맡아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다이오스 플랫폼의 저장 서비스 제공자들은 한정된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가장 수익성 있는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 빅데이터 사용자들은 다이오스 플랫폼의 방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공지능을 개발 할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인공지능은 저장 서비스 제공자들의 분산처리를 통해 구동되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거대한 인공지능을 제작 및 유통할 수 있다.
+
빅데이터 사용자들은 다이오스 플랫폼의 방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공지능을 개발 할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인공지능은 저장 서비스 제공자들의 분산처리를 통해 구동되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거대한 인공지능을 제작 및 유통할 수 있다.
  
 
현재 다이오스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는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다이오스 브라우저(DAIOS Browser)이다. 다이브㈜가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는 손쉽게 기존의 인터넷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혼용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결제 및 인증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다이오스 오쓰(DAIOS Auth)이다. 기존의 인증 서비스의 비용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 서비스인데, 손쉽게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개인정보에 제한을 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이오스 페이(DAIOS Pay)가 있다. 다이오스 페이는 기존의 단순한 송·수신 [[월렛]]이 아니다. 바로 카드 결제를 지원하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 [[오프라인]] [[포스]](POS)기기 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도 손쉽게 다이오스 페이의 결제 기능을 탑재해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다이오스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는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다이오스 브라우저(DAIOS Browser)이다. 다이브㈜가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는 손쉽게 기존의 인터넷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혼용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결제 및 인증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다이오스 오쓰(DAIOS Auth)이다. 기존의 인증 서비스의 비용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 서비스인데, 손쉽게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개인정보에 제한을 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이오스 페이(DAIOS Pay)가 있다. 다이오스 페이는 기존의 단순한 송·수신 [[월렛]]이 아니다. 바로 카드 결제를 지원하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 [[오프라인]] [[포스]](POS)기기 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도 손쉽게 다이오스 페이의 결제 기능을 탑재해 사용할 수 있다.
45번째 줄: 50번째 줄: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 참고 자료 ==
 +
* 다이오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daios.io/
 +
* 안토니오 김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tonymustbegreat
 +
* 황병대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byeongdae.hwang.7
 +
* 박흥식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6490655885&_rdc=1&_rdr
 
* 박명기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811052069v 다이브, 블록체인 플랫폼 '다이오스' 프로젝트 납신다]〉, 《한국경제》, 2018-11-05
 
* 박명기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811052069v 다이브, 블록체인 플랫폼 '다이오스' 프로젝트 납신다]〉, 《한국경제》, 2018-11-05
 
* 김성한 기자, 〈[https://www.fintechtimes.co.kr/news/article.html?no=11866 AI와 블록체인 개발 테크 스타트업 ‘다이브’, 피칫와 협력으로 사업 본격화]〉, 《핀테크 경제신문》, 2019-08-24
 
* 김성한 기자, 〈[https://www.fintechtimes.co.kr/news/article.html?no=11866 AI와 블록체인 개발 테크 스타트업 ‘다이브’, 피칫와 협력으로 사업 본격화]〉, 《핀테크 경제신문》, 2019-08-24
56번째 줄: 65번째 줄:
 
* [[암호화폐]]
 
* [[암호화폐]]
  
 +
{{로고 수정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