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넷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크넷'''<!--다크 넷, 다크네트, 다크 네트-->(darknet)<!--dark net-->은 비표준 통신 [[프로토콜]]과 [[포트]]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특정 소프트웨어나 네트워크 허가나 설정이 있어야 접속할 수 있는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 이다. 두 개의 일반적인 다크넷 형태는 [[P2P]] 접속으로 파일 공유에 사용하는 친구 간 네트워크(friend-to-friend networK)와 [[토르]](Tor)와 같은 사생활 보호 네트워크(privacy network)이다.
 
'''다크넷'''<!--다크 넷, 다크네트, 다크 네트-->(darknet)<!--dark net-->은 비표준 통신 [[프로토콜]]과 [[포트]]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특정 소프트웨어나 네트워크 허가나 설정이 있어야 접속할 수 있는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 이다. 두 개의 일반적인 다크넷 형태는 [[P2P]] 접속으로 파일 공유에 사용하는 친구 간 네트워크(friend-to-friend networK)와 [[토르]](Tor)와 같은 사생활 보호 네트워크(privacy network)이다.
 
{{:인터넷 배너}}
 
  
 
== 개요 ==
 
== 개요 ==
26번째 줄: 24번째 줄:
 
#정치적 보복으로부터 반체제 인사 보호
 
#정치적 보복으로부터 반체제 인사 보호
 
#내부 고발  
 
#내부 고발  
#네트워크 검열 및 콘텐츠 필터링 시스템 순환 또는 제한된 방화벽 정책 우회<ref>Taylor, Harriet, 〈[https://www.cnbc.com/2016/05/18/hit-men-drugs-and-malicious-teens-the-darknet-is-going-mainstream.html Hit men, drugs and malicious teens: the darknet is going mainstream]〉, 《CNBC》, 2016-05-19</ref>  
+
#네트워크 검열 및 콘텐츠 필터링 시스템 순환 또는 제한된 방화벽 정책 우회<ref>Taylor, Harriet, 〈[https://www.cnbc.com/2016/05/18/hit-men-drugs-and-malicious-teens-the-darknet-is-going-mainstream.html Hit men, drugs and malicious teens: the darknet is going mainstream]〉, 2016-05-19</ref>  
#감시로부터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ref>Tor Project Retrieved, 〈[https://www.torproject.org/about/torusers.html Who uses Tor?]〉, 《토르》, 2017-05-14</ref>
+
#감시로부터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ref>Tor Project Retrieved, 〈[https://www.torproject.org/about/torusers.html Who uses Tor?]〉, 2017-05-14</ref>
 
#첩보 작전 등을 포함하는 군사 활동
 
#첩보 작전 등을 포함하는 군사 활동
  
47번째 줄: 45번째 줄: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다크넷 시장으로 유입되는 암호화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더욱 [[탈중앙화]]된 처리 과정을 가능케 해주는 신기술이 구현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권력에 의한 폐쇄를 피하고자, 일부 다크넷 시장들은 토르 웹 브라우저나 "블록체인 자체"와 유사한 완전히 탈중앙화된 구조를 갖는 새로운 인프라를 채택하고 있다고 체이널리시스는 지적했다. 또한, 이번 연구의 일환으로, 체이널리시스는 모네로(XMR)와 같은 프라이버시 지향적인 암호화폐를 수용하거나 요구하는 다크넷 시장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ref>Helen Partz, 〈[https://kr.cointelegraph.com/news/crypto-payments-on-darknet-markets-doubled-for-first-time-since-2015 다크넷 시장에서 암호화폐 지불액 두 배로 증가]〉, 《코인텔레그래프》, 2020-01-30</ref>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다크넷 시장으로 유입되는 암호화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더욱 [[탈중앙화]]된 처리 과정을 가능케 해주는 신기술이 구현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권력에 의한 폐쇄를 피하고자, 일부 다크넷 시장들은 토르 웹 브라우저나 "블록체인 자체"와 유사한 완전히 탈중앙화된 구조를 갖는 새로운 인프라를 채택하고 있다고 체이널리시스는 지적했다. 또한, 이번 연구의 일환으로, 체이널리시스는 모네로(XMR)와 같은 프라이버시 지향적인 암호화폐를 수용하거나 요구하는 다크넷 시장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ref>Helen Partz, 〈[https://kr.cointelegraph.com/news/crypto-payments-on-darknet-markets-doubled-for-first-time-since-2015 다크넷 시장에서 암호화폐 지불액 두 배로 증가]〉, 《코인텔레그래프》, 2020-01-30</ref>
 
;익명화 처리기
 
직접 거래를 한 아이피 주소만 감출 수 있으면 블록체인 기술을 유명무실하게 만들 수 있다. 일종의 익명화 처리기라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인데, 믹서(세탁 서비스)라고도 한다. 텀블러나 다크월렛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동일한 비트코인 계정에서 발생한 모든 거래를 섞어버린다. 단일 거래만 이루어진다는 것을 기반으로 투명성을 확보한 블록체인의 기술 자체가 모호해지는 것이다. 더불어, 일정 부분 무작위로 생성되는 가짜 거래 정보를 만들어 함께 전송한다. 이런 방법을 사용하면 특정 계정과 거래 사이의 연관 관계를 찾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진다. 이런 서비스들로는 비트믹서(Bitmixer), 셰어드코인(SharedCoin), 비트코인 론더리(Bitcoin Laundry), 비트론더(Bitlaunder) 등이 알려져 있다. 다크월렛은 거래를 성사하기 위해서 반드시 있어야 하는 전자지갑의 형태인데, 자동 믹명화 처리, 분산된 거래 등을 통해 익명성을 지켜주는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크로드에서도 구매행위마다 믹서 서비스의 대표 격인 텀블러를 사용해서 수많은 거래정보를 발생 시켜, 실제 비트코인을 지불한 소비자의 IP를 역추적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다크넷상의 마약거래에서도 위와 같은 익명화 처리 서비스 등을 이용해서 얼마든지 불법적인 약물 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이피 추적이 가능하다고 해도, 모든 거래를 다 밝혀내기보다는 특정 기간이나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정해서 수사해야 할 정도로 거래 자체가 광범위해진 상황에서 향후 마약 거래뿐만 아니라 마약성 진통제, 식욕억제제, 향정신성 의약품을 비롯한 고가의 전문의약품에 대한 수많은 거래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ref name="약학2">최혁재,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B%8B%A4%ED%81%AC%EB%84%B7%EA%B3%BC%20%EB%B6%88%EB%B2%95%EC%95%BD%EB%AC%BC%EA%B1%B0%EB%9E%98(2).pdf 다크넷과 불법약물거래(2)]〉, 《약학정보원》</ref>
 
  
 
=== 범죄 관련 ===
 
=== 범죄 관련 ===
94번째 줄: 87번째 줄:
 
* [[신디|신디(Syndie)]]: I2P, Tor, Freenet의 익명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된 포럼을 게시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다.  
 
* [[신디|신디(Syndie)]]: I2P, Tor, Freenet의 익명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된 포럼을 게시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다.  
 
* [[제로넷|제로넷(Zeronet)]]: Tor의 P2P 사용자들로 구성된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다.
 
* [[제로넷|제로넷(Zeronet)]]: Tor의 P2P 사용자들로 구성된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다.
 +
 +
{{각주}}
  
 
== 논란 ==
 
== 논란 ==
[[파일:토르 기반 불사.jpg|썸네일|400픽셀|토르를 기반으로 한 불법사이트 현황]]
 
 
=== 개인 정보 ===
 
=== 개인 정보 ===
국내 시중은행의 신용카드 정보가 다크넷에 있는 블랙마켓인 한사(Hansa)마켓에서 장당 2만 원 전후에 판매되는 것이 포착되기도 했다. 물론 개인정보도 함께 거래되고 있었으며, 국내 가장 큰 금융기관 중의 한 곳에서만 690건의 신용카드 정보가 노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정보에는 주소, 국가명, 이메일, 전화번호, 거래내용 등이 포함되었다. 2017년 3월, 카드 정보가 노출된 신용카드 건수를 추적해본 결과, 한국이 2위 인도네시아의 2배에 가까운 4,058건으로 드러났을 정도로 국내 신용카드의 보안이 위험한 지경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심지어 블랙마켓에서는 자신들이 가진 정보의 상품 가치를 높이기 위해 자체 보안 레벨을 올리고, 해커들에게 상금을 걸고 취약점을 제보하게 할 정도로 다크넷을 통한 불법 정보 거래가 기업 수준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 name="약학2"></ref>
 
  
2020년 4월 25일, 싱가포르 사이버보안업체인 그룹(Group)-IB는 한국과 미국의 카드 정보가 다크넷 카드샵에 2020년 4월 9일 자로 등록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해당 판매 글에는 한국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이 업체가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한국 카드 정보는 전체 정보 중 49.9%, 전체 397,365건 중 198,233건으로 건당 5달러쯤으로 판매됐다. 미국 카드 정보는 전체의 49.3% 정도였다. 그룹 IB는 "미국 카드 정보가 다크웹에서 거래되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한국 카드 정보가 거래되는 건 드문 경우다"라며 "이번 유출은 올해 들어 이 업체가 파악한 대규모 한국 카드 정보 유출 사건이다"라고 밝혔다. 또 "8개월 전에도 한국 카드 정보가 대량으로 다크웹에 올라온 적이 있었다"라고 덧붙였다.<ref>유진상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27/2020042700128.html 韓ㆍ美 카드결제 정보 약 40만건, 다크웹 거래 중...건당 5달러, 총 200만달러 규모]〉, 《아이티조선》, 2020-04-27</ref>
 
  
=== 해킹 ===
+
=== 마약 및 음란물 ===
2008년, 미국 정찰용 드론인 [[프레데터]](Predator)를 해킹해 영상 정보를 유출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라크 무장단체가 26달러를 주고 러시아에 구매한 해킹 프로그램을 가지고 해킹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016년 9월, 미국에서 대규모 [[디도스]](DDOS, 서비스 분산 공격)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CNN, 페이팔, 트위터 등 85개 호스트 업체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가 중단됐다. 해커는 [[미라이]](Mirai) 악성코드를 이용해서 CCTV, 스마트 TV와 같은 스마트 기기 10만대를 감염시킨 후 디도스 공격을 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격 방식은 매우 단순하고 초보적이었다. 해커는 핵포럼스(Hackforums)라는 해커 포털 사이트에서 미라이 악성코드를 내려받아 사물인터넷 기기 대상으로 확산시킨 것이 전부였다. 해킹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정교한 장치들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그래서 사이버보안 전문가들은 해커가 초보자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마약은 국내 국외 가릴 것 없이 전세계적으로 문제이다. 2016년 기준, 국내 마약사범은 1만 4천명을 돌파하면서 2015년 대비 20%나 상승했으며, 전 세계 성인인구(15~65세)의 0.6%에 달하는 2,950만 명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마악을 사용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중 마약복용으로 인해 결국 마약중독으로 목숨을 잃은 사망자만 19만 명이나 되었다. 마약 투여자 중 무려 1,200만 명이 주사를 통해 마약을 주입했고, 이 과정에서 동일한 주사기를 돌려쓰다가 160만 명이 에이즈에 감염되었다. C형 간염에 걸린 사람만 610만 명이나 되었고, 두 가지 질병에 모두 감염된 사람도 130만 명이나 될 정도로 마약의 부정적 여파는 심각하다. 이 위협은 보건의료 측면에만 존재하지는 않는다. 전 세계 범죄조직 수익 중에서 1/4~1/3이 마약유통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마약중독자들에게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아편만 해도 아프가니스탄에서 재배되는 아편 수입의 85%가 탈레반의 수입원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볼 때, 범죄조직과 테러조직의 유지, 확장에 마약판매수익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은 결코 간과할 사항이 아닌 것이다. 더군다나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들 중 다수가 다크넷을 통한, 수사의 한계선을 지난 경로를 이용해서 마약을 구입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이 사례처럼 해킹 툴만 있으면 악성 공격은 아주 어렵지 않다. 사이버 공격은 이제 해킹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이 악성 공격을 쉽게 감행할 수 있도록 해킹 툴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해킹 관련 포털 사이트에 접속해보면, 악성코드에 감염된 홈페이지 정보 공유, 디도스 공격 툴 판매, 악성코드 판매, 프리랜서 해커 구직 공고 등 해킹 관련 공고들이 다양하게 올라오고 있다.<ref>유성민 IT 칼럼니스트,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B2%94%EC%A3%84-%EA%B7%BC%EC%9B%90%EC%A7%80-%EB%8B%A4%ED%81%AC%EB%84%B7%EC%9D%84-%EC%82%B4%ED%8E%B4%EB%9D%BC/ 범죄 근원지 '다크넷'을 살펴라]〉, 《사이언스타임즈》, 2017-05-08</ref>
+
2014년에 스웨덴과 폴란드, 노르웨이 등이 다크넷을 통해 마약을 구입한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2016년에는 핀란드 마약 사용자의 41%가 다크넷을 통해 마약을 구입했고, 이어 덴마크 27.2%, 웨일즈 25%, 스웨덴 24.5%, 스코틀랜드와 스페인이 22.5%로 그 뒤를 따를 정도로 변화가 있었다. 국내에서도 이런 다크넷을 이용한 마약거래는 이미 홈쇼핑처럼 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일선의 평이다. 마약의 수령방법은 감시체계가 가장 소홀하기 마련인 국제특급우편이 애용되는데, 2017년 상반기만 해도 국제특급우편을 통해 들여오다 적발된 마약류만 총 197건이나 되었다. 전년대비 무려 160%가 늘어난 규모인 것이다. 이 외에도 속칭 ‘던지기’라는 수법으로 지하철 사물함이나 심지어는 길거리의 휴지통에 마약을 던져놓고 가면서 검거를 피하는 방법, 국외 여행지에서 직접 만나는 방법 등도 쓰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50개 이상의 마약판매 사이트가 다크넷에서 성업 중이지만, 향후 다크넷의 효용도가 올라가면 이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 마약 ===
 
마약은 국내 국외 가릴 것 없이 전 세계적으로 문제이다. 2016년 기준, 국내 마약사범은 1만 4천 명을 돌파하면서 2015년 대비 20%나 상승했으며, 전 세계 성인 인구(15~65세)의 0.6%에 달하는 2,950만 명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마약을 사용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중 마약 복용으로 인해 결국 마약중독으로 목숨을 잃은 사망자만 19만 명이나 되었다. 마약 투여자 중 무려 1,200만 명이 주사를 통해 마약을 주입했고, 이 과정에서 동일한 주사기를 돌려쓰다가 160만 명이 에이즈에 걸렸다. C형 간염에 걸린 사람만 610만 명이나 되었고, 두 가지 질병에 모두 걸린 사람도 130만 명이나 될 정도로 마약의 부정적 여파는 심각하다. 이 위협은 보건의료 측면에만 존재하지는 않는다. 전 세계 범죄조직 수익 중에서 1/4~1/3이 마약유통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마약 중독자들에게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아편만 해도 아프가니스탄에서 재배되는 아편 수입의 85%가 탈레반의 수입원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볼 때, 범죄조직과 테러조직의 유지, 확장에 마약 판매수익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은 결코 간과할 사항이 아니다. 더군다나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들 중 다수가 다크넷을 통한, 수사의 한계선을 지난 경로를 이용해서 마약을 구입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2014년에 스웨덴과 폴란드, 노르웨이 등이 다크넷을 통해 마약을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2016년에는 핀란드 마약 사용자의 41%가 다크넷을 통해 마약을 구입했고, 이어 덴마크 27.2%, 웨일즈 25%, 스웨덴 24.5%, 스코틀랜드와 스페인이 22.5%로 그 뒤를 따를 정도로 변화가 있었다. 국내에서도 이런 다크넷을 이용한 마약거래는 이미 홈쇼핑처럼 쉽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일선의 평이다. 마약의 수령 방법은 감시체계가 가장 소홀하기 마련인 국제특급우편이 애용되는데, 2017년 상반기만 해도 국제특급우편을 통해 들여오다 적발된 마약류만 총 197건이나 되었다. 2016년 대비 무려 160%가 늘어난 규모이다. 이 외에도 속칭 ‘던지기’라는 수법으로 지하철 사물함이나 심지어는 길거리의 휴지통에 마약을 던져놓고 가면서 검거를 피하는 방법, 국외 여행지에서 직접 만나는 방법 등도 쓰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50개 이상의 마약판매 사이트가 다크넷에서 성업 중이지만, 향후 다크넷의 효용도가 올라가면 이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의 다크넷 관련 마약범죄는 완성된 제품의 판매확산에만 있지 않았다. 재배방법까지 상세히 소개된 다크넷을 통해 대마를 직접 재배하고 흡연용 파이프로 위장해 파는 일들이 생기는 것이다. 한마디로 정상적인 루트를 통해서 접하기 어려운 범죄정보가 그대로 노출되는 셈이다.<ref>최혁재,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B%8B%A4%ED%81%AC%EB%84%B7%EA%B3%BC%20%EB%B6%88%EB%B2%95%EC%95%BD%EB%AC%BC%EA%B1%B0%EB%9E%98(1).pdf 다크넷과 불법약물거래(1)]〉, 《약학정보원》</ref>
 
국내에서의 다크넷 관련 마약범죄는 완성된 제품의 판매확산에만 있지 않았다. 재배방법까지 상세히 소개된 다크넷을 통해 대마를 직접 재배하고 흡연용 파이프로 위장해 파는 일들이 생기는 것이다. 한마디로 정상적인 루트를 통해서 접하기 어려운 범죄정보가 그대로 노출되는 셈이다.<ref>최혁재,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B%8B%A4%ED%81%AC%EB%84%B7%EA%B3%BC%20%EB%B6%88%EB%B2%95%EC%95%BD%EB%AC%BC%EA%B1%B0%EB%9E%98(1).pdf 다크넷과 불법약물거래(1)]〉, 《약학정보원》</ref>
  
 
=== 기타 범법 행위 ===
 
=== 기타 범법 행위 ===
일반적으로 다크넷을 통해 접속이 가능한 사이트에는 정상적인 경로로는 얻을 수 없는 정보와 물품,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많다. 마약거래 사이트 외에도 무기 구매 사이트, 청부살인 사이트, 불법 생체실험 사이트, 신용카드 정보 불법 거래 사이트, 위조지폐 제작 관련 사이트, 위조여권 주문 사이트, 사설경마 사이트, 잔혹게임 사이트, 하드고어물 판매 사이트, 불륜주선 사이트, 해커들을 위한 사이트 등 온갖 불법과 탈법이 공존하는 사이트들을 볼 수가 있다. 실제로, 가짜 시민권도 거래하며, 개인적인 원한 관계에 있는 사람을 불구로 만들어달라는 요청이나 특정 인물에 대한 성폭행을 청부하는 곳도 있으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물의 제작 의뢰도 있을 정도이다. 물론 실행이 어려운 주문일수록 가격이 비싼 편이다.
 
 
개인적인 의뢰 외에도 경쟁사의 고객정보나 자금 상태에 대한 정보 획득을 의뢰하거나, 경쟁기업의 지적재산, 개발과정 중인 경쟁 상품과 마케팅 계획들을 빼돌려달라는 요구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특정 회사의 영업비밀이나 M&A 전략 등의 알짜배기 정보들이 거래되는 곳이기도 하다.<ref name="약학2"></ref>
 
  
{{각주}}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Matt Egan, 〈[http://www.itworld.co.kr/news/105740 다크웹과 딥 웹의 정의와 차이점]〉, 《아이티월드》, 2017-07-25
 
* Matt Egan, 〈[http://www.itworld.co.kr/news/105740 다크웹과 딥 웹의 정의와 차이점]〉, 《아이티월드》, 2017-07-25
 +
* 다크넷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8B%A4%ED%81%AC%EB%84%B7
 
* 다크넷 위키피디아 - https://en.wikipedia.org/wiki/Darknet Darknet
 
* 다크넷 위키피디아 - https://en.wikipedia.org/wiki/Darknet Darknet
* 다크웹 위키피디아 - https://en.wikipedia.org/wiki/Darkweb Darkweb
+
* 다크웻 위키피디아 - https://en.wikipedia.org/wiki/Darkweb Darkweb
* Jamie Bartlett, 〈[https://tv.naver.com/v/729059 어떻게 비밀한 다크넷이 주류로 진출할 수 있을까]〉, 《네이버 TV》, 2016-02-04
+
* Jamie Bartlett, 〈[https://tv.naver.com/v/729059 어떻게 비밀한 다크넷이 주류로 진출할 수 있을까]〉, 《네이버TV》, 2016-02-04
* 채반석 기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1037&cid=59088&categoryId=59096 다크 웹]〉, 《네이버 지식백과》, 2017-02-02
+
* 채반석 기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1037&cid=59088&categoryId=59096 다크 웹]〉, 《네이버캐스트》, 2017-02-02
 
* Josh Fruhinger, 〈[http://www.itworld.co.kr/news/112560 다크웹 웹사이트에 대해 알아야 할 11가지 사실]〉, 《아이티월드》, 2018-12-05
 
* Josh Fruhinger, 〈[http://www.itworld.co.kr/news/112560 다크웹 웹사이트에 대해 알아야 할 11가지 사실]〉, 《아이티월드》, 2018-12-05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