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라리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파일:블록원 글자.png|썸네일|300픽셀|'''[[블록원]]'''(Block.one) 회사]]
 
[[파일:블록원 글자.png|썸네일|300픽셀|'''[[블록원]]'''(Block.one) 회사]]
  
'''댄 라리머'''<!--댄 라이머, 댄 레이머-->(Dan Larimer)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비트셰어]]'''(BTS)의 창시자, '''[[스팀]]'''(Steem)의 공동 창시자([[CTO]]), '''[[이오스]]'''(EOS)의 창시자이다. '''다니엘 라리머'''(Daniel Larimer)라고도 한다. '댄 라이머'가 아니라 '댄 라리머'가 올바른 표기법이다. 아버지인 [[스탠 라리머]](Stan Larimer)와 함께 [[크립토노멕스]]라는 블록체인 기술 컨설팅 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2017년 [[브렌든 블루머]](Brendan Blumer), [[브록 피어스]](Brock Pierce) 등과 함께 [[블록원]](Block.one) 회사를 공동 설립하고, 기술이사를 맡아 [[이오스]](EOS)를 창시했다. 2018년 1월 19일 미국 [[포브스]]가 발표한 전 세계 암호화폐 부자 순위 13위를 기록했다.
+
'''댄 라리머'''<!--댄 라이머, 댄 레이머-->(Dan Larimer)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비트셰어]]'''(BTS)의 창시자, '''[[스팀]]'''(Steem)의 공동 창시자([[CTO]]), '''[[이오스]]'''(EOS)의 창시자이다. '''다니엘 라리머'''(Daniel Larimer)라고도 한다. 아버지인 [[스탠 라리머]](Stan Larimer)와 함께 [[크립토노멕스]]라는 블록체인 기술 컨설팅 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2017년 [[브렌든 블루머]](Brendan Blumer), [[브록 피어스]](Brock Pierce) 등과 함께 [[블록원]](Block.one) 회사를 공동 설립하고, 기술이사를 맡아 [[이오스]](EOS)를 창시했다. 2018년 기존의 익명성 기반의 암호화폐인 [[모네로]]와 위임지분증명 방식의 [[이오스]]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암호화폐인 가칭 '''[[모네로스]]'''(MonerEOS)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댄 라이머'아니라 '댄 라리머'가 올바른 표기법이다.
  
 
== 개요 ==
 
== 개요 ==
 +
 
댄 라리머는 미국 [[콜로라도]] 출신으로서, 블록체인 기술, 암호화폐 기술, 분산 거래소, 자유 경제 시스템 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14년 암호화폐인 [[비트셰어]]<!--비트쉐어-->(BitShares)를 창시했고, 2016년 블록체인 소셜 플랫폼인 [[스팀잇]](Steemit)의 공동 설립자이며, 2017년 [[이오스]](EOS)를 창시하고 기술이사(CTO)를 맡고 있다. 댄 라리머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 및 토큰 암호 해독 능력을 강화하는 [[그래핀]](Graphene) 기술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댄 라리머는 미국 [[콜로라도]] 출신으로서, 블록체인 기술, 암호화폐 기술, 분산 거래소, 자유 경제 시스템 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14년 암호화폐인 [[비트셰어]]<!--비트쉐어-->(BitShares)를 창시했고, 2016년 블록체인 소셜 플랫폼인 [[스팀잇]](Steemit)의 공동 설립자이며, 2017년 [[이오스]](EOS)를 창시하고 기술이사(CTO)를 맡고 있다. 댄 라리머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 및 토큰 암호 해독 능력을 강화하는 [[그래핀]](Graphene) 기술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17번째 줄: 18번째 줄:
  
 
=== 어린 시절 ===
 
=== 어린 시절 ===
미국 [[콜로라도]]에서 태어난 댄 라리머는 [[플로리다]]와 [[버지니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ref name="댄 라리머">Stellabelle, "[https://hackernoon.com/dan-larimer-visionary-programmer-of-bitshares-steem-and-eos-7e6d94b241d7 DAN LARIMER: Visionary Programmer of BitShares, Steem and EOS]", ''HACKERNOON'', 2017-06-12</ref> 초등학교 때부터 아버지 [[스탠 라리머]](Stan Larimer)에게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웠다. 그의 아버지는 [[보잉사]](Boeing)와 [[미공군사관학교]](US Air Force Academy)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으며 [[SAIC]](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에서 [[컨설턴트]]로 근무한 베테랑이었다.<ref>Roger Aitken, "[https://www.forbes.com/sites/rogeraitken/2015/10/12/meet-cryptonomexs-dan-larimer-and-his-four-horsemen-of-crypto-economics/#14cecd853fd9 Meet Cryptonomex's Dan Larimer And His 'Four Horsemen' Of Crypto-Economics]", ''Forbes'', 2015-10-12</ref> 아버지 덕분에 기술을 가까이 하며 살아온 댄 라이머는 2학년 때 AP(Advanced Placement) 컴퓨터과학에 대한 모든 수업을 배운 후 독학으로 [[컴퓨터]] 관련 지식을 습득하기 시작했다. 이 시절 학급 친구들이 간단한 워드 게임을 만들 때, 댄 라리머는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갖춘 퀴즈 게임을 개발하며 단연 돋보이는 능력을 나타냈다.<ref name="댄 라리머"></ref> 이후 그는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에 진학하여 2003년에 컴퓨터과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
미국 [[콜로라도]]에서 태어난 댄 라리머는 [[플로리다]]와 [[버지니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ref name="댄 라리머">Stellabelle, "[https://hackernoon.com/dan-larimer-visionary-programmer-of-bitshares-steem-and-eos-7e6d94b241d7 DAN LARIMER: Visionary Programmer of BitShares, Steem and EOS]", ''HACKERNOON'', 2017-06-12</ref> 초등학교 때부터 아버지 [[스탠 라리머]](Stan Larimer)에게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웠다. 그의 아버지는 [[보잉사]](Boeing)와 [[미공군사관학교]](US Air Force Academy)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으며 [[SAIC]](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에서 [[컨설턴트]]로 근무한 베테랑이었다.<ref>Roger Aitken, "[https://www.forbes.com/sites/rogeraitken/2015/10/12/meet-cryptonomexs-dan-larimer-and-his-four-horsemen-of-crypto-economics/#14cecd853fd9 Meet Cryptonomex's Dan Larimer And His 'Four Horsemen' Of Crypto-Economics]", ''Forbes'', 2015-10-12</ref> 아버지 덕분에 기술을 가까이 하며 살아온 댄 라리머는 고등학교 2학년 때 AP(Advanced Placement) 컴퓨터과학에 대한 모든 수업을 배운 후 독학으로 [[컴퓨터]] 관련 지식을 습득하기 시작했다. 이 시절 학급 친구들이 간단한 워드 게임을 만들 때, 댄 라리머는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갖춘 퀴즈 게임을 개발하며 단연 돋보이는 능력을 나타냈다.<ref name="댄 라리머"></ref> 이후 그는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에 진학하여 2003년에 컴퓨터과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 소프트웨어 개발자 ===
 
=== 소프트웨어 개발자 ===
28번째 줄: 29번째 줄:
  
 
=== 사토시 나카모토 ===
 
=== 사토시 나카모토 ===
비트코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댄 라리머는 [[비트코인 포럼]](Bitcoin Forum)에서 주기적으로 [[비트코인]]의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와 이메일로 대화를 주고받았다. 댄은 비트코인의 나카모토 사토시에게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이야기 했다. (그 당시 댄은 그 사람이 나카모토 사토시인줄 몰랐다.)이 당시 댄 라리머는 사토시 나카모토로부터 "만약 당신이 저를 믿지 못하거나 혹은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도, 저는 당신을 설득시키기 위해 노력할 시간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라는 악명 높은 말을 듣게 되었다.<ref>Satoshi Nakamoto, "[https://bitcointalk.org/index.php?topic=532.msg6306#msg6306 ]", '''Bitcoin Forum'', 2010-07-29</ref>
+
비트코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댄 라리머는 [[비트코인 포럼]](Bitcoin Forum)에서 주기적으로 [[비트코인]]의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와 이메일로 대화를 주고받았다. 이 당시 댄 라리머는 사토시 나카모토로부터 "만약 당신이 저를 믿지 못하거나 혹은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도, 저는 당신을 설득시키기 위해 노력할 시간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라는 악명 높은 말을 듣게 되었다.<ref>Satoshi Nakamoto, "[https://bitcointalk.org/index.php?topic=532.msg6306#msg6306 ]", '''Bitcoin Forum'', 2010-07-29</ref>
  
 
{{인용문|
 
{{인용문|
39번째 줄: 40번째 줄:
 
몇 년 동안 비트코인에 대해 연구를 하던 댄 라리머는 2014년 7월 자신의 첫 암호화폐인 [[비트셰어]]를 개발하였다. 이후 아버지인 [[스탠 라리머]]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 컨설팅 회사인 [[크립토노멕스]](Crytonomex)을 창립하였다. 이후 댄 라리머는 [[스팀잇]]의 기술이사(CTO)로 2017년 3월까지 일하면서 [[스팀]](Steem) 암호화폐를 개발하였다. 이후 [[블록원]](Block.one) 회사의 [[브렌든 블루머]](Brendan Blumer) CEO와 [[브록 피어스]](Brock Pierce) CSO의 권유를 받아, 블록원의 기술이사(CTO)를 맡으면서 [[이오스]](EOS)를 개발하게 되었다.<ref name="로아노크 타임스"></ref> 현재 댄 라리머는 안전한 삶, 자유, 모든 지적재산물을 위한 자유 시장 솔루션을 찾는 미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ref name="댄 라리머"></ref>
 
몇 년 동안 비트코인에 대해 연구를 하던 댄 라리머는 2014년 7월 자신의 첫 암호화폐인 [[비트셰어]]를 개발하였다. 이후 아버지인 [[스탠 라리머]]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 컨설팅 회사인 [[크립토노멕스]](Crytonomex)을 창립하였다. 이후 댄 라리머는 [[스팀잇]]의 기술이사(CTO)로 2017년 3월까지 일하면서 [[스팀]](Steem) 암호화폐를 개발하였다. 이후 [[블록원]](Block.one) 회사의 [[브렌든 블루머]](Brendan Blumer) CEO와 [[브록 피어스]](Brock Pierce) CSO의 권유를 받아, 블록원의 기술이사(CTO)를 맡으면서 [[이오스]](EOS)를 개발하게 되었다.<ref name="로아노크 타임스"></ref> 현재 댄 라리머는 안전한 삶, 자유, 모든 지적재산물을 위한 자유 시장 솔루션을 찾는 미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ref name="댄 라리머"></ref>
  
== 주요 활동 ==
+
== 업적 ==
=== 비트셰어 개발 ===
+
=== 비트셰어 ===
 
[[파일:비트셰어 로고.png|썸네일|200픽셀|'''[[비트셰어]]'''(BitShares)]]
 
[[파일:비트셰어 로고.png|썸네일|200픽셀|'''[[비트셰어]]'''(BitShares)]]
  
 
2014년 7월 댄 라리머는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과 함께 기존 [[비트코인]]의 느린 전송 속도, 가격 변동성, 확장성 등의 한계를 개선하고,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채택한 [[비트셰어]]<!--비트쉐어-->(BitShares)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비트셰어는 [[탈중앙화 분산형 암호화폐 거래소]](DEX)를 추구하며, [[커뮤니티]] 환경 속에 운영되고 있다.<ref>비트웹 편집장,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409 비트쉐어]〉, 《비트웹》, 2018-02-25</ref> 이와 함께 댄 라리머는 탈중앙화 거래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술인 [[그래핀]](Graphene)을 개발하였다. 그래핀은 [[오픈 소스]] 프로그램으로 [[C++]]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트셰어와 스팀 블록체인 기술의 밑바탕이 되었다.<ref>loum, 〈[https://steemit.com/kr/@loum/eos-cto-daniel-larimer (번역)EOS 의 CTO인 댄 라이머 (Daniel Larimer)의 백그라운드]〉, 《스팀잇》, 2017</ref> 댄 라리머는 비트셰어를 만들면서 암호화폐 시장과 법정화폐 사이를 연결해 줄 것으로 기대하며, 미국 달러에 고정된 [[스테이블코인]] [[비트USD]](BitUSD)를 만들었다.<ref name="이오스"></ref> 비트셰어에서 댄 라리머는 개발자로서 기술적인 일을 거의 맡았고, 찰스 호스킨슨은 투자, 예산 등 사업 부분을 맡았다. 이 둘은 창업 전에 잘 알고 있던 사이가 아니였으며, 실제로 성격이 극단적으로 달라 결국 [[찰스 호스킨슨]]이 비트셰어를 떠나 [[이더리움]] 프로젝트로 옮겨가게 되었다. 찰스 호스킨슨은 댄 라리머와 동업한 경험을 떠올리면서 사전에 동업자를 충분히 알아보고 성격, 업무 스타일 등을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ref>김병철 기자, 〈[https://www.coindeskkorea.com/%EB%82%B4%EA%B0%80-%EB%B9%84%ED%83%88%EB%A6%AD-%EB%8C%84-%EB%9E%98%EB%A6%AC%EB%A8%B8%EC%99%80-%ED%97%A4%EC%96%B4%EC%A7%84-%EC%9D%B4%EC%9C%A0/ 내가 비탈릭 부테린, 댄 래리머와 헤어진 이유]〉, 《코인데스크코리아》, 2018-10-01</ref> 댄 라리머 또한 비트셰어의 개념 및 요소들이 비트코인과 너무 유사하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블록체인 특성상 이것을 새롭게 설계하지 못하고 인프라를 바꾸지 못하여, 다음 프로젝트인 스팀잇으로 옮겨가게 되었다.<ref name="로아노크 타임스"></ref> 이외에도 댄 라리머는 이 당시에 아버지인 [[스탠 라리머]]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 컨설팅 회사인 [[크립토노멕스]]를 설립하고 대표이사(CEO)를 맡았다.
 
2014년 7월 댄 라리머는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과 함께 기존 [[비트코인]]의 느린 전송 속도, 가격 변동성, 확장성 등의 한계를 개선하고,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채택한 [[비트셰어]]<!--비트쉐어-->(BitShares)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비트셰어는 [[탈중앙화 분산형 암호화폐 거래소]](DEX)를 추구하며, [[커뮤니티]] 환경 속에 운영되고 있다.<ref>비트웹 편집장,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409 비트쉐어]〉, 《비트웹》, 2018-02-25</ref> 이와 함께 댄 라리머는 탈중앙화 거래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술인 [[그래핀]](Graphene)을 개발하였다. 그래핀은 [[오픈 소스]] 프로그램으로 [[C++]]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트셰어와 스팀 블록체인 기술의 밑바탕이 되었다.<ref>loum, 〈[https://steemit.com/kr/@loum/eos-cto-daniel-larimer (번역)EOS 의 CTO인 댄 라이머 (Daniel Larimer)의 백그라운드]〉, 《스팀잇》, 2017</ref> 댄 라리머는 비트셰어를 만들면서 암호화폐 시장과 법정화폐 사이를 연결해 줄 것으로 기대하며, 미국 달러에 고정된 [[스테이블코인]] [[비트USD]](BitUSD)를 만들었다.<ref name="이오스"></ref> 비트셰어에서 댄 라리머는 개발자로서 기술적인 일을 거의 맡았고, 찰스 호스킨슨은 투자, 예산 등 사업 부분을 맡았다. 이 둘은 창업 전에 잘 알고 있던 사이가 아니였으며, 실제로 성격이 극단적으로 달라 결국 [[찰스 호스킨슨]]이 비트셰어를 떠나 [[이더리움]] 프로젝트로 옮겨가게 되었다. 찰스 호스킨슨은 댄 라리머와 동업한 경험을 떠올리면서 사전에 동업자를 충분히 알아보고 성격, 업무 스타일 등을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ref>김병철 기자, 〈[https://www.coindeskkorea.com/%EB%82%B4%EA%B0%80-%EB%B9%84%ED%83%88%EB%A6%AD-%EB%8C%84-%EB%9E%98%EB%A6%AC%EB%A8%B8%EC%99%80-%ED%97%A4%EC%96%B4%EC%A7%84-%EC%9D%B4%EC%9C%A0/ 내가 비탈릭 부테린, 댄 래리머와 헤어진 이유]〉, 《코인데스크코리아》, 2018-10-01</ref> 댄 라리머 또한 비트셰어의 개념 및 요소들이 비트코인과 너무 유사하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블록체인 특성상 이것을 새롭게 설계하지 못하고 인프라를 바꾸지 못하여, 다음 프로젝트인 스팀잇으로 옮겨가게 되었다.<ref name="로아노크 타임스"></ref> 이외에도 댄 라리머는 이 당시에 아버지인 [[스탠 라리머]]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 컨설팅 회사인 [[크립토노멕스]]를 설립하고 대표이사(CEO)를 맡았다.
  
=== 스팀 개발 ===
+
=== 스팀 ===
 
[[파일:스팀 로고.png|썸네일|200픽셀|'''[[스팀]]'''(Steem)]]
 
[[파일:스팀 로고.png|썸네일|200픽셀|'''[[스팀]]'''(Steem)]]
  
 
2015년 중순 무렵 [[네드 스캇]](Ned Scott)과의 전화 통화를 계기로 스팀 개발에 참여하였다. 온라인 채팅으로 대화하던 두 사람은 전화 통화를 하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로 하였다. 비트셰어 프로젝트에서 댄 라리머의 작업을 보며 토끼 구멍(Rabbit Hole)에서 빠져나온 기분이 들었다던 네드 스캇이 먼저 댄 라리머를 찾았고, 두 사람은 2016년 3월 스팀잇(Steemit) 메인 [[홈페이지]]를 만들었고, 4월 알파 테스트를 걸쳐, 7월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기존 [[SNS]] 플랫폼에서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 올리는 기여자는 보상을 못 받고 해당 플랫폼 사업자만 돈을 번다는 생각을 한 두 사람은 이런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미디어 플랫폼인 [[스팀잇]] 사이트를 만든 것이다.<ref>HighLvRiver, 〈[https://github.com/HighLvRiver/HighLvRiver.github.io/blob/master/_posts/2018-03-12-Steemit-basic1.md 스팀잇, 흥미로운 토큰 기반 가상 경제 시스템]〉, 《github.io》, 2018-03-12</ref>  네드 스캇이 스팀잇의 최고경영자(CEO)를 맡았고, 댄 라리머는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았다. 하지만 댄 라리머는 [[이더리움]]처럼 튜링완전(Turing-complete)한 플랫폼을 만들고 싶어하면서 네드 스캇과 의견이 갈렸다.<ref name="스팀잇"></ref> 결국 2017년 댄 라리머가 최고기술책임자 자리에서 물러나 [[이오스]](EOS)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드는 [[블록원]](Block.one)으로 옮겨가면서, 서로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2015년 중순 무렵 [[네드 스캇]](Ned Scott)과의 전화 통화를 계기로 스팀 개발에 참여하였다. 온라인 채팅으로 대화하던 두 사람은 전화 통화를 하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로 하였다. 비트셰어 프로젝트에서 댄 라리머의 작업을 보며 토끼 구멍(Rabbit Hole)에서 빠져나온 기분이 들었다던 네드 스캇이 먼저 댄 라리머를 찾았고, 두 사람은 2016년 3월 스팀잇(Steemit) 메인 [[홈페이지]]를 만들었고, 4월 알파 테스트를 걸쳐, 7월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기존 [[SNS]] 플랫폼에서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 올리는 기여자는 보상을 못 받고 해당 플랫폼 사업자만 돈을 번다는 생각을 한 두 사람은 이런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미디어 플랫폼인 [[스팀잇]] 사이트를 만든 것이다.<ref>HighLvRiver, 〈[https://github.com/HighLvRiver/HighLvRiver.github.io/blob/master/_posts/2018-03-12-Steemit-basic1.md 스팀잇, 흥미로운 토큰 기반 가상 경제 시스템]〉, 《github.io》, 2018-03-12</ref>  네드 스캇이 스팀잇의 최고경영자(CEO)를 맡았고, 댄 라리머는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았다. 하지만 댄 라리머는 [[이더리움]]처럼 튜링완전(Turing-complete)한 플랫폼을 만들고 싶어하면서 네드 스캇과 의견이 갈렸다.<ref name="스팀잇"></ref> 결국 2017년 댄 라리머가 최고기술책임자 자리에서 물러나 [[이오스]](EOS)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드는 [[블록원]](Block.one)으로 옮겨가면서, 서로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 이오스 개발 ===
+
=== 이오스 ===
 
[[파일:이오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이오스]]'''(EOS)]]
 
[[파일:이오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이오스]]'''(EOS)]]
  
2017년 댄 라리머는 [[브렌든 블루머]](Brendan Blumer)와 [[브록 피어스]](Brock Pierce)와 함께 [[블록원]](Block.one) 회사를 공동 설립했다. 블록원에서 댄 라리머는 [[이오스]]를 개발하였다.<ref>ALEX MOSKOV, "[https://coincentral.com/dan-larimer-guide/ Who is Dan Larimer? A Quick Biography on the Visionary Blockchain Architect]", ''COINCENTRAL'', 2018-08-28</ref> 2018년 6월 이더리움에서 벗어나 자체 [[메인넷]]을 형성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98%A4%EC%8A%A4 이오스]〉, 《위키백과》</ref> 이오스는 [[디앱]](DApp)을 구동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운영체제를 만들어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상업적인 수준에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채택한 이오스는 빠른 [[트랜잭션]] 처리와 더불어, 사용자가 아닌 개발자가 수수료를 지불하도록 하였다. 댄 라리머는 이오스 개발 당시 스팀을 넘어서는 무언가를 만들고 싶어 했다. 그 결과 그는 최초로 [[닥]](DAC; decentralized autonomous company), 즉 [[탈중앙화 자율기업]]을 고안했다.<ref name="스팀잇"></ref> 댄 라리머가 이더리움의 문제들을 해결하며 개발한 이오스는 2018년 중국 공업정보화부 산하 'CCID 블록체인 연구원'이 발표한 "제2기 CCID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지수"에서 1651.5점을 받아 기술 부문 1위로 선정되었다.<ref>유효정 중국 전문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621073818&type=det&re 중국 "블록체인 기술 1위는 EOS"]〉, 《지디넷》, 2018-06-21</ref> 이오스는 대표자로 선출된 21개의 노드 중에서 [[블록 생성자]](BP)를 선정하기 때문에, [[탈중앙화]]라는 이념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댄 라리머는 2018년 10월 "이오스는 탈중앙화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지 않고 있다"고 밝혀 중앙화 논쟁과는 선을 그었다.
+
2017년 댄 라리머는 [[브렌든 블루머]](Brendan Blumer)와 [[브록 피어스]](Brock Pierce)와 함께 [[블록원]](Block.one) 회사를 공동 설립했다. 블록원에서 댄 라리머는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으로 [[이오스]]를 개발하였다.<ref>ALEX MOSKOV, "[https://coincentral.com/dan-larimer-guide/ Who is Dan Larimer? A Quick Biography on the Visionary Blockchain Architect]", ''COINCENTRAL'', 2018-08-28</ref> 처음 개발 당시 이오스는 이더리움 기반의 [[디앱]]으로 출발했다. 하지만 이더리움의 느린 처리 속도와 높은 수수료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2018년 6월 이더리움에서 벗어나 자체 [[메인넷]]을 형성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98%A4%EC%8A%A4 이오스]〉, 《위키백과》</ref> 이오스는 [[디앱]](DApp)을 구동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운영체제를 만들어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상업적인 수준에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채택한 이오스는 빠른 [[트랜잭션]] 처리와 더불어, 사용자가 아닌 개발자가 수수료를 지불하도록 하였다. 댄 라리머는 이오스 개발 당시 스팀을 넘어서는 무언가를 만들고 싶어 했다. 그 결과 그는 최초로 [[닥]](DAC; decentralized autonomous company), 즉 [[탈중앙화 자율기업]]을 고안했다.<ref name="스팀잇"></ref> 댄 라리머가 이더리움의 문제들을 해결하며 개발한 이오스는 2018년 중국 공업정보화부 산하 'CCID 블록체인 연구원'이 발표한 "제2기 CCID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지수"에서 1651.5점을 받아 기술 부문 1위로 선정되었다.<ref>유효정 중국 전문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621073818&type=det&re 중국 "블록체인 기술 1위는 EOS"]〉, 《지디넷》, 2018-06-21</ref> 이오스는 대표자로 선출된 21개의 노드 중에서 [[블록 생성자]](BP)를 선정하기 때문에, [[탈중앙화]]라는 이념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댄 라리머는 2018년 10월 "이오스는 탈중앙화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지 않고 있다"고 밝혀 중앙화 논쟁과는 선을 그었다.
 
 
{{자세히|이오스}}
 
  
== 향후 계획 ==
+
== 새로운 프로젝트 ==
  
 
2018년 12월 댄 라리머는 새로운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일각에선 [[이오스]](EOS)를 그만두려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있었지만, 그는 이오스와는 무관한 행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오스(EOS.IO)의 보안과 확장성에 대한 상충관계에 대해 고민하다가, '''[[모네로스]]'''(Monereos)라는 아이디어가 문득 떠올랐다며, 이 암호화폐는 재프로그래밍이 불가능하고, 변경 불가능하며 통화 역할로만 제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암호화폐의 이름이 모네로스(MonerEOS)라는 점을 근거로, 프라이버시에 초점이 맞춰진 모네로(Monero)와 기존의 이오스(EOS)를 합친 것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ref>함바, 〈[https://blog.naver.com/ktxguy/221411186910 EOS 개발자 댄 라리머, 새 암호화폐 프로젝트 띄우나]〉, 《네이버 블로그》, 2018-12-03</ref>
 
2018년 12월 댄 라리머는 새로운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일각에선 [[이오스]](EOS)를 그만두려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있었지만, 그는 이오스와는 무관한 행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오스(EOS.IO)의 보안과 확장성에 대한 상충관계에 대해 고민하다가, '''[[모네로스]]'''(Monereos)라는 아이디어가 문득 떠올랐다며, 이 암호화폐는 재프로그래밍이 불가능하고, 변경 불가능하며 통화 역할로만 제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암호화폐의 이름이 모네로스(MonerEOS)라는 점을 근거로, 프라이버시에 초점이 맞춰진 모네로(Monero)와 기존의 이오스(EOS)를 합친 것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ref>함바, 〈[https://blog.naver.com/ktxguy/221411186910 EOS 개발자 댄 라리머, 새 암호화폐 프로젝트 띄우나]〉, 《네이버 블로그》, 2018-12-03</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