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라인㈜}}
 
{{다른뜻|라인㈜}}
[[파일:라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라인'''(LINE)]]
 
[[파일:라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라인'''(LINE)]]
 
[[파일:네이버㈜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네이버㈜]]'''(Naver)]]
 
[[파일:신중호.jpg|썸네일|200픽셀|'''[[신중호]]''' [[라인㈜]](LINE) 공동대표]]
 
  
'''라인'''(LINE)은 한국 '''[[네이버㈜]]'''(Naver)의 일본 자회사인 '''[[라인㈜]]'''(LINE)가 개발한 [[메신저]] 서비스이다. 2011년 6월 23일 출시했다. 네이버의 '''[[이해진]]''' 이사회 의장이 주도하고, [[첫눈]] 출신의 '''[[신중호]]''' 라인㈜ 공동대표가 개발했다.
+
[[파일:라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라인'''(LINE) 로고]]
 +
[[파일:라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라인'''(LINE) 로고와 글자]]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9 배너|라인이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9 행사에 참가합니다.}}
+
'''라인'''(LINE)은 한국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인 [[라인㈜]]가 개발한 [[메신저]] 서비스이다. 2011년 네이버의 [[이해진]] 의장이 주도하고, 첫눈 출신의 [[신중호]] 라인플러스 대표가 개발했다. 2015년 일본에서 라인 택시(LINE Taxi) 서비스를 출시했다. 2015년 매출이 1,200억엔(=약 1조 3천억원)을 돌파했다. 2016년 인도네시아의 오토바이 공유 서비스인 [[고젝]](GO-JEK)과 제휴했다. 2016년 7월 일본 도쿄증권거래소(TSE)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동시 상장했다. {{자세히|라인㈜}}
  
 
== 역사 ==
 
== 역사 ==
* 2011년 06월 : [[NHN 재팬]](현 라인㈜)이 스마트폰, 피처폰, 태블릿, PC 등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메신저]]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출시 이후 사용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
* 2011년 06월 [[NHN 재팬]](현 라인㈜)이 스마트폰, 피처폰, 태블릿, PC 등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메신저]]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출시 이후 사용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 2013년 01월 : 세계적으로 1억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
+
* 2013년 01월 세계적으로 1억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 2014년 10월 : 사용자 5억 6천만 명을 돌파
+
* 2014년 10월 사용자가 5억 6천만 명을 돌파했다.
* 2015년 02월 : 사용자 6억 명을 돌파
+
* 2015년 02월 사용자가 6억 명을 돌파했다.
  
 
== 특징 ==
 
== 특징 ==
30번째 줄: 27번째 줄:
 
* [[텔레그램]]
 
* [[텔레그램]]
  
{{메신저|토막글}}
+
{{인터넷|토막글}}
{{모바일}}
+
{{블록체인 미디어}}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