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10번째 줄: 110번째 줄:
 
== 기술 종류 ==
 
== 기술 종류 ==
 
=== CSMA/CD ===
 
=== CSMA/CD ===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은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탐지라고 부르며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에서 성능개선을 위해 기존의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방식(CSMA)을 일정부분 수정한 방식이다. 반송파를 감지하는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송신자 'A'는 수신자 'B'가 이미 다른 송신자 'C'와 통신을 중임을 감지하면 즉시 통신을 중단하고 정체신호(Jam Signal)을 보낸다. 그리고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하면서 재전송할 준비를 한다. 정체 신호가 발생하면 송신자 'A' 뿐만 아니라, 수신자 'B'로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에게 전달된다. 이로써 불편한 전송을 사전에 차단시켜 트래픽을 줄인다. 하지만 통신량이 많을 때 충돌회수가 증가하면서 이용률이 떨어지고 지연시간의 예측이 불가능하다. IEEE 802.3 표준으로 정의된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며, OSI 7 레이어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매체전급제어(MAC)에서 동작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86%A1%ED%8C%8C_%EA%B0%90%EC%A7%80_%EB%8B%A4%EC%A4%91_%EC%A0%91%EC%86%8D_%EB%B0%8F_%EC%B6%A9%EB%8F%8C_%ED%83%90%EC%A7%80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 《위키백과》</ref>
+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은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탐지라고 부르며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에서 성능개선을 위해 기존의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방식(CSMA)을 일정부분 수정한 방식이다. 반송파를 감지하는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송신자 'A'는 수신자 'B'가 이미 다른 송신자 'C'와 통신을 중임을 감지하면 즉시 통신을 중단하고 정체신호(Jam Signal)을 보낸다. 그리고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하면서 재전송할 준비를 한다. 정체 신호가 발생하면 송신자 'A' 뿐만 아니라, 수신자 'B'로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에게 전달된다. 이로써 불편한 전송을 사전에 차단시켜 트래픽을 줄인다. 하지만 통신량이 많을 때 충돌회수가 증가하면서 이용률이 떨어지고 지연시간의 예측이 불가능하다. IEEE 802.3 표준으로 정의된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며, OSI 7 레이어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매체전급제어(MAC)에서 동작한다.
 
 
 
=== 토큰링 ===
 
=== 토큰링 ===
 
토큰링(Token ring) 근거리통신망(LAN) 기술은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쓰이는 근거리 통신망 프로토콜이다. 1980년대 초반 IBM에 의해 개발되었고 IEEE 802.5로 표준화되었다. 당시에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나 1990년대 초반 이더넷이 개발되면서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IBM은 토큰리이 이더넷보다 빠르고 안정적이라는 주장을 펼쳤지만 성공적이지 못했다. 초기의 토큰링은 전송속도가 4Mbps였지만 1989년에 16Mbps의 토큰링 제품을 생산하며, IEEE 802.5 기준도 이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토큰링은 처음엔 이더넷보다 이론적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기술로 각광받았으나, 후에 스위치 이더넷이 개발되면서 급격하게 쇠퇴하고 말았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6%A0%ED%81%B0%EB%A7%81 토큰링]〉, 《위키백과》</ref>
 
토큰링(Token ring) 근거리통신망(LAN) 기술은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쓰이는 근거리 통신망 프로토콜이다. 1980년대 초반 IBM에 의해 개발되었고 IEEE 802.5로 표준화되었다. 당시에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나 1990년대 초반 이더넷이 개발되면서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IBM은 토큰리이 이더넷보다 빠르고 안정적이라는 주장을 펼쳤지만 성공적이지 못했다. 초기의 토큰링은 전송속도가 4Mbps였지만 1989년에 16Mbps의 토큰링 제품을 생산하며, IEEE 802.5 기준도 이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토큰링은 처음엔 이더넷보다 이론적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기술로 각광받았으나, 후에 스위치 이더넷이 개발되면서 급격하게 쇠퇴하고 말았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6%A0%ED%81%B0%EB%A7%81 토큰링]〉, 《위키백과》</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