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크리에이션 전기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레크리에이션 전기차'''(REV, Recreation Electric Vehicle)은 [[스포츠]], [[등산]], [[캠핑]], [[낚시]], [[야외활동]] 등 주로 외부 활동을 위해 사용하는 [[차량]]인 [[레크리에이션 차량]](RV, Recreational Vehicle)으로, 내연기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이다.
+
'''레크리에이션 전기차'''(REV, Recreation Electric Vehicle)은 [[스포츠]], [[등산]], [[캠핑]], [[낚시]], 야외활동 등 주로 외부 활동을 위해 사용하는 차량인 [[레크리에이션 차량]](RV, Recreational Vehicle)으로 내연기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전기차]]이다.
{{:자동차 배너}}
 
  
 
==개요==
 
==개요==
12번째 줄: 11번째 줄:
 
[[파일:아이오닉5.png|썸네일|300픽셀|'''아이오닉5'''(Ioniq 5)]]
 
[[파일:아이오닉5.png|썸네일|300픽셀|'''아이오닉5'''(Ioniq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서브 브랜드인 [[아이오닉]]에서 2021년에 출시한 준중형 전기 [[CUV]]로 RV 전기차에 속한다. 실내공간이 넓고 탑승했을 때도 편안하며 짐을 더 많이 실을 수 있는 것이 레저활동에 적합한 차량이라 할 수 있다. 실내공간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는 [[휠베이스]]이다. 앞 차축과 뒤 차축 사이의 거리로 대부분 차들은 이 사이에 실내공간이 구성되어 있어 휠베이스를 실내공간의 척도로 활용하는 편이다. SUV의 경우 [[트렁크]]와 실내공간의 구분이 거의 없어 트렁크 공간까지 실내공간으로 포함하는 편이다. 아이오닉 5는 휠베이스가 3,000mm로 [[팰리세이드]]보다 더 길다. 전고와 전폭의 영향이 있어 팰리세이드만큼 넓은 것은 아니지만 휠베이스가 길다는 것은 실내 길이 역시 길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스키 같은 기다란 장비를 실을 때와 키가 큰 사람도 실내에서 다리를 쭉 뻗을 수 있어 [[차박]]에 유리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트렁크의 용량이 확보되어 아이오닉 5는 기본 531리터, 2열을 접을 시 최대 1,591리터까지 활용이 가능하다. 그다음으로 중요한 사항인 배터리 효율은 롱 레인지 기준 1회 충전 429km까지 달릴 수 있으며 일반 충전기 기준 50분가량 소요되며, 800V 초고속 충전기 사용 시 18분 만에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외부 레저활동에서 가장 돋보이도록 하는 아이오닉 5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V2L]] 기능으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의 전력을 외부로 끌어다 사용할 수 있다. 즉, 전기를 끌어다 사용할 수 있어 캠핑에서의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최고출력은 3.5KW로 일반 가정에서 쓰는 출력 한도인 2~4kW와 비슷하여 노트북, 전기포트, 전기밥솥, 전기 그릴, 전자레인지 등 일반 가정용 전자기기를 차에 꽂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단, 차가 달릴 수 있는 전력을 남겨놓기 위하여 배터리 최대 용량의 70% 정도만 쓸 수 있도록 설정이 되었는데, 그렇다 해도 주행거리가 긴 롱레인지 모델의 경우 소비전력이 40W인 노트북을 127시간 쓸 수 있는 양이고, 소비전력이 높은 2000W 전기 히터를 25시간 이용할 수 있는 전기량이다.<ref> 류정 기자,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1/03/05/G4BCCLIAERFC7DMRI7QEY3YCDI/ 아이오닉5 돌풍의 주역 ‘V2L’이 뭐길래… 가전제품 다 꽂아 쓴다, 바퀴 달린 내집]〉, 《조선일보》, 2021-03-05 </ref> 또 다른 특징으로 [[솔라루프]]가 있어서 루프에 장착한 태양광 발전 패널로 보조적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시스템이 있다. 이는 한국 평균 조사량 기준으로 연간 1,500Km를 더 주행할 수 이으며, 하루에는 약 4km 정도 주행을 할 수 있는 수치로 어느 정도 부족한 전력을 채울 수 있다.<ref> 〈[https://namu.wiki/w/%ED%98%84%EB%8C%80%20%EC%95%84%EC%9D%B4%EC%98%A4%EB%8B%89%205 아이오닉 5]〉, 《나무위키》 </ref> 또한, 여름철 야외에 세워 놓는다면 실내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약간이지만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옵션 값이 어느 정도 나가지만 외부 활동 이 잦다면 어느 정도 만족감은 줄 수 있다.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서브 브랜드인 [[아이오닉]]에서 2021년에 출시한 준중형 전기 [[CUV]]로 RV 전기차에 속한다. 실내공간이 넓고 탑승했을 때도 편안하며 짐을 더 많이 실을 수 있는 것이 레저활동에 적합한 차량이라 할 수 있다. 실내공간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는 [[휠베이스]]이다. 앞 차축과 뒤 차축 사이의 거리로 대부분 차들은 이 사이에 실내공간이 구성되어 있어 휠베이스를 실내공간의 척도로 활용하는 편이다. SUV의 경우 [[트렁크]]와 실내공간의 구분이 거의 없어 트렁크 공간까지 실내공간으로 포함하는 편이다. 아이오닉 5는 휠베이스가 3,000mm로 [[팰리세이드]]보다 더 길다. 전고와 전폭의 영향이 있어 팰리세이드만큼 넓은 것은 아니지만 휠베이스가 길다는 것은 실내 길이 역시 길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스키 같은 기다란 장비를 실을 때와 키가 큰 사람도 실내에서 다리를 쭉 뻗을 수 있어 [[차박]]에 유리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트렁크의 용량이 확보되어 아이오닉 5는 기본 531리터, 2열을 접을 시 최대 1,591리터까지 활용이 가능하다. 그다음으로 중요한 사항인 배터리 효율은 롱 레인지 기준 1회 충전 429km까지 달릴 수 있으며 일반 충전기 기준 50분가량 소요되며, 800V 초고속 충전기 사용 시 18분 만에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외부 레저활동에서 가장 돋보이도록 하는 아이오닉 5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V2L]] 기능으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의 전력을 외부로 끌어다 사용할 수 있다. 즉, 전기를 끌어다 사용할 수 있어 캠핑에서의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최고출력은 3.5KW로 일반 가정에서 쓰는 출력 한도인 2~4kW와 비슷하여 노트북, 전기포트, 전기밥솥, 전기 그릴, 전자레인지 등 일반 가정용 전자기기를 차에 꽂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단, 차가 달릴 수 있는 전력을 남겨놓기 위하여 배터리 최대 용량의 70% 정도만 쓸 수 있도록 설정이 되었는데, 그렇다 해도 주행거리가 긴 롱레인지 모델의 경우 소비전력이 40W인 노트북을 127시간 쓸 수 있는 양이고, 소비전력이 높은 2000W 전기 히터를 25시간 이용할 수 있는 전기량이다.<ref> 류정 기자,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1/03/05/G4BCCLIAERFC7DMRI7QEY3YCDI/ 아이오닉5 돌풍의 주역 ‘V2L’이 뭐길래… 가전제품 다 꽂아 쓴다, 바퀴 달린 내집]〉, 《조선일보》, 2021-03-05 </ref> 또 다른 특징으로 [[솔라루프]]가 있어서 루프에 장착한 태양광 발전 패널로 보조적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시스템이 있다. 이는 한국 평균 조사량 기준으로 연간 1,500Km를 더 주행할 수 이으며, 하루에는 약 4km 정도 주행을 할 수 있는 수치로 어느 정도 부족한 전력을 채울 수 있다.<ref> 〈[https://namu.wiki/w/%ED%98%84%EB%8C%80%20%EC%95%84%EC%9D%B4%EC%98%A4%EB%8B%89%205 아이오닉 5]〉, 《나무위키》 </ref> 또한, 여름철 야외에 세워 놓는다면 실내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약간이지만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옵션 값이 어느 정도 나가지만 외부 활동 이 잦다면 어느 정도 만족감은 줄 수 있다.  
 
 
===기아 EV6===
 
===기아 EV6===
 
[[파일:CV.jpg|썸네일|300픽셀|'''EV6''']]
 
[[파일:CV.jpg|썸네일|300픽셀|'''EV6''']]
20번째 줄: 18번째 줄:
 
[[파일:이베코 전기 모터홈.jpg|썸네일|300픽셀|'''Dethleffs e.home Solar Motorhome''']]
 
[[파일:이베코 전기 모터홈.jpg|썸네일|300픽셀|'''Dethleffs e.home Solar Motorhome''']]
 
세계 최고의 RV의 무역박람회에선 현대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전기 자동차가 이미 빠르게 자리 잡고 있었다. 2021년 3월 기준으로 [[Dethleffs e.home Solar Motorhome]]은 아직 개발 단계에 있지만 조만간 실용화될 가능성이 있는 차량으로 전기차 베이스인 RV 차량이다. 전체적인 구조와 레이아웃 디자인 요소들 모두 기존 모터홈과 거의 동일한 형태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외부를 덮고 있는 3kW 쏠라 패널을 자체 발전,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것이 최대 장점이다. 전면, 후면, 측면부 모두가 박막형 쏠라패널로 덮여있어서 80kW 모터와 최대 280km 주행이 가능한 [[이베코]] 데일리 전기차 [[섀시]] 위에 228Ah의 염화 니켈 전기 배터리 팩이 결합되어 있어 실제 이동 거리는 170km 내외가 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변화하고 있는 RV 시장에서 전기 [[캠핑카]] 혹은 지속 가능한 자체 발전 개념에서 바라본다면 이 컨셉 모델은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체적인 발전 용량을 주행 충전기와 외부 충전 시스템과 결합하여 일반 전기차 생활공간에 별도의 발전기와 전기 공급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모든 시설들을 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갖추어주기 때문이다. 가스, 전기 시스템 변화로 기존 모터홈보다 넓고 쾌적한 생활공간을 구현하여 효율적인 전기 시스템을 구축하여 채광, 환기, 난방, 냉장고, 조리, 조명, 스마트폰 충전 등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술들이 적용되었다. 추가로 스마트폰 [[앱]], 전자제어 기술이 접목되어 원격으로 모터홈의 기능을 제어하고 전기차 기반의 기술력도 향상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어 안전, 야간 운전, 충전 등에 있어 기존 내연기관 베이스 모델과는 차별화를 주고 있다. 다른 제작사 들도 카테고리별로 전기 RV 라인업을 늘려가고 시장에 트렌드에 대응하고 있어 Class C뿐만 아니라 Class B, 데일리카에서도 전기차 기반 RV가 등장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ref> magazine 더 카라반,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840860&memberNo=11510683 해외 RV, 전기로 구동되는 캠핑카 가시화!]〉, 《네이버 포스트》, 2021-03-02 </ref>
 
세계 최고의 RV의 무역박람회에선 현대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전기 자동차가 이미 빠르게 자리 잡고 있었다. 2021년 3월 기준으로 [[Dethleffs e.home Solar Motorhome]]은 아직 개발 단계에 있지만 조만간 실용화될 가능성이 있는 차량으로 전기차 베이스인 RV 차량이다. 전체적인 구조와 레이아웃 디자인 요소들 모두 기존 모터홈과 거의 동일한 형태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외부를 덮고 있는 3kW 쏠라 패널을 자체 발전,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것이 최대 장점이다. 전면, 후면, 측면부 모두가 박막형 쏠라패널로 덮여있어서 80kW 모터와 최대 280km 주행이 가능한 [[이베코]] 데일리 전기차 [[섀시]] 위에 228Ah의 염화 니켈 전기 배터리 팩이 결합되어 있어 실제 이동 거리는 170km 내외가 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변화하고 있는 RV 시장에서 전기 [[캠핑카]] 혹은 지속 가능한 자체 발전 개념에서 바라본다면 이 컨셉 모델은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체적인 발전 용량을 주행 충전기와 외부 충전 시스템과 결합하여 일반 전기차 생활공간에 별도의 발전기와 전기 공급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모든 시설들을 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갖추어주기 때문이다. 가스, 전기 시스템 변화로 기존 모터홈보다 넓고 쾌적한 생활공간을 구현하여 효율적인 전기 시스템을 구축하여 채광, 환기, 난방, 냉장고, 조리, 조명, 스마트폰 충전 등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술들이 적용되었다. 추가로 스마트폰 [[앱]], 전자제어 기술이 접목되어 원격으로 모터홈의 기능을 제어하고 전기차 기반의 기술력도 향상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어 안전, 야간 운전, 충전 등에 있어 기존 내연기관 베이스 모델과는 차별화를 주고 있다. 다른 제작사 들도 카테고리별로 전기 RV 라인업을 늘려가고 시장에 트렌드에 대응하고 있어 Class C뿐만 아니라 Class B, 데일리카에서도 전기차 기반 RV가 등장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ref> magazine 더 카라반,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840860&memberNo=11510683 해외 RV, 전기로 구동되는 캠핑카 가시화!]〉, 《네이버 포스트》, 2021-03-02 </ref>
 +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