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즈타운모터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9번째 줄: 29번째 줄:
 
===대표 사임===
 
===대표 사임===
 
2021년 6월 14일, 로즈타운모터스의 대표가 사임했다. 로즈타운모터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방문해 격려를 할 정도로 미국 [[전기픽업트럭]]의 신흥 세력으로 화제를 모았던 바 있다. 로즈타운모터스는 미국 일부 투자가들 사이에서 상반된 평가를 받았다. 한편에서는 새로운 전기 스타트업 브랜드로 화제를 모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빈수레가 요란하다며 저평가되기도 했었다. 스티브 번스 전 대표는 대관업무에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 있었고, 동반 사임한 최고 재무 책임자 줄리오 로드리게즈(Julio Rodriguez)는 주주들과 소비자들에게 생산 및 상업화 목표를 그대로 전달하는 등 운영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했었다. 하지만 두 리더의 사임은 로즈타운의 전기픽업트럭이 과연 제대로 생산기일을 맞출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낳았다. 로즈타운 이사회는 즉시 신규 임원진을 구성하고 주주들에게 안심하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지만 새로운 리더십에 대한 확신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다.<ref>김경수 기자, 〈[https://www.motorple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22 로즈타운 모터스 CEO 사임, 전기 픽업트럭 생산 차질]〉, 《포토플렉스》, 2021-06-15</ref> 스티브 번스 대표와 줄리오 로드리게스 재무책임자는 로즈타운모터스의 상황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사임한 것으로 보인다. 로즈타운은 새로운 대표가 선임될 때까지 안젤라 스트랜드 전무이사가 대표 역할을 대신하며 여러 업체에서 임시 재무책임자를 역임했던 베키 루프가 당분간 재무책임자 역할을 맡는다. 또 회사의 운영 구조조정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문회사 알릭스 파트너스를 고용했다. 스트랜드 대표이사 대행은 “우리는 생산 및 상업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상황은 여의치 않다.<ref>박상우 기자,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074 위기에 봉착한 美 로즈타운모터스, 창립자 스티브 번스 CEO 전격 사임]〉, 《엠오토데일리》, 2021-06-15</ref> 한편, 대표를 잃은 로즈타운은 9월 말 자신들의 첫 전기픽업을 선보이겠다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이미 공개 상장된 이 회사의 가치는 상당 부분 추락할 것으로 보이지만 9월에 그들이 어떤 내용의 픽업트럭을 공개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ref>김대일 기자,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9876 로즈타운 모터스 CEO 사임..전기 픽업트럭 생산 차질(?)]〉, 《데일리카》, 2021-06-15</ref>
 
2021년 6월 14일, 로즈타운모터스의 대표가 사임했다. 로즈타운모터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방문해 격려를 할 정도로 미국 [[전기픽업트럭]]의 신흥 세력으로 화제를 모았던 바 있다. 로즈타운모터스는 미국 일부 투자가들 사이에서 상반된 평가를 받았다. 한편에서는 새로운 전기 스타트업 브랜드로 화제를 모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빈수레가 요란하다며 저평가되기도 했었다. 스티브 번스 전 대표는 대관업무에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 있었고, 동반 사임한 최고 재무 책임자 줄리오 로드리게즈(Julio Rodriguez)는 주주들과 소비자들에게 생산 및 상업화 목표를 그대로 전달하는 등 운영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했었다. 하지만 두 리더의 사임은 로즈타운의 전기픽업트럭이 과연 제대로 생산기일을 맞출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낳았다. 로즈타운 이사회는 즉시 신규 임원진을 구성하고 주주들에게 안심하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지만 새로운 리더십에 대한 확신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다.<ref>김경수 기자, 〈[https://www.motorple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22 로즈타운 모터스 CEO 사임, 전기 픽업트럭 생산 차질]〉, 《포토플렉스》, 2021-06-15</ref> 스티브 번스 대표와 줄리오 로드리게스 재무책임자는 로즈타운모터스의 상황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사임한 것으로 보인다. 로즈타운은 새로운 대표가 선임될 때까지 안젤라 스트랜드 전무이사가 대표 역할을 대신하며 여러 업체에서 임시 재무책임자를 역임했던 베키 루프가 당분간 재무책임자 역할을 맡는다. 또 회사의 운영 구조조정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문회사 알릭스 파트너스를 고용했다. 스트랜드 대표이사 대행은 “우리는 생산 및 상업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상황은 여의치 않다.<ref>박상우 기자,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074 위기에 봉착한 美 로즈타운모터스, 창립자 스티브 번스 CEO 전격 사임]〉, 《엠오토데일리》, 2021-06-15</ref> 한편, 대표를 잃은 로즈타운은 9월 말 자신들의 첫 전기픽업을 선보이겠다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이미 공개 상장된 이 회사의 가치는 상당 부분 추락할 것으로 보이지만 9월에 그들이 어떤 내용의 픽업트럭을 공개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ref>김대일 기자,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9876 로즈타운 모터스 CEO 사임..전기 픽업트럭 생산 차질(?)]〉, 《데일리카》, 2021-06-15</ref>
 +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