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카르디안 계약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이안 그리그.jpg|썸네일|200픽셀|'''[[이안 그리그]]'''(Ian Grigg)]]
+
[[파일:리카르디안 계약.PNG|썸네일|400픽셀|'''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 작동방식]]
[[파일:리카르디안 계약.PNG|썸네일|350픽셀|'''리카르디안 계약 작동방식''']]
 
  
'''리카르디안 계약'''<!--리카르디안, 리카르디안계약-->(ricardian contract)<!--RicardianContract-->은 둘 이상의 당사자들이 서로 행동하기 위한 조건과 내용을 정의한 디지털 문서이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쓰이며, 그다음에 암호로 서명하고 승인한 것을 말한다. 인간과 프로그램 모두가 쉽게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여러 가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당사자들이 명확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움이 되어야 한다.<ref name="순">SUM PARK, 〈[http://a.to/19NvB9R 리카르디안 컨트랙트 (Ricardian Contract) 를 소개합니다.]〉, 《미디엄》, 2018-05-27 </ref> '''리카르디안 컨트랙트'''<!--리카르디안컨트랙트-->라고도 불린다. 리카르디안 계약이라는 개념은 금융 암호 전문가인 '''[[이안 그리그]]'''(Ian Grigg)가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위해 공부하던 중, 둘 이상의 당사자들이 서로 행동하기 위한 조건과 내용을 정의하면서 개발했다.
+
'''리카르디안 계약'''<!--리카르디안, 리카르디안계약-->(ricardian contract)<!--RicardianContract-->은 둘 이상의 당사자들이 서로 행동하기 위한 조건과 내용을 정의한 디지털 문서이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쓰이며, 그다음에 암호로 서명하고 승인한 것을 말한다. 인간과 프로그램 모두가 쉽게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여러 가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당사자들이 명확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움이 되어야 한다.<ref name="순">SUM PARK, 〈[http://a.to/19NvB9R 리카르디안 컨트랙트 (Ricardian Contract) 를 소개합니다.]〉, 《미디엄》, 2018-05-27 </ref> '''리카르디안 컨트랙트'''<!--리카르디안컨트랙트-->라고도 불린다.
  
 
== 개요 ==
 
== 개요 ==
92번째 줄: 91번째 줄:
 
특정 구성원을 대리하여 거래 생성 및 서명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를 생산하는 모든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대리한 구성원에게 이 헌법의 전체 리카르디안 계약 조건과 다른 참조 계약들을 제출해야 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전체 리카르디안 계약 조건을 사용자에게 공개하지 않아 발생하는 손실에 대한 책임을 진다.<ref>eosys, 〈[https://steemit.com/kr/@eosys/eos-constitution EOS Constitution — 이오스 헌법 원문]〉, 《스팀잇》, 2018-06-21 </ref>
 
특정 구성원을 대리하여 거래 생성 및 서명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를 생산하는 모든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대리한 구성원에게 이 헌법의 전체 리카르디안 계약 조건과 다른 참조 계약들을 제출해야 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전체 리카르디안 계약 조건을 사용자에게 공개하지 않아 발생하는 손실에 대한 책임을 진다.<ref>eosys, 〈[https://steemit.com/kr/@eosys/eos-constitution EOS Constitution — 이오스 헌법 원문]〉, 《스팀잇》, 2018-06-21 </ref>
 
}}
 
}}
 +
 +
  
 
;오픈바자(OpenBazaar)
 
;오픈바자(OpenBazaar)
97번째 줄: 98번째 줄:
 
# 신원 확인을 위한 암호키
 
# 신원 확인을 위한 암호키
 
# 거래 등등의 상호 작용의 조건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의미론적인 데이터(예를 들어, 상품, 서비스와 교환된 통화)
 
# 거래 등등의 상호 작용의 조건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의미론적인 데이터(예를 들어, 상품, 서비스와 교환된 통화)
# 키를 가진 당사자가 이 문구와 조건에 동의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디지털 서명
+
# 키를 가진 당사자가 이 문구와 조건에 동의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디지털 서명]]
 
# 계약의 변조 방지를 위한 기록을 작성하기 위한 암호화 해시(hash)
 
# 계약의 변조 방지를 위한 기록을 작성하기 위한 암호화 해시(hash)
  
125번째 줄: 126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이안 그리그]]
 
 
* [[제이슨]]
 
* [[제이슨]]
 
* [[이오스]]
 
* [[이오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