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공기전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리튬공기전지'''<!--리튬 공기 전지, 리튬공기 전지-->는 공기 중 [[산소]]를 [[양극물질]]로 사용하는 초경량 [[전지]]이다. 산소의 [[산화]]·[[환원]] 반응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에너지]]를 저장한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10배 이상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 산소를 [[전극재]]로 쓰기 때문에 [[금속]]을 쓰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가볍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리튬공기전지는 산소의 산화·환원 과정에서 [[과전압]]이 발생해 전지 수명이 급격하게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2020년 10월 15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삼성전자종합기술원]], 미국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차세대 2차전지인 리튬공기 전지 상용화의 난제로 지적돼온 수명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고 발표했다. 리튬공기전지는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 거리의 2.5배인 1000㎞를 달릴 수 있는 기술이다.
+
'''리튬공기전지'''(battery)는 공기 중 산소를 양극물질로 사용하는 초경량 전지다. 산소의 산화·환원 반응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에너지를 저장한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10배 이상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 산소를 전극재로 쓰기 때문에 금속을 쓰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가볍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리튬공기전지는 산소의 산화·환원 과정에서 과전압이 발생해 전지 수명이 급격하게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
 
 +
2020년 10월 15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삼성전자종합기술원]], 미국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차세대 2차전지인 리튬공기 전지 상용화의 난제로 지적돼온 수명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고 발표했다. 리튬공기전지는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 거리의 2.5배인 1000㎞를 달릴 수 있는 기술이다.
  
 
== 개요 ==
 
== 개요 ==
25번째 줄: 26번째 줄:
  
 
그 외에도 카트리지 형태의 리튬금속 음극을 이용하여 기계적 충전식, 전해질 흐름식 등 다양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하기 위한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은 개발되지 못했다. 현재는 각 전해질 구조별 리튬공기전지 소재 기술은 기초 연구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따라서 핵심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원천 기술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가장 개발이 시급한 소재는 고안정성 전해질이며 그 외에 탄소 또는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된 공기극 구조 개발, 충전 및 방전 효율 향상을 위한 신규 촉매 개발, 리튬금속음극의안전성 문제 등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이다.
 
그 외에도 카트리지 형태의 리튬금속 음극을 이용하여 기계적 충전식, 전해질 흐름식 등 다양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하기 위한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은 개발되지 못했다. 현재는 각 전해질 구조별 리튬공기전지 소재 기술은 기초 연구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따라서 핵심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원천 기술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가장 개발이 시급한 소재는 고안정성 전해질이며 그 외에 탄소 또는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된 공기극 구조 개발, 충전 및 방전 효율 향상을 위한 신규 촉매 개발, 리튬금속음극의안전성 문제 등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이다.
[[파일:리튬공기전지의 구조 전해질 종류에 따른 구분(한국과학기술연구원).png|썸네일|1000픽셀|가운데|리튬공기전지의 구조 : 전해질 종류에 따른 구분(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문제점 ==
 
차세대 전지 로드맵 중에서 상용화 계획이 가장 늦은 만큼, 기술적 한계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대표적으로 불용성 반응물(Li₂O₂)의 처리, 낮은 수명 특성, 리튬메탈 사용으로 인한 안전성 저하, 공기극의 높은 분극 저항 등의 문제다.
 
 
'''[[리튬 황 배터리]]'''에서 중간 생성물인 리튬폴리설파이드가 난제인 것처럼, 리튬공기전지는 방전 생성물인 리튬 과산화물(Peroxide)이 난제다. 방전 시 순수한 과산화물만 형성되고 충전 시 완전히 분해되면 좋지만 현실적으로 그렇지 않다. 방전 과정에서 과산화물 이외에 많은 부반응 생성물이 형성되고 충전 과정에서 반응 생성물들이 충분히 분해되지 못해 공기극에 축적됨으로써 충·방전이 일정 정도 진행되면 급격한 용량 감소가 일어난다.
 
 
방전 시 형성되는 Li₂O₂는 고체이므로 낮은 전기 및 이온전도도를 가지고, 공기극 표면을 덮게 된다. 충전 시에 Li₂O₂를 분해하기 위해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방전 시와 충전 시의 전압차가 커져서 에너지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높은 과전위는 부반응을 촉진시켜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100을 충전하면 99.99를 사용할 수 있는데, 리튬공기전지는 100을 충전하면 현재 기술로 60만 사용할 수 있다.<ref>spainorange, 〈[https://blog.naver.com/hoonyang/221607951305 키움증권 차세대 배터리 - (3) Po.. : 네이버블로그]〉, 《네이버블로그》, 2019-08-06</ref>
 
  
 
== 동향 ==
 
== 동향 ==
56번째 줄: 47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17796&cid=42107&categoryId=42107 리튬공기 전지]〉, 《한경 경제용어사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17796&cid=42107&categoryId=42107 리튬공기 전지]〉, 《한경 경제용어사전》
* 리튬공기전지의 원리 및 동향(한국과학기술연구원) - https://www.cheric.org/files/research/ip/p201406/p201406-201.pdf
 
* 리튬공기전지 기술 동향(한경대학교) - http://gift.kisti.re.kr/announce/analysis-report/2014/gtnet_14040.pdf
 
 
* 이수민 기자, 〈[https://www.e4ds.com/sub_view.asp?ch=2&t=0&idx=12128 충전 한 번에 1,000km 달리는 EV 리튬공기전지 개발돼]〉, 《e4ds 뉴스》, 2020-10-15
 
* 이수민 기자, 〈[https://www.e4ds.com/sub_view.asp?ch=2&t=0&idx=12128 충전 한 번에 1,000km 달리는 EV 리튬공기전지 개발돼]〉, 《e4ds 뉴스》, 2020-10-15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Trend.do?cn=GTB2018003947 진정한 리튬-공기 배터리를 개발한 미국]〉, 《사이언스온》, 2018-03-24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Trend.do?cn=GTB2018003947 진정한 리튬-공기 배터리를 개발한 미국]〉, 《사이언스온》, 2018-03-24
* 한음표 기자, 〈[http://www.mtnews.net/news/view.php?idx=7647 ‘차세대 꿈의 배터리’ 리튬공기전지 효율·수명 향상시키는 전극 촉매 핵심기술 개발]〉, 《기계신문》, 2020-01-09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리튬 황 배터리]]
 
* [[리튬 황 배터리]]
  
{{배터리|검토 필요}}
+
{{배터리|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