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3번째 줄: 53번째 줄:
 
2017년부터, 날개 그릴이라 불린 스플릿 윙 그릴을 버리고 [[컨티넨탈]](Continental)에 최초 적용된 한층 더 고급스러운 시그니처 그릴을 모든 라인업에 적용시켰다. 또한 같은 시기에 MK 작명법도 버렸다. 얼마 뒤 공개된 링컨 MKX 2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링컨 노틸러스라는 이름으로 나왔고, 자연스레 MKX는 단종되었다.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이지만 전륜구동인 포드의 차량을 익스테리어, 인테리어 디자인을 바꿔서 만들다 보니 소수의 일부 매체에서는 다른 경쟁 프리미엄 브랜드들에 비해 조금 낮게 평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렉서스]](Lexus) 등 다른 프리미엄 브랜드에서도 쓰고 있는 전략이며, 링컨이 다시 럭셔리 브랜드의 이미지를 되찾음에 따라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부활은 성공적이라 평할 수 있다. 더욱이 [[아큐라]](Acura), [[인피니티]](Infiniti) 등 비 렉서스 고급 브랜드의 존재감 자체가 줄어들면서, 북미 고급차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링컨의 존재감이 높아졌다. 특히 신형 내비게이터의 출시로 링컨이 이들 일본 고급 브랜드를 브랜드 인지도 면에서 압도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2019년 미국 판매 11만대, 해외 판매 8만대, 2017~19년도 컨슈머 내구성 테스트 조사 2위로 2015년 이후 성공적인 럭셔리 브랜드로 귀환하게 되었다. 2020년에 MKZ, 뒤이어 컨티넨탈을 단종시키면서 [[세단]] 라인업을 완전히 단종시켜버렸고, 프리미엄 [[SUV]] 브랜드로 완전히 탈바꿈하였다.<ref name='나무'/>
 
2017년부터, 날개 그릴이라 불린 스플릿 윙 그릴을 버리고 [[컨티넨탈]](Continental)에 최초 적용된 한층 더 고급스러운 시그니처 그릴을 모든 라인업에 적용시켰다. 또한 같은 시기에 MK 작명법도 버렸다. 얼마 뒤 공개된 링컨 MKX 2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링컨 노틸러스라는 이름으로 나왔고, 자연스레 MKX는 단종되었다.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이지만 전륜구동인 포드의 차량을 익스테리어, 인테리어 디자인을 바꿔서 만들다 보니 소수의 일부 매체에서는 다른 경쟁 프리미엄 브랜드들에 비해 조금 낮게 평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렉서스]](Lexus) 등 다른 프리미엄 브랜드에서도 쓰고 있는 전략이며, 링컨이 다시 럭셔리 브랜드의 이미지를 되찾음에 따라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부활은 성공적이라 평할 수 있다. 더욱이 [[아큐라]](Acura), [[인피니티]](Infiniti) 등 비 렉서스 고급 브랜드의 존재감 자체가 줄어들면서, 북미 고급차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링컨의 존재감이 높아졌다. 특히 신형 내비게이터의 출시로 링컨이 이들 일본 고급 브랜드를 브랜드 인지도 면에서 압도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2019년 미국 판매 11만대, 해외 판매 8만대, 2017~19년도 컨슈머 내구성 테스트 조사 2위로 2015년 이후 성공적인 럭셔리 브랜드로 귀환하게 되었다. 2020년에 MKZ, 뒤이어 컨티넨탈을 단종시키면서 [[세단]] 라인업을 완전히 단종시켜버렸고, 프리미엄 [[SUV]] 브랜드로 완전히 탈바꿈하였다.<ref name='나무'/>
  
== 생산 차량 ==
+
==생산 차량==
 
2020년 [[SUV]] 중심의 제품구성에 대한 사업비전을 밝힌 링컨은 이후, 세단 모델을 모두 단종시키고 풀사이즈 SUV 내비게이터부터 [[대형SUV]] 에비에이터, [[중형SUV]] 노틸러스와 [[콤팩트SUV]] 코세어까지 총 4가지의 차종으로 구성된 SUV 라인업을 갖추었다.<ref>황병우 기자, 〈[http://www.ef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139 '창립 100주년' 美 링컨자동차, "2030년 全모델 전동화 전환 목표"]〉, 《파이낸셜신문》, 2022-02-04</ref>
 
2020년 [[SUV]] 중심의 제품구성에 대한 사업비전을 밝힌 링컨은 이후, 세단 모델을 모두 단종시키고 풀사이즈 SUV 내비게이터부터 [[대형SUV]] 에비에이터, [[중형SUV]] 노틸러스와 [[콤팩트SUV]] 코세어까지 총 4가지의 차종으로 구성된 SUV 라인업을 갖추었다.<ref>황병우 기자, 〈[http://www.ef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139 '창립 100주년' 美 링컨자동차, "2030년 全모델 전동화 전환 목표"]〉, 《파이낸셜신문》, 2022-02-04</ref>
  
[[파일:내비게이터.jpg|썸네일|300픽셀|'''[[링컨 내비게이터]]'''(Navigator)]]
+
[[파일:내비게이터.jpg|썸네일|300픽셀|'''내비게이터'''(Navigator)]]
[[파일:에비에이터.png|썸네일|300픽셀|'''[[링컨 에비에이터]]'''(Aviator)]]
+
[[파일:에비에이터.png|썸네일|300픽셀|'''에비에이터'''(Aviator)]]
[[파일:노틸러스.jpg|썸네일|300픽셀|'''[[링컨 노틸러스]]'''(Nautilus)]]
+
[[파일:노틸러스.jpg|썸네일|300픽셀|'''노틸러스'''(Nautilus)]]
[[파일:코세어.jpg|썸네일|300픽셀|'''[[링컨 코세어]]'''(Corsair)]]
+
[[파일:코세어.jpg|썸네일|300픽셀|'''코세어'''(Corsair)]]
 +
===내비게이터===
 +
[[내비게이터]](Navigator)는 링컨 브랜드에 의해 1998년 모델부터 판매되는 풀사이즈 럭셔리 [[SUV]]이다. 차명인 내비게이터(Navigator)는 항해사라는 뜻의 영어 단어이다. 주로 북아메리카에 판매되는 내비게이터는 [[F-150]] [[픽업트럭]] 플랫폼을 이용하며, [[포드]](Ford) [[익스페디션]](Expedition)의 링컨 대응 차량이다. 이 브랜드에 의해 판매된 가장 긴 차량은 아니지만 링컨이 만든 가장 무거운 차량이다. [[화물칸]] 용적이 가장 큰 링컨 차량으로, 6명을 초과하는 좌석을 제공하는, [[리무진]]이 아닌 최초의 링컨 차량이기도 하다. 또한 [[캐딜락]](Cadillac) [[에스컬레이드]](Escalade)처럼 [[장축]]형 모델이 별도로 있다. 초기에는 V8 5.4리터 [[가솔린 엔진]]을 이용했으며, 2014년에 출시한 3세대 후기형부터 V6 3.5리터 에코부스트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을 이용 중이다. 대한민국에는 2021년 3월 25일에 처음으로 출시했다.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와는 달리 장축형 모델은 정식으로 수입되지 않는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81%EC%BB%A8_%EB%84%A4%EB%B9%84%EA%B2%8C%EC%9D%B4%ED%84%B0 링컨 네비게이터]〉, 《위키백과》</ref>
  
===링컨 내비게이터===
+
===에비에이터===
[[링컨 내비게이터]](Navigator)는 링컨 브랜드에 의해 1998년 모델부터 판매되는 풀사이즈 럭셔리 [[SUV]]이다. 차명인 내비게이터(Navigator)는 항해사라는 뜻의 영어 단어이다. 주로 북아메리카에 판매되는 내비게이터는 [[F-150]] [[픽업트럭]] 플랫폼을 이용하며, [[포드]](Ford) [[익스페디션]](Expedition)링컨 대응 차량이다. 이 브랜드에 의해 판매된 가장 긴 차량은 아니지만 링컨이 만든 가장 무거운 차량이다. [[화물칸]] 용적이 가장 큰 링컨 차량으로, 6명을 초과하는 좌석을 제공하는, [[리무진]]이 아닌 최초의 링컨 차량이기도 하다. 또한 [[캐딜락]](Cadillac) [[에스컬레이드]](Escalade)처럼 [[장축]]형 모델이 별도로 있다. 초기에는 V8 5.4리터 [[가솔린 엔진]]을 이용했으며, 2014년에 출시한 3세대 후기형부터 V6 3.5리터 에코부스트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을 이용 중이다. 대한민국에는 2021년 3월 25일에 처음으로 출시했다.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와는 달리 장축형 모델은 정식으로 수입되지 않는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81%EC%BB%A8_%EB%84%A4%EB%B9%84%EA%B2%8C%EC%9D%B4%ED%84%B0 링컨 네비게이터]〉, 《위키백과》</ref>
+
[[에비에이터]](Aviator)는 링컨의 [[준대형SUV]] [[차량]]이다. 차명인 에비에이터(Aviator)는 조종사를 뜻하는 또다른 영어 단어이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포드]](Ford) [[익스플로러]](Explorer)의 뱃지 엔지니어링 차량인 [[머큐리]](Mercury) [[마운티니어]](Mountaineer)를 기반으로 한 [[중형SUV]] [[차량]]이었다가, 2019년 재출시되었다.<ref>〈[https://namu.wiki/w/%EB%A7%81%EC%BB%A8%20%EC%97%90%EB%B9%84%EC%97%90%EC%9D%B4%ED%84%B0 링컨 에비에이터]〉, 《나무위키》</ref> 따라서 익스플로러의 플랫폼을 공용한다. 1세대 에비에이터는 3세대 익스플로러를 기반으로 고급화하여 2002년에 출시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4년에 출시됐으며, 302마력 V8 4.6리터 DOHC 가솔린 엔진이 장착됐다. 그러나 내비게이터와 맞먹는 옵션으로 인해 익스플로러는 물론, 미국 현지에서는 사이즈가 더 큰 익스페디션보다 비싼 가격으로 나왔다. 이 때문에 판매 부진으로 2006년에 단종되었으며, 한동안 MKT와 MKX가 자리를 채웠다. 대한민국에서도 에비에이터의 판매가 중지된 후에는 MKX가 대체 모델로 수입되었다. 이후 201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SUV]][[세단]]보다 더 인기몰이를 하기에 2세대 에비에이터로 부활시켰다. 6세대 익스플로러의 [[모노코크]] [[후륜구동]] 기반 플랫폼을 기반으로 2018년에 출시되었다. 링컨 최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대한민국에는 2020년 4월 21일에 405마력 V6 3.0리터 가솔린 트윈터보 사양이 우선 들어왔으며, 동년 9월 2일에는 V6 3.0리터 가솔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도 추가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81%EC%BB%A8_%EC%97%90%EB%B9%84%EC%97%90%EC%9D%B4%ED%84%B0 링컨 에비에이터]〉, 《위키백과》</ref>
  
===링컨 에비에이터===
+
===노틸러스===
[[링컨 에비에이터]](Aviator)는 링컨의 [[준대형SUV]] [[차량]]이다. 차명인 에비에이터(Aviator)는 조종사를 뜻하는 또다른 영어 단어이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포드]](Ford) [[익스플로러]](Explorer)의 뱃지 엔지니어링 차량인 [[머큐리]](Mercury) [[마운티니어]](Mountaineer)를 기반으로 한 [[중형SUV]] [[차량]]이었다가, 2019년 재출시되었다.<ref>〈[https://namu.wiki/w/%EB%A7%81%EC%BB%A8%20%EC%97%90%EB%B9%84%EC%97%90%EC%9D%B4%ED%84%B0 링컨 에비에이터]〉, 《나무위키》</ref> 따라서 익스플로러의 플랫폼을 공용한다. 1세대 에비에이터는 3세대 익스플로러를 기반으로 고급화하여 2002년에 출시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4년에 출시됐으며, 302마력 V8 4.6리터 DOHC 가솔린 엔진이 장착됐다. 그러나 내비게이터와 맞먹는 옵션으로 인해 익스플로러는 물론, 미국 현지에서는 사이즈가 더 큰 익스페디션보다 비싼 가격으로 나왔다. 이 때문에 판매 부진으로 2006년에 단종되었으며, 한동안 MKT와 MKX가 자리를 채웠다. 대한민국에서도 에비에이터의 판매가 중지된 후에는 MKX가 대체 모델로 수입되었다. 이후 201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SUV]]가 [[세단]]보다 더 인기몰이를 하기에 2세대 에비에이터로 부활시켰다. 6세대 익스플로러의 [[모노코크]] [[후륜구동]] 기반 플랫폼을 기반으로 2018년에 출시되었다. 링컨 최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대한민국에는 2020년 4월 21일에 405마력 V6 3.0리터 가솔린 트윈터보 사양이 우선 들어왔으며, 동년 9월 2일에는 V6 3.0리터 가솔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도 추가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81%EC%BB%A8_%EC%97%90%EB%B9%84%EC%97%90%EC%9D%B4%ED%84%B0 링컨 에비에이터]〉, 《위키백과》</ref>
+
[[노틸러스]](Nautilus)는 링컨에서 판매하는 자동차이다. 2018년 출시하였으며 MKX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출시되면서 미 해군의 잠수함 이름인 노틸러스(Nautilus)라는 새 이름을 얻게 되었다. 엔진은 포드의 2.7 에코부스트 엔진을 사용했으며 333마력의 출력을 냈다. 차량의 전장은 4820mm로 [[현대자동차㈜]] [[싼타페]](Santa fe), [[기아자동차㈜]] [[쏘렌토]](Sorento) 등의 차량과 경쟁한다. 2021년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다. 대한민국에는 2022년 3월 17일 출시하였으며 [[트림]]은 200A 셀렉트와 202A 리저브가 있다. 2023년 형제차량인 [[포드]](Ford) [[엣지]](Edge)와 함께 단종될 예정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81%EC%BB%A8_%EB%85%B8%ED%8B%B8%EB%9F%AC%EC%8A%A4 링컨 노틸러스]〉, 《위키백과》</ref>
  
===링컨 노틸러스===
+
===코세어===
[[링컨 노틸러스]](Nautilus)는 링컨에서 판매하는 자동차이다. 2018년 출시하였으며 MKX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출시되면서 미 해군의 잠수함 이름인 노틸러스(Nautilus)라는 새 이름을 얻게 되었다. 엔진은 포드의 2.7 에코부스트 엔진을 사용했으며 333마력의 출력을 냈다. 차량의 전장은 4820mm로 [[현대 싼타페]](Hyundai Santa Fe), [[기아 쏘렌토]](KIA Sorento) 등의 차량과 경쟁한다. 2021년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다. 대한민국에는 2022년 3월 17일 출시하였으며 [[트림]]은 200A 셀렉트와 202A 리저브가 있다. 2023년 형제차량인 [[포드]](Ford) [[엣지]](Edge)와 함께 단종될 예정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A7%81%EC%BB%A8_%EB%85%B8%ED%8B%B8%EB%9F%AC%EC%8A%A4 링컨 노틸러스]〉, 《위키백과》</ref>
+
[[코세어]](Corsair)는 링컨의 [[준중형SUV]] 차량이다. 차명인 코세어(Corsair)는 해적을 뜻하는 또다른 영어 단어이다. 2020년 기준 링컨에서 가장 많이 팔린 모델로, 사실상 링컨의 대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코세어는 2019년 4월 17일 뉴욕 오토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4세대 [[포드]](Ford) [[이스케이프]](Escape)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MKC의 후속 모델이다. 링컨 브랜드의 새로운 작명법으로 인해 생겨난 에비에이터, 노틸러스 및 기존에 있었던 컨티넨탈과 내비게이터 이후 생겨난 이름이다. 또한 포드의 차량에도 쓰였던 이름인데, 포드가 실패한 브랜드인 에드셀(Edsel)에서 판매된 차량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차량의 가격은 미국 시장에서 37,100 달러에 판매되며 [[가솔린]]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사양으로 구성되었다. 포드 C2 플랫폼이 적용되며, 파워트레인으로는 2.0L 에코부스트/2.3L 에코부스트 가솔린 터보 엔진이 적용되고 이와 함께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는 [[전륜구동]]/[[4WD]] 차량이다. 2019년 미국 시장에서는 총 25,815대가 판매되었다. 대한민국에는 2020년 4월 28일부터 사전계약을 실시하여 그해 5월 19일 출시되었다. 파워트레인과 트림은 에코부스트 2.0L 가솔린 터보 리저브 단일 모델만 시판된다. 가격은 개별소비세 인하 적용된 5,640만원으로 책정됐다.<ref>〈[https://namu.wiki/w/%EB%A7%81%EC%BB%A8%20%EC%BD%94%EC%84%B8%EC%96%B4 링컨 코세어]〉, 《나무위키》</ref>
 
 
===링컨 코세어===
 
[[링컨 코세어]](Corsair)는 링컨의 [[준중형SUV]] 차량이다. 차명인 코세어(Corsair)는 해적을 뜻하는 또다른 영어 단어이다. 2020년 기준 링컨에서 가장 많이 팔린 모델로, 사실상 링컨의 대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코세어는 2019년 4월 17일 뉴욕 오토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4세대 [[포드]](Ford) [[이스케이프]](Escape)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MKC의 후속 모델이다. 링컨 브랜드의 새로운 작명법으로 인해 생겨난 에비에이터, 노틸러스 및 기존에 있었던 컨티넨탈과 내비게이터 이후 생겨난 이름이다. 또한 포드의 차량에도 쓰였던 이름인데, 포드가 실패한 브랜드인 에드셀(Edsel)에서 판매된 차량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차량의 가격은 미국 시장에서 37,100 달러에 판매되며 [[가솔린]]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사양으로 구성되었다. 포드 C2 플랫폼이 적용되며, 파워트레인으로는 2.0L 에코부스트/2.3L 에코부스트 가솔린 터보 엔진이 적용되고 이와 함께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는 [[전륜구동]]/[[4WD]] 차량이다. 2019년 미국 시장에서는 총 25,815대가 판매되었다. 대한민국에는 2020년 4월 28일부터 사전계약을 실시하여 그해 5월 19일 출시되었다. 파워트레인과 트림은 에코부스트 2.0L 가솔린 터보 리저브 단일 모델만 시판된다. 가격은 개별소비세 인하 적용된 5,640만원으로 책정됐다.<ref>〈[https://namu.wiki/w/%EB%A7%81%EC%BB%A8%20%EC%BD%94%EC%84%B8%EC%96%B4 링컨 코세어]〉, 《나무위키》</ref>
 
  
 
==로드맵==
 
==로드맵==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