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버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마을버스.png|300픽셀|섬네일||마을버스]]
+
'''마을버스'''(town bus)란 정기 노선버스를 운행하지 않고 지역의 주민의 불편을 덜기 위하여 운행하는 버스이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 수 있는 큰길까지 운행한다.
 
 
'''마을버스'''<!--마을 버스-->(town bus)란 정기적인 [[노선버스]]를 운행하지 않고 지역의 주민의 불편을 덜기 위하여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 수 있는 큰길까지 운행하는 [[버스]]를 말한다.
 
{{:자동차 배너}}
 
  
 
==개요==
 
==개요==
마을버스는 [[일반버스]]가 운행하는 [[노선]]에서 거리가 먼 지역, 오르내리기 힘든 고지대, 일반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 등 일반버스 노선의 틈새 구역을 운행하는 [[버스]]이다. [[주거지]]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기점이 있거나 자기 집에서 가까운 곳을 지나가기 때문에 [[일반버스]]나 [[지하철]]과 연계하는 교통수단으로 이용된다. 요금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시내버스]], 지하철보다 요금이 저렴하다. 마을버스라는 것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지역도 많다. 반면에 서울, 경기, 부산은 마을버스의 운행이 매우 활발하다.<ref>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5208 마을버스]〉, 《두산백과》</ref>
+
일반버스가 운행하는 노선에서 거리가 먼 지역, 오르내리기 힘든 고지대, 일반버스가 다니짖 않는 지역 등 일반버스 노선의 틈새 구역을 운행하는 버스이다. 주거지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기점이 있거나 자기 집에서 가까운 곳을 지나가기 때문에 일반버스나 지하철과 연계하는 교통수단으로 이용된다. 요금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시내버스, 지하철보다 요금이 저렴하다. 마을버스라는 것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지역도 많다. 반면에 서울, 경기, 부산은 마을버스의 운행이 매우 활발하다.  
  
 
==서울시 마을버스==
 
==서울시 마을버스==
16번째 줄: 13번째 줄:
 
|align=center rowspan="3"|이용교통수단 중 높은 기본 요금 적용, 4회 환승으로 5회 승차까지 무료환승 가능
 
|align=center rowspan="3"|이용교통수단 중 높은 기본 요금 적용, 4회 환승으로 5회 승차까지 무료환승 가능
 
|-
 
|-
|align=center|하차 시 단말기에 꼭 접촉해야 한다.
+
|align=center|하차 시 단말기에 꼭 접촉해야 합니다.
 
|-
 
|-
|align=center|하차 후 30분 이내 탑승을 해야 환승이 가능하다.(저녁 9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는 1시간 이내)
+
|align=center|하차 후 30분 이내 탑승을 해야 환승이 가능합니다.(저녁 9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는 1시간 이내)
 
|-
 
|-
 
|align=center rowspan="2"|동일차랑/동일노선 이용
 
|align=center rowspan="2"|동일차랑/동일노선 이용
45번째 줄: 42번째 줄:
 
|-
 
|-
 
!align=center|조조할인 이용안내
 
!align=center|조조할인 이용안내
|align=center colspan="3"|조조할인 : 첫차 ~ 오전 6시 30분 이전 교통카드 이용승객
+
|align=center|조조할인 : 첫차 ~ 오전 6시 30분 이전 교통카드 이용승객
 
|-
 
|-
!align=center|노선 및 정류소 안내
+
!align=center colspan="2"|노선 및 정류소 안내
|align=center colspan="3"|서울시 홈페이지() 및 120 다산콜센터 또는 서울시마을버스조합 홈페이지(http://www.stownbus.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f>〈[http://www.stownbus.co.kr/html/intro/farehistory.do 요금 변천사]〉,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운송사업조합》</ref>
+
|align=center colspan="2"|서울시 홈페이지() 및 120 다산콜센터 또는 서울시마을버스조합 홈페이지(http://www.stownbus.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61번째 줄: 58번째 줄: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248
 
|align=center|248
|align=center|1690<ref>〈[https://data.seoul.go.kr/dataList/10344/A/2/datasetView.do 서울시 마을버스 현황 통계]〉, 《서울특별시》</ref>
+
|align=center|1690
 
|}
 
|}
  
93번째 줄: 90번째 줄:
 
|align=center|300원
 
|align=center|300원
 
|align=center|300원
 
|align=center|300원
|align=center|300원<ref>〈[https://news.seoul.go.kr/traffic/archives/345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현황]〉, 《서울특별시》,  2021-01-25</ref>
+
|align=center|300원  
|}
+
<ref>〈[https://news.seoul.go.kr/traffic/archives/345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현황]〉, 《서울특별시》,  2021-01-25</ref>
 
 
==경기도 마을버스==
 
===이용안내===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환승
 
|align=left|
 
*교통카드를 사용해야만 환승할인을 받을 수 있다.
 
*현금은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승차.하차때마다 반드시 카드 단말기에 접촉해야 환승이 적용된다. 비접촉시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환승 할인 유효시간은 하차시 교통카드 접촉후 30분 이내이다. 단, 21시~07시는 1시간 적용된다.
 
*환승할인 횟수는 총 4회(5개 교통수단 이용)까지 가능하며, 동일 노선은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교통카드 잔액이 250원 미만이면 환승이 적용되지 않는다.
 
|-
 
!align=center|카드 사용법
 
|align=left|
 
*교통카드는 단말기에 1장만 접촉 하여야 한다.
 
*환승시에는 동일카드 사용해야 할인혜택 적용된다.
 
*충전식 교통카드 분실, 도난시 잔액은 환불이 불가능하다.
 
*1장의 카드로 여러 명이 탈 경우 카드 접촉 전에 미리 운전 기사님에게 미리 말해야 하며, 다인승 환승시에도 동일하다. 단, 다인승 환승할인은 동일 인원이 동일 목적지에 갈 경우에만 적용이 된다.
 
*선불교통카드는 충전 시 마이너스 차감되지 않음으로, 전액 부족시에는 탑승이 어려우니 주의해야한다.
 
|-
 
!align=center|어린이 & 청소년 카드할인
 
|align=left|
 
*어린이 카드와 청소년 카드는 구입 후 해당 교통카드사 홈페이지에 10일 이내에 반드시 등록해야한다.
 
*캐시비 카드는 캐쉬비 홈페이지에서 카드등록, 발행 카드사별 1인 1카드 등록하는 것이 원칙이다.
 
*구입 후 10일이 지난 후에도 등록하지 않으면 어린이 및 청소년 요금이 적용되지 않고 성인요금으로 차감된다.
 
*카드할인 적용은 어린이는 만6세부터~만12세까지이며, 청소년은 만13세부터~만18세까지이다.
 
*후불(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성인용 선불카드는 어린이, 청소년 교통 할인불가하다.
 
|}
 
 
 
===요금===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지역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일반
 
!align=center|학생
 
!align=center|어린이
 
|-
 
|align=center rowspan="2"|고양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00
 
|align=center|910
 
|align=center|65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과천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250
 
|align=center|880
 
|align=center|63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3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광명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광주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구리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00
 
|align=center|910
 
|align=center|65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김포시(일반)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군포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250
 
|align=center|880
 
|align=center|63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3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남양주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00
 
|align=center|910
 
|align=center|65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부천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00
 
|align=center|910
 
|align=center|65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성남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수원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5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시흥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안양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250
 
|align=center|880
 
|align=center|63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3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양주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오산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용인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의왕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의정부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파주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평택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하남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250
 
|align=center|880
 
|align=center|63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300
 
|align=center|900
 
|align=center|700
 
|-
 
|align=center rowspan="2"|화성시
 
|align=center|교통카드
 
|align=center|1,350
 
|align=center|950
 
|align=center|680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1,400
 
|align=center|1,000
 
|align=center|700<ref>〈[http://www.gtownbus.or.kr/sub03/sub02.php 교통카드정보]〉, 《경기도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ref>
 
|}
 
 
 
==부산 마을버스==
 
===현황===
 
;총괄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 rowspan="2"|업체수
 
!align=center rowspan="2"|노선수
 
!align=center colspan=3|운행대수
 
|-
 
!align=center|계
 
!align=center|상용차
 
!align=center|예비차
 
|-
 
|align=center|61
 
|align=center|132
 
|align=center|571
 
|align=center|505
 
|align=center|66
 
|}
 
 
 
;등록대수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 rowspan="2" colspan=2|소속
 
!align=center rowspan="2"|업체수
 
!align=center colspan=3|등록대수
 
!align=center rowspan="2"|노선수
 
|-
 
!align=center|계
 
!align=center|상용
 
!align=center|예비
 
|-
 
|align=center rowspan="2"|마을버스 조합
 
|align=center|법인
 
|align=center|52
 
|align=center|488
 
|align=center|431
 
|align=center|57
 
|align=center rowspan="2"|132
 
|-
 
|align=center|개인
 
|align=center|0
 
|align=center|0
 
|align=center|0
 
|align=center|0
 
|}
 
 
 
===요금===
 
:{|class=wikitable width=600
 
!align=center rowspan="2" |구분
 
!align=center rowspan="2"|구(군) 별
 
!align=center colspan=2|조정요금
 
!align=center rowspan="2"|인상액
 
|-
 
!align=center|현금
 
!align=center|카드
 
|-
 
!align=center rowspan="9"|일반
 
|align=center|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 동래, 남구, 북구, 해운대, 사하, 금정, 연제, 수영, 사상
 
|align=center|1,200
 
|align=center|1,130
 
|align=center|현금100 카드120
 
|-
 
|align=center|강서구
 
|align=center|1,300
 
|align=center|1,160
 
|align=center|0
 
|-
 
|align=center|기장군
 
|align=center|1,300
 
|align=center|1,130
 
|align=center|0
 
|-
 
|align=center|기장군11
 
|align=center|1,100
 
|align=center|1,010
 
|align=center|0
 
|-
 
|align=center|강서구
 
|align=center|1,300
 
|align=center|1,160
 
|align=center|0
 
|-
 
|align=center|금정구1
 
|align=center|1,200
 
|align=center|1,130
 
|align=center|현금100 카드 80
 
|-
 
|align=center|금정구7
 
|align=center|1,100
 
|align=center|1,050
 
|align=center|현금100 카드150
 
|-
 
|align=center|사하구 1
 
|align=center|1,200
 
|align=center|1,130
 
|align=center|현금100 카드190
 
|-
 
|align=center|사하구1-1, 서구2, 2-2
 
|align=center|1,100
 
|align=center|1,050
 
|align=center|현금100 카드150
 
|-
 
!align=center rowspan="5"|청소년
 
|align=center|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 동래, 남구, 북구, 해운대, 사하,금정, 연제, 수영, 사상
 
|align=center|900
 
|align=center|750
 
|align=center|현금100 카드 70
 
|-
 
|align=center|강서구
 
|align=center|900
 
|align=center|760
 
|align=center|0
 
|-
 
|align=center|기장군
 
|align=center|900
 
|align=center|730
 
|align=center|0
 
|-
 
|align=center|기장군 2-3, 11
 
|align=center|800
 
|align=center|680
 
|align=center|0
 
|-
 
|align=center|사하구1-1, 서구2, 2-2
 
|align=center|800
 
|align=center|650
 
|align=center|현금100 카드 90
 
|-
 
!align=center|어린이
 
|align=center|부산시 전체
 
|align=center|300
 
|align=center|260
 
|align=center|0<ref>〈[https://www.busan.go.kr/traffic/abbus02 마을버스]〉,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2019-02-11</ref>
 
 
|}
 
|}
 
==현황==
 
2021년 6월 1일 마을버스업계가 코로나19에 따른 경영난 때문에 파업하기로 하였지만 잠시 보류하였다. 서울시가 적자 업체 지원금을 늘린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마을버스조합은 6년째 동결된 요금을 인상하거나 추가 재정지원을 요구하였고, 6월 1일부터 운행을 중단하겠다고 서울시를 압박하였다. 서울시는 2021년 5월 12일에 적자 마을버스 업체에 지원하는 월 예산 총액을 30억원에서 40억원으로 늘렸다. 마을버스조합은 2021년 7월에 서울시의회에서 환승손실금 예산 지원 규모가 어느 수준으로 결정될지에 따라 운행중단 철회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밝혔다.<ref>박태우 기자, 〈[https://www.hani.co.kr/arti/area/capital/996148.html 서울 마을버스, ‘6월1일 운행중단’ 일시 보류]〉, 《한겨레》,  2021-05-21</ref>
 
{{각주}}
 
==참고자료==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5208 마을버스]〉, 《두산백과》
 
*〈[http://www.stownbus.co.kr/html/intro/farehistory.do 요금 변천사]〉,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운송사업조합》
 
* 서울특별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eoul.go.kr/main/index.jsp
 
*〈[http://www.gtownbus.or.kr/sub03/sub02.php 교통카드정보]〉, 《경기도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 부산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https://www.busan.go.kr/open/index.jsp
 
* 박태우 기자, 〈[https://www.hani.co.kr/arti/area/capital/996148.html 서울 마을버스, ‘6월1일 운행중단’ 일시 보류]〉, 《한겨레》,  2021-05-21
 
 
==같이 보기==
 
 
* [[버스]]
 
* [[시내버스]]
 
* [[지하철]]
 
 
{{자동차 분류|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