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 로고.png|썸네일|200픽셀|'''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MIT Media Lab)]]
+
[[파일: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 로고.png|썸네일|200픽셀|'''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MIT Media Lab) 로고]]
[[파일: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 글자.png|썸네일|300픽셀|'''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MIT Media Lab)]]
+
[[파일: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 글자.png|썸네일|300픽셀|'''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MIT Media Lab) 로고와 글자]]
[[파일: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글자.png|썸네일|300픽셀|'''[[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MIT Media Lab)은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연구소이다. 주로 '''MIT 미디어랩'''이라고 한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표현과 커뮤니케이션의 교육과 미래 분야이다. 1985년에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교수와 전 MIT 학장인 고 [[제롬 위즈너]] 교수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최근에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교수가 소장을 사입하고 제3세계 어린이들을 위한 100달러 [[노트북]]에 전념하면서 미디어랩 소장에서 물러났다. 그 뒤 [[월터 밴더]]와 [[프랭크 모스]]가 뒤를 이어 소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조이 이토]]가 2011년 4월에 소장으로 임명되어 향후 5년 간 미디어랩 소장직을 맡게 되었다.<ref name="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MIT_%EB%AF%B8%EB%94%94%EC%96%B4_%EB%9E%A9 MIT_미디어_랩]〉, 《위키백과》</ref>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MIT Media Lab)은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연구소이다. 주로 '''MIT 미디어랩'''이라고 한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표현과 커뮤니케이션의 교육과 미래 분야이다. 1985년에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교수와 전 MIT 학장인 고 [[제롬 위즈너]] 교수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최근에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교수가 소장을 사입하고 제3세계 어린이들을 위한 100달러 [[노트북]]에 전념하면서 미디어랩 소장에서 물러났다. 그 뒤 [[월터 밴더]]와 [[프랭크 모스]]가 뒤를 이어 소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조이 이토]]가 2011년 4월에 소장으로 임명되어 향후 5년 간 미디어랩 소장직을 맡게 되었다.<ref name="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MIT_%EB%AF%B8%EB%94%94%EC%96%B4_%EB%9E%A9 MIT_미디어_랩]〉, 《위키백과》</ref>
9번째 줄: 8번째 줄:
  
 
== 역사 ==
 
== 역사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은 니콜라스 네그로폰테(Nicholas Negroponte) 교수와 [[인공지능]](AI)의 창시자로 불리우는 [[마빈 민스키]](Marvin Minsky)의 주도로 1985년에 설립된 연구소이다. 이 두 명 외에 발달과 학습이론의 권위자인 [[페퍼트]](Seymour Papert), 3차원 홀로그램의 창시자 [[벤턴]](Stephen A.Benton) 등이 참여했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내에 있으며, 연구소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4층의 규모이다. 정식 명칭은 'E15'이지만, 설립 당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학장이던 [[제롬 위즈너]](Jerome Wiesner)의 이름을 따 보통 '위즈너 빌딩'으로 부른다. 설립 이후 상상력이 넘치는 기발하고 창조적인 연구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가상현실, 3차원 홀로그램, 유비쿼터스, 착용식 컴퓨터 등의 개념은 모두 이 연구소에서 나왔다. 인도와 아일랜드 등에도 연구소가 있다. 주요 업무는 미디어 예술과 과학의 융합 연구를 추진하는 것으로 그동안 홀로그래피, 그래픽 디자인, 디지털 비디오, 입는 컴퓨터 등 미디어와 IT 분야에서 많은 지적재산권을 확보했고, 최근에는 미래형 주택, 지능형 장난감, 홈가전 등의 기술개발에 주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이 연구소는 세계적인 대기업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2000년에는 아일랜드 더블린에 미디어랩 유럽(MLE)을 설립하고 그 후 아시아 지역인 인도에도 미디어랩을 설립하였다. 미디어랩은 새로운 미디어 개념을 개발하면서 10만불 이상의 재정지원을 하는 기업에게만 연구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과 단체들이 1년에 지원하는 금액은 4500만 달러에 달한다. 미디어랩은 미국 연방 정부를 비롯해 독일과 일본 등 세계적인 첨단 산업체의 연구 기증을 통하여 운영되는 세계 최고의 뉴미디어와 [[인터페이스]] 연구 기관으로 디지털 시대의 국제 표준을 실제로 주도하고 있는 기관이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8184&cid=43667&categoryId=43667 미디어 랩]〉, 《네이버 지식백과》</ref>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디어랩은 니콜라스 네그로폰테(Nicholas Negroponte) 교수와 [[인공지능]](AI)의 창시자로 불리우는 [[마빈 민스키]](Marvin Minsky)의 주도로 1985년에 설립된 연구소이다. 이 두 명 외에 발달과 학습이론의 권위자인 [[페퍼트]](Seymour Papert), 3차원 홀로그램의 창시자 [[벤턴]](Stephen A.Benton) 등이 참여했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내에 있으며, 연구소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4층의 규모이다. 정식 명칭은 'E15'이지만, 설립 당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학장이던 [[제로미 위즈너]](Jerome Wiesner)의 이름을 따 보통 '위즈너 빌딩'으로 부른다. 설립 이후 상상력이 넘치는 기발하고 창조적인 연구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가상현실, 3차원 홀로그램, 유비쿼터스, 착용식 컴퓨터 등의 개념은 모두 이 연구소에서 나왔다. 인도와 아일랜드 등에도 연구소가 있다. 주요 업무는 미디어 예술과 과학의 융합 연구를 추진하는 것으로 그동안 홀로그래피, 그래픽 디자인, 디지털 비디오, 입는 컴퓨터 등 미디어와 IT 분야에서 많은 지적재산권을 확보했고, 최근에는 미래형 주택, 지능형 장난감, 홈가전 등의 기술개발에 주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이 연구소는 세계적인 대기업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2000년에는 아일랜드 더블린에 미디어랩 유럽(MLE)을 설립하고 그 후 아시아 지역인 인도에도 미디어랩을 설립하였다. 미디어랩은 새로운 미디어 개념을 개발하면서 10만불 이상의 재정지원을 하는 기업에게만 연구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과 단체들이 1년에 지원하는 금액은 4500만 달러에 달한다. 미디어랩은 미국 연방 정부를 비롯해 독일과 일본 등 세계적인 첨단 산업체의 연구 기증을 통하여 운영되는 세계 최고의 뉴미디어와 [[인터페이스]] 연구 기관으로 디지털 시대의 국제 표준을 실제로 주도하고 있는 기관이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8184&cid=43667&categoryId=43667 미디어 랩]〉, 《네이버 지식백과》</ref>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12969&cid=43133&categoryId=43133 MIT미디어랩]〉, 《네이버 지식백과》</ref>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12969&cid=43133&categoryId=43133 MIT미디어랩]〉, 《네이버 지식백과》</ref>
  
59번째 줄: 58번째 줄:
 
== 블록체인 ==
 
== 블록체인 ==
 
* 기본 : 도시를 위한 블록체인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터
 
* 기본 : 도시를 위한 블록체인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터
[[자율주행 주행차]](AV), [[드론]] 및 기타 유형의 [[로봇]]은 도시 공간을 여행하여 이해하는 방식을 혁신할 것이다. 작동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모든 장치가 일상 활동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공유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세트를 처리하는 현재 접근방식은 중앙집중식 모델에 의존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중앙집중식 모델의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기능이 향후 배포에 중요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이 프로젝트는 도시를 위한 블록체인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터 인 BASIC을 제안 한다. 이 도구는 시뮬레이션 된 도시 시나리오에서 에이전트 사이의 통신 계층으로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 된 도구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BASIC을 사용한 실험에서 도시를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으로 시민이 탑승을 요청하는 모델로 모델링하였다. AV는 이런 요청을 받고 온보드 PC에서 실행중인 도커 인스턴스로 요청한다. 이 도커 인스턴스는 시민 기반의 거래가 추가되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생성하는 메시 기반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이 프로세스를 따르면, 자동차 공유 서비스에 관한 관련 데이터 및 시민에 대한 정보가 대규모 분산 컴퓨팅 장치를 생성하는 모든 AV에 분배된다. 이 연구에서 관련 문헌을 연구하고 "도시 블록체인"을 시뮬레이션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었다. 접근법의 타당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실험이 수행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블록체인의 크기와 메모리 요구 사항 조차도 AV 수와 작동 기간에 따라 커짐에 따라 오늘날의 기술은 중소형 시스템을 충족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작업은 블록체인 기술과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의 조합에 대한 결론 및 설계 제안을 제공하여 미래의 고급 시스템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준다.<ref>아르노 그리나드,〈[https://www.media.mit.edu/projects/basic/overview/ 기본 : 도시를위한 블록체인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터]〉,《Coindesk》</ref>
+
[[자율 주행 주행차]](AV), [[드론]] 및 기타 유형의 [[로봇]]은 도시 공간을 여행하여 이해하는 방식을 혁신할 것이다. 작동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모든 장치가 일상 활동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공유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세트를 처리하는 현재 접근방식은 중앙집중식 모델에 의존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중앙집중식 모델의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기능이 향후 배포에 중요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이 프로젝트는 도시를 위한 블록체인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터 인 BASIC을 제안 한다. 이 도구는 시뮬레이션 된 도시 시나리오에서 에이전트 사이의 통신 계층으로 블록 체인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 된 도구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BASIC을 사용한 실험에서 도시를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으로 시민이 탑승을 요청하는 모델로 모델링하였다. AV는 이런 요청을 받고 온보드 PC에서 실행중인 도커 인스턴스로 요청한다. 이 도커 인스턴스는 시민 기반의 거래가 추가되는 블록 체인 시스템을 생성하는 메시 기반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이 프로세스를 따르면, 자동차 공유 서비스에 관한 관련 데이터 및 시민에 대한 정보가 대규모 분산 컴퓨팅 장치를 생성하는 모든 AV에 분배된다. 이 연구에서 관련 문헌을 연구하고 "도시 블록체인"을 시뮬레이션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었다. 접근법의 타당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실험이 수행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블록 체인의 크기와 메모리 요구 사항 조차도 AV 수와 작동 기간에 따라 커짐에 따라 오늘날의 기술은 중소형 시스템을 충족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작업은 블록 체인 기술과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의 조합에 대한 결론 및 설계 제안을 제공하여 미래의 고급 시스템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준다.<ref>아르노 그리나드,〈[https://www.media.mit.edu/projects/basic/overview/ 기본 : 도시를위한 블록 체인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터]〉,《Coindesk》</ref>
  
 
* 블록체인이 로봇 떼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방법
 
* 블록체인이 로봇 떼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방법
[[로봇]]이 점점 작아지고 똑똑해지고 저렴해지고 있다. 오늘날 기업은 단일 드론을 소유 할 수 있지만 언젠가는 전체 산업의 많은 부분이 새로운 세대의 로봇으로 감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봇 그룹은 작물 데이터 수집 또는 공통 목표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등의 유용한 작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 이것이 MIT 미디어 연구소의 연구자인 Eduardo Castelló Ferrer 의 새로운 백서에서 제안한 블록체인의 한 가지 역할이다. 8년의 로봇 공학 베테랑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정보를 배포함으로써 로봇의 모든 군대가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디어에 있는 것은 로봇 메뚜기, 각 로봇은 종종  개미와 물고기 등의 생물에서 영감을 받아 그리고 기본 규칙을 따른다. 분산 감지 또는 구조 탐색 임무와 같은 규칙은 같은 로봇 간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 집단 행동에 추가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아이디어는 대규모로 배포되지 않았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소위 정밀 농업 과 같은 유스 케이스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는데, 여기서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검사하고, 농부들에게 더 세밀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연구원들이 미래의 아이디어로 나아가면서 로봇들이 연구소에서 실제 세계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많은 보안 및 물류 문제에 직면한다. 그러나 Ferrer는 블록체인이 웜 로봇 공학에서 심각한 진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백서는 로봇 웜 시스템과 같은 다른 분산 시스템과 블록체인을 결합하면 로봇 웜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자율적이며 유연하며 수익성 있게 만드는 데 필요한 기능을 줄 것이라고 설명한다. 로보틱스에 비트 코인을 적용하는 것은 패키지를 제공 할 무인 자동차 또는 드론의 자율 네트워크를 위해 이전에 이론화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르다. 백서는 로봇 노드가 안전하고 분산 된 방식으로 구성되는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을 스케치한다고 한다. 블록체인의 잠재적인 역할 중 하나는 로봇 그룹이 중앙 권한없이 의사 결정에 동의하도록 돕는 것이다. 로봇들이 네트워크에서 노드 역할을 하고, 거래를 블록으로 캡슐화 하여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모델을 설명한다 백서에 설명 된 블록체인 기반 응용 프로그램에는 로봇 간의 보안 통신, 분산 의사 결정, 행동 차별화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포함된다.<ref>에두아르도 카스텔로 페러, 〈[https://www.media.mit.edu/articles/how-blockchain-could-make-robot-swarms-smarter/ 블록체인이 로봇떼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방법]〉, 《Coindesk》</ref>
+
[[로봇]]이 점점 작아지고 똑똑해지고 저렴해지고 있다. 오늘날 기업은 단일 드론을 소유 할 수 있지만 언젠가는 전체 산업의 많은 부분이 새로운 세대의 로봇으로 감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봇 그룹은 작물 데이터 수집 또는 공통 목표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등의 유용한 작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 이것이 MIT 미디어 연구소의 연구자인 Eduardo Castelló Ferrer 의 새로운 백서에서 제안한 블록 체인의 한 가지 역할이다. 8년의 로봇 공학 베테랑은 블록 체인을 사용하여 정보를 배포함으로써 로봇의 모든 군대가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디어에 있는 것은 로봇 메뚜기, 각 로봇은 종종  개미와 물고기 등의 생물에서 영감을 받아 그리고 기본 규칙을 따른다. 분산 감지 또는 구조 탐색 임무와 같은 규칙은 같은 로봇 간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 집단 행동에 추가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아이디어는 대규모로 배포되지 않았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소위 정밀 농업 과 같은 유스 케이스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는데, 여기서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검사하고, 농부들에게 더 세밀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연구원들이 미래의 아이디어로 나아가면서 로봇들이 연구소에서 실제 세계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많은 보안 및 물류 문제에 직면한다. 그러나 Ferrer는 블록 체인이 웜 로봇 공학에서 심각한 진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백서는 로봇 웜 시스템과 같은 다른 분산 시스템과 블록 체인을 결합하면 로봇 웜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자율적이며 유연하며 수익성 있게 만드는 데 필요한 기능을 줄 것이라고 설명한다. 로보틱스에 비트 코인을 적용하는 것은 패키지를 제공 할 무인 자동차 또는 드론의 자율 네트워크를 위해 이전에 이론화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르다. 백서는 로봇 노드가 안전하고 분산 된 방식으로 구성되는 블록 체인 기반 시스템을 스케치한다고 한다. 블록 체인의 잠재적인 역할 중 하나는 로봇 그룹이 중앙 권한없이 의사 결정에 동의하도록 돕는 것이다. 로봇들이 네트워크에서 노드 역할을 하고, 거래를 블록으로 캡슐화 하여 블록 체인을 사용하는 모델을 설명한다 백서에 설명 된 블록 체인 기반 응용 프로그램에는 로봇 간의 보안 통신, 분산 의사 결정, 행동 차별화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포함된다.<ref>에두아르도 카스텔로 페러, 〈[https://www.media.mit.edu/articles/how-blockchain-could-make-robot-swarms-smarter/ 블록체인이 로봇떼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방법]〉, 《Coindesk》</ref>
  
* MedRec : 의료 데이터 액세스 및 권한 관리에 블록체인 사용
+
* MedRec : 의료 데이터 액세스 및 권한 관리에 블록 체인 사용
수년간의 엄격한 규제와 관료 주의적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전자 의료 기록 (EMR)의 혁신이 느려졌다. 우리는 이제 개인화 및 데이터 과학으로 인해 환자가 의료 데이터에 대한 의료 및 복원 기관의 세부 사항에 참여하도록 자극하는 등 이런 혁신에 대한 중요 요구에 직면 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EMR을 처리 할 수 있는 새로운 분산 레코드 관리 시스템인 MedRec를 제안한다. 우리의 시스템은 환자에게 종합적이고 변하지 않는 로그를 제공하며 공급자와 치료 사이트에서 의료 정보에 쉽게 액세스가 가능하다. MedRec 는 고유 한 블록체인 속성을 활용하여 민감한 정보를 처리 할 때 인증, 기밀성, 책임 및 데이터 공유와 관련한 중요 고려 사항을 관리한다. 모듈식 설계는 제공 업체의 기존 로컬 데이터 스토리지 솔루션과 통합되어 상호 운용성을 촉진시키고, 시스템을 편리하고 적합하게 만든다. 우리는 의료 이해 관계자에게 네트워크에 블록체인 채굴자로 참여하게 장려한다. 이를 통하여 작업 증명을 통해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대가로 익명의 집계 된 데이터를 채굴 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MedRec은 데이터 경제학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여 빅 데이터를 제공해 연구원에게 메타 데이터를 공개하도록 환자와 제공자를 참여시키면서 연구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이 짧은 논문의 목적은 현장 테스트 이전에 우리의 접근 방식을 분석하고 논의하는 실제 프로토 타입을 공개하는것이다. 이를 통한 작업 증명으로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대가로 익명의 집계 된 데이터를 채굴 보상으로 이용 가능하다.<ref> 〈[https://www.media.mit.edu/publications/medrec/ MedRec : 의료 데이터 액세스 및 권한 관리에 블록체인 사용]〉, 《Coindesk》, 2016-08-22</ref>
+
수년간의 엄격한 규제와 관료 주의적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전자 의료 기록 (EMR)의 혁신이 느려졌다. 우리는 이제 개인화 및 데이터 과학으로 인해 환자가 의료 데이터에 대한 의료 및 복원 기관의 세부 사항에 참여하도록 자극하는 등 이런 혁신에 대한 중요 요구에 직면 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 체인 기술을 사용한 EMR을 처리 할 수 있는 새로운 분산 레코드 관리 시스템인 MedRec를 제안한다. 우리의 시스템은 환자에게 종합적이고 변하지 않는 로그를 제공하며 공급자와 치료 사이트에서 의료 정보에 쉽게 액세스가 가능하다. MedRec 는 고유 한 블록 체인 속성을 활용하여 민감한 정보를 처리 할 때 인증, 기밀성, 책임 및 데이터 공유와 관련한 중요 고려 사항을 관리한다. 모듈식 설계는 제공 업체의 기존 로컬 데이터 스토리지 솔루션과 통합되어 상호 운용성을 촉진시키고, 시스템을 편리하고 적합하게 만든다. 우리는 의료 이해 관계자에게 네트워크에 블록 체인 광부로 참여하게 장려한다. 이를 통하여 작업 증명을 통해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대가로 익명의 집계 된 데이터를 채굴 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MedRec은 데이터 경제학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여 빅 데이터를 제공해 연구원에게 메타 데이터를 공개하도록 환자와 제공자를 참여시키면서 연구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이 짧은 논문의 목적은 현장 테스트 이전에 우리의 접근 방식을 분석하고 논의하는 실제 프로토 타입을 공개하는것이다. 이를 통한 작업 증명으로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대가로 익명의 집계 된 데이터를 채굴 보상으로 이용 가능하다.<ref> 〈[https://www.media.mit.edu/publications/medrec/ MedRec : 의료 데이터 액세스 및 권한 관리에 블록 체인 사용]〉, 《Coindesk》, 2016-08-22</ref>
  
 
{{각주}}
 
{{각주}}
74번째 줄: 73번째 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8184&cid=43667&categoryId=43667 미디어 랩]〉,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8184&cid=43667&categoryId=43667 미디어 랩]〉,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12969&cid=43133&categoryId=43133 MIT미디어랩]〉,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12969&cid=43133&categoryId=43133 MIT미디어랩]〉, 《네이버 지식백과》
* 아르노 그리 나드 , 〈[https://www.media.mit.edu/projects/basic/overview/ 기본 : 도시를위한 블록체인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터]〉, 《Coindesk》
+
* 아르노 그리 나드 , 〈[https://www.media.mit.edu/projects/basic/overview/ 기본 : 도시를위한 블록 체인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터]〉, 《Coindesk》
* 에두아르도 카스텔로 페러 , 〈[https://www.media.mit.edu/articles/how-blockchain-could-make-robot-swarms-smarter/ 블록체인이 로봇 떼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방법]〉, 《Coindesk》, 2016-08-12
+
* 에두아르도 카스텔로 페러 , 〈[https://www.media.mit.edu/articles/how-blockchain-could-make-robot-swarms-smarter/ 블록 체인이 로봇 떼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방법]〉, 《Coindesk》, 2016-08-12
 
*〈[https://www.media.mit.edu/people/?filter=facultypi 우리는 다양한 사상가와 발명가입니다]〉, 《Coindesk》
 
*〈[https://www.media.mit.edu/people/?filter=facultypi 우리는 다양한 사상가와 발명가입니다]〉, 《Coindesk》
*〈[https://www.media.mit.edu/publications/medrec/ MedRec : 의료 데이터 액세스 및 권한 관리에 블록체인 사용]〉, 《Coindesk》, 2016-08-22
+
*〈[https://www.media.mit.edu/publications/medrec/ MedRec : 의료 데이터 액세스 및 권한 관리에 블록 체인 사용]〉, 《Coindesk》, 2016-08-22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25198&cid=42171&categoryId=42175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25198&cid=42171&categoryId=42175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네이버 지식백과》
  
83번째 줄: 82번째 줄: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
{{로고 필요}}
 
{{블록체인 지원기관|검토 필요}}
 
{{블록체인 지원기관|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