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체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1번째 줄: 21번째 줄:
 
블록체인은 단 하나의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네트워크 전파의 속도 차이로 인해 메인체인의 다른 경우를 고려하여 [[서브체인]]을 보유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단 하나의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네트워크 전파의 속도 차이로 인해 메인체인의 다른 경우를 고려하여 [[서브체인]]을 보유하고 있다.
 
;하드포크
 
;하드포크
하드 포크란 모든 채굴자와 사용자가 반드시 업데이트를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포크]]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비트코인캐시]]의 [[채굴 난이도]] 조절과 블록 사이즈 8MB 확장 등이 있다.  다수의 노드들의 반발로 새로운 암호화폐를 만든 케이스로는 비트코인에서 [[비트코인캐시]]의 탄생, 이더리움에서 [[이더리움 클래식]]의 탄생, 비트코인캐시에서 [[비트코인에스브이]]의 탄생 등이 있다.
+
하드 포크란 모든 채굴자와 사용자가 반드시 업데이트를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포크]]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비트코인캐시]]의 난이도 조절과 블록 사이즈 8MB 확장 등이 있다.  다수의 노드들의 반발로 새로운 암호화폐를 만든 케이스로는 비트코인에서 [[비트코인캐시]]의 탄생, 이더리움에서 [[이더리움 클래식]]의 탄생, 비트코인캐시에서 [[비트코인에스브이]]의 탄생 등이 있다.
 
;소프트 포크
 
;소프트 포크
 
소프트 포크는 사용자의 경우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아도 호환할 수 있지만, 채굴자들의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적용이 되는 포크이다. 이에 대표적인 예시로 [[세그윗]](Segwit)이 있다.<ref name="메인 체인"></ref>
 
소프트 포크는 사용자의 경우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아도 호환할 수 있지만, 채굴자들의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적용이 되는 포크이다. 이에 대표적인 예시로 [[세그윗]](Segwit)이 있다.<ref name="메인 체인"></ref>
54번째 줄: 54번째 줄:
  
 
;엉클블록
 
;엉클블록
이더리움의 경우 현재 합의 알고리즘인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방식으로 블록을 계속해서 생성한다. 만약 서로 다른 채굴자가 동시에 블록을 생성하는 경우, 더 어려운 [[채굴 난이도]]와 [[논스]] 값을 가진 블록은 블록체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버려지게 된다. 이때, 버려지는 블록을 [[엉클블록]](uncle block)이라고 한다. {{자세히|이더리움}}
+
이더리움의 경우 현재 합의 알고리즘인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방식으로 블록을 계속해서 생성한다. 만약 서로 다른 채굴자가 동시에 블록을 생성하는 경우, 더 어려운 난이도와 큰 논스 값을 가진 블록은 블록체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버려지게 된다. 이때, 버려지는 블록을 [[엉클블록]](uncle block)이라고 한다. {{자세히|이더리움}}
  
 
=== 비트코인===
 
=== 비트코인===
81번째 줄: 81번째 줄:
  
 
==비교==
 
==비교==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메인체인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ref>〈[https://brownbears.tistory.com/394 이더리움 블록과 블록체인]〉, 《티스토리》, 2018-08-17</ref>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메인체인 비교>'''<ref>〈[https://brownbears.tistory.com/394 이더리움 블록과 블록체인]〉, 《티스토리》, 2018-08-17</ref>
 
 
 
 
{| border="1"
 
{| border="1"
 
|-
 
|-
98번째 줄: 96번째 줄:
 
| parent_hash  
 
| parent_hash  
 
|-
 
|-
| 거래 관련된<br> [[루트해시]]  
+
| 거래 관련된 [[루트해시]]  
 
| mrkl_root  
 
| mrkl_root  
 
| TRIEHASH(transaction_list)  
 
| TRIEHASH(transaction_list)  
105번째 줄: 103번째 줄:
 
TRIEHASH(stack_trace)  
 
TRIEHASH(stack_trace)  
 
|-
 
|-
| [[채굴 난이도]]
+
| [[난이도]]
 
| bit
 
| bit
 
| difficulty  
 
| difficulty  
128번째 줄: 126번째 줄:
 
|}
 
|}
  
 
+
;DTPS 비교
;<DTPS 비교>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확장성 기술을 추가했을 때는 다음과 같다.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확장성 기술을 추가했을 때는 다음과 같다.
 
비트코인 = <math>(0.8 * 7) + (0.8 * 300) = 245 DTPS</math>
 
비트코인 = <math>(0.8 * 7) + (0.8 * 300) = 245 DTPS</math>
 
               = [메인체인] + [라이트닝 네트워크]
 
               = [메인체인] + [라이트닝 네트워크]
 +
 
이더리움 = <math>(0.7 * 15) + (0.7 * 65,000) + (0.7 * 400) + (0.3 * 10) = 45,000 DTPS</math>
 
이더리움 = <math>(0.7 * 15) + (0.7 * 65,000) + (0.7 * 400) + (0.3 * 10) = 45,000 DTPS</math>
 
               = [메인체인] + [플라즈마] + [스테이트 채널] + [컨소시엄]
 
               = [메인체인] + [플라즈마] + [스테이트 채널] + [컨소시엄]
146번째 줄: 144번째 줄:
 
* 〈[https://brownbears.tistory.com/394 이더리움 블록과 블록체인]〉, 《티스토리》, 2018-08-17</ref>
 
* 〈[https://brownbears.tistory.com/394 이더리움 블록과 블록체인]〉, 《티스토리》, 2018-08-17</ref>
 
* 〈[https://www.binance.vision/ko/blockchain/what-is-ethereum-plasma 이더리움 플라스마란?]〉, 《바이낸스 아카데미》, 2019-09-17
 
* 〈[https://www.binance.vision/ko/blockchain/what-is-ethereum-plasma 이더리움 플라스마란?]〉, 《바이낸스 아카데미》, 2019-09-17
[[조원규]], 〈[https://kr.coinness.com/articles/42536 좋은 블록체인의 기준은 무엇일까?]〉, 《코인니스》, 2019-07-08
+
Coinness, 〈[https://kr.coinness.com/articles/42536 좋은 블록체인의 기준은 무엇일까?]〉, 《코인니스》, 2019-07-08
 
* Youngtaek (Robbie) OH, 〈[http://a.to/19xx6qH 블록체인 확장성 솔루션 시리즈 3–1 :: Interchain Overview]〉, 《미디엄》, 2018-04-12
 
* Youngtaek (Robbie) OH, 〈[http://a.to/19xx6qH 블록체인 확장성 솔루션 시리즈 3–1 :: Interchain Overview]〉, 《미디엄》, 2018-04-12
 
* 이규상, 〈[https://www.samsungsds.com/global/ko/support/insights/1207669_2284.html 블록체인 거래속도 이대로 충분할까요?]〉, 《삼성SDS》, 2019-05-21
 
* 이규상, 〈[https://www.samsungsds.com/global/ko/support/insights/1207669_2284.html 블록체인 거래속도 이대로 충분할까요?]〉, 《삼성SDS》, 2019-05-21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